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오피니언>기자수첩

[기자수첩] 냉정하게 돌아온 2030세대, 대선게임 '스타트'

최빛나 중소벤처코스닥팀 기자

탄핵 정국이 마지막까지 이어진데에는 윤석열 전 대통령을 지지하는 2030세대의 영향이 컸다. 그간 정치나 경제에 무관심하다는 인식이 강했던 2030세대가 이제는 강한 목소리를 내는 추세이다.

 

여론조사 전문기관 여론조사공정이 지난 2일부터 3일까지 실시한 조사결과 윤 대통령에 대한 지지율은 20대 이하에서 33.1%, 30대에서 43.5%로 집계됐다. 한때는 50%를 넘어섰다는 결과까지 나왔다. 중장년층 대비 낮은 수치가 아니다.

 

이는 2030세대의 정치·사회적 참여가 높아지고 있다는 결과다. 실제 탄핵 반대 집회 현장에는 태극기를 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는 청년들을 쉽게 볼 수 있다.4050세대보다 온라인에 익숙한 2030세대들은 SNS, 트위터 등을 적극 활용해서도 정치·경제 관련 지적과 비판의 메시지를 연일 쏟아내고 있다. 실제 꽤나 설득력 있는 객관적인 메시지들이 넘쳐났다.

 

이처럼 2030세대들이 사회문제에 적극적으로 된 것은 세대 갈등에서 비롯된 사회구조 개혁 필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또 일자리, 교육, 주거, 물가 상승 등의 불투명한 미래가 코앞에 닥친 청년들을 "우리는 더 이상 물러날 곳이 없다"라는 절박한 상황 인식으로 내몰고 있기도 하다. 이들은 현실적인 정치·사회 개혁에 목소리를 결집하겠다는 강한 의지도 피력하고있다.

 

윤 대통령 탄핵으로 조기대선이 시작됐다. 전문가들은 2030세대들이 이번 대선의 핵심 변수로 작용할 것이라고 전망한다.대선에서 누가 선택 받느냐가 이번 탄핵의 승자가 된다.

 

현재 이재명 대표의 지지층이 30%에 달하지만 무응답층이 38%라는 점에서 판세가 엇갈릴 수 있다. 무응답층 중 2030세대가 60%라는 점과 그 중 70%는 이 대표에게 투표할 가능성이 없다는 분석도 나온다.

 

조기 대선이 60일도 남지 않았지만 판세는 유동적이라는 점이 흥미롭다. 무응답층을 확보하는게 이번 대선 공략의 핵심으로 보여진다. 한국 사회가 당면한 과제를 현실적으로 어떻게 해결할지 명확하게 제시해야 한다.

 

그간 '무반응'했던 2030세대들이 냉정하게 돌아왔다. 진짜 게임은 지금 부터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