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IT/과학>IT/인터넷

IT·통신업계, 우려 속 글로벌 빅테크와의 합종연횡 ... "기술 주권은?"

정신아 카카오 대표와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가 카카오 기자간담회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뉴시스

국내 주요 IT 기업들이 글로벌 빅테크 기업과의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자사 인공지능(AI) 모델 고도화를 위해 거대언어모델(LLM)을 도입하거나 관련 기업에 투자하는 방식이다.

 

1일 <메트로경제신문> 취재에 따르면 네이버, 카카오 등 포털 기업을 비롯해 통신 3사(SK텔레콤·KT·LG유플러스)가 각각 글로벌 빅테크 기업의 AI 기술을 자사 서비스에 적용하고 있다.

 

지난달 26일 정기 주주총회를 연 네이버와 카카오는 AI 경쟁력 강화를 핵심 전략으로 제시했다. 두 회사는 이날 각각 해외 빅테크 기업과의 협력 가능성을 공식화했다.

 

네이버 창업자인 이해진 글로벌투자책임(GIO)은 사내이사로 복귀하며 "글로벌 빅테크 기업과 협력할 수 있다면 해야 한다"며 "엔비디아(NVIDIA)와 다양한 협력을 준비 중"이라고 밝혔다. 네이버는 엔비디아와 함께 동남아 지역에서 소버린 AI(Sovereign AI) 구축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카카오는 앞서 2월 기자간담회에서 오픈AI와의 업무협약을 공개했다. 카카오는 올해 출시 예정인 AI 에이전트 '카나나(Kanana)'에 오픈AI의 챗GPT를 탑재한다는 방침이다. 카카오는 지난해부터 외부 LLM을 활용한 'AI 오케스트레이션(AI Orchestration)' 전략을 수립해왔다.

 

정신아 카카오 대표는 "오픈AI와 함께 카카오 생태계 전반에 적용 가능한 AI 에이전트를 개발 중이며, 연내 서비스 구현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밝혔다.

 

통신 3사도 유니콘 기업 투자와 글로벌 기술 제휴를 통해 AI 역량을 확장하고 있다.

 

SK텔레콤은 3월, 앤트로픽·퍼플렉시티·트웰브랩스 등 AI 스타트업에 이어 투게더AI에 추가 투자를 단행했다. 이를 통해 개인 AI 에이전트 '에스터(Aster, A*)' 기술 고도화와 북미 시장 진출을 위한 협력 기반을 확보한다는 전략이다.

 

KT는 마이크로소프트(MS)와 전방위 협력을 추진 중이다. 지난달 26일에는 AI 교육 협업 계획을 발표했으며, 2분기 상용화를 목표로 '한국형 AI'를 공동 개발하고 있다. 한국형 AI는 한국인의 사고방식과 정서를 반영한 AI로, 역사·철학·사회 등 국내 콘텐츠 학습에 기반을 둔다.

 

LG유플러스도 글로벌 협력 행보를 강화하고 있다. 홍범식 대표는 주주총회에서 "AI 전환(AX) 생태계 조성을 위해 글로벌 플랫폼 기업과 협력하겠다"며, AWS와의 연계를 통해 소버린 클라우드 기반 AX얼라이언스를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이 천문학적인 투자비용과 인프라를 바탕으로 기술 첨단을 달리고 있다. 우리 IT·통신업계는 글로벌 빅테크 기업과의 업무협약을 통해 AI 경쟁력 강화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AI 생성 이미지

이처럼 국내 IT 기업들이 글로벌 빅테크와 손잡는 이유는 자사 AI 경쟁력을 빠르게 끌어올리기 위해서다. AI 개발 속도가 빨라지고 천문학적인 투자금액에 따른 기술 격차가 벌어지는 상황에서, 자체 기술만으로는 한계가 있다는 판단이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생성형 AI와 거대언어모델(LLM) 분야는 투자 규모와 학습 데이터의 양, 컴퓨팅 자원 등에서 글로벌 기업들이 절대적인 우위를 점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국내 기업들은 외부 기술을 적극 도입하는 '개방형 전략'으로 전환하고 있다.

 

다만 일각에서는 이 같은 움직임이 글로벌 빅테크 기업의 국내 진출 포석으로 전락할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기술력을 이용하고자 하는 과정에서 기술 의존도가 커지며 기술 주권을 빼앗길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그러나 업계 관계자들은 현재 시점에서 기술력의 열세를 빠르게 뒤집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설명한다. 한 업계 관계자는 "글로벌 LLM을 조기에 도입하고 서비스에 맞게 최적화해야 경쟁에서 뒤처지지 않을 수 있다"며 "협력을 통해 기술 자산을 확보하고, 빠르게 상용화에 나서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