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증권>증권일반

[코스닥 기업 탐방] 아시아종묘, K-시드로 세계로 나아가다

종자 국산화 앞장...K-시드 글로벌 도약 꿈꿔
R&D 중심의 차별화 전략...지속 가능한 성장

image
/아시아종묘

서울 송파구에 자리한 아시아종묘. 사무실 한쪽 벽에는 '세계인의 먹거리를 우리의 정성과 노력으로'라는 문구가 걸려 있다. 단순한 구호가 아니다. 30년 넘게 한국 종자 산업의 한 축을 담당해 온 이 회사가 국산 종자의 세계화를 목표로 내건 철학이다.

 

한때 한국의 채소 종자는 외국산에 크게 의존했다. 토마토, 고추, 양배추 등 농가에서 흔히 재배하는 작물의 씨앗조차 외국 기업에서 들여와야 했다. 그러나 지금은 다르다. 아시아종묘가 자체 개발한 종자들이 국내 시장을 넘어 해외로 뻗어나가고 있다.

 

지난 1992년 '아시아나 종묘'로 출발한 이 회사는 2004년 법인 전환, 2018년 코스닥 상장을 거치며 한 단계씩 성장해 왔다. 현재 양배추, 콜라비, 수박, 토마토, 오이, 멜론 등 다양한 품종을 자체 개발해 국내외 농가에 공급하고 있다.

 

특히, 기능성 작물 개발에 주목한다. 단순한 생산량 증가를 넘어 건강 기능성을 갖춘 종자는 최근 글로벌 종자 시장에서도 중요한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다.

 

아시아종묘가 개발한 '미인풋고추'가 대표적이다. 매운맛이 강하지 않으면서도 혈당을 낮추는 성분(AGI)이 함유돼 당뇨병 환자들의 식단에 활용할 수 있다.

 

청경채도 한 단계 더 진화했다. 보랏빛 잎을 띠는 '자색 잎 청경채'는 항산화 성분인 안토시아닌이 풍부해 건강을 중시하는 소비자층에서 주목받고 있다.

 

아시아종묘의 경쟁력은 탄탄한 연구개발(R&D)에서 나온다. 국내 종자 업계에서는 연구개발이 쉽지 않다. 높은 비용과 인력 부담 탓에 많은 회사들이 종자 유통에 집중하지만, 아시아종묘는 전체 직원의 절반 가까이를 연구개발 인력으로 채우고 있다.

 

경기도 이천, 전북 김제, 전남 해남·영암에 있는 국내 4개 육종연구소에서 신품종 개발이 한창이다. 해외 연구소도 운영 중이다. 인도와 베트남 법인에서는 현지 기후에 적합한 품종을 연구·개발하며 글로벌 시장 개척에 나서고 있다.

 

류경오 아시아종묘 대표는 "농업 환경이 빠르게 변하고 있다"며 "기후 변화, 병충해, 스마트팜 확산 등에 맞춰 새로운 품종을 꾸준히 개발해야 한다"고 말했다.

 

아시아종묘는 해외 시장 개척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현재 캄보디아, 라오스, 미얀마, 태국 등 동남아 시장으로 수출을 확대하고 있으며, 인도와 베트남 연구소에서는 현지 농업 환경에 적합한 맞춤형 품종을 개발 중이다.

 

도시농업과 스마트팜 같은 미래 농업에도 적극적이다. 2018년, 경기도 하남에 도시농업 전문 매장 '채가원'을 열고 도시민들이 직접 농작물을 키우며 농업을 체험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했다. 단순한 종자 판매를 넘어 도시농업 교육과 체험 프로그램 운영도 준비 중이다.

 

스마트팜 맞춤형 품종 개발도 중요한 과제다. 스마트팜은 자동화 기술을 활용해 최적의 생육 환경을 조성하는 미래형 농업이다. 이에 맞춰 좁은 공간에서도 생산성이 높은 품종, 빛과 수분 조절이 용이한 품종 등을 연구하고 있다.

 

30년 전, 국산 채소 종자를 만들겠다는 일념으로 시작된 아시아종묘. 이제는 한국을 넘어 세계 시장에서 'K-시드(K-Seed)'의 가능성을 키워가고 있다. 작은 씨앗 하나에 담긴 연구진의 땀과 노력이, 미래 농업의 판도를 바꾸는 날도 머지않아 보인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