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유통>유통일반

맛으로 도파민 충전…식품업계, 자극적인 즐거움에 빠지다

몬스터 아메리카노/할리스

식음료업계가 '도파민 자극' 트렌드에 빠져들고 있다. 강렬한 자극을 추구하는 소비자들의 취향을 겨냥해 색다른 맛과 경험을 선사하는 제품과 이벤트가 잇따라 등장 중이다. 지친 일상에 활력을 주는 에너지 음료부터 매운맛으로 '맵부심'을 자극하는 식품, 침샘을 자극하는 강렬한 신맛까지 평범함을 거부하는 이색 제품들을 한자리에 모아봤다.

 

라이프스타일 브랜드 할리스는 지난 3월 바쁜 일상 속 한 잔으로 도파민과 에너지를 동시에 충전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아메리카노 '몬스터 아메리카노'를 선보였다. 저당, 저칼로리인데도 불구하고 강력한 에너지를 선사하는 '몬스터 아메리카노'는 출시 1주일만에 1만 잔 판매고를 기록하며 인기를 이어가고 있다.

 

깊은 풍미의 할리스 시그니처 에스프레소와 탄산감 가득한 '몬스터 에너지 울트라'의 이색 만남으로 관심을 모은 '몬스터 아메리카노'는 에너지 충전이 필요한 직장인과 수험생 등 소비자의 마음을 사로잡으며 판매호조를 보이고 있다.

 

맵파민 페스티벌/제너시스BBQ

제너시스BBQ 그룹은 매운맛을 좋아하는 소비자들을 겨냥한 '맵파민 페스티벌'을 진행한다. '맵파민'은 '매운맛'과 '도파민'의 합성어로 매운 음식을 통해 행복에 관여하는 도파민이 분비된다는 뜻이다. 매운맛 치킨을 주문하면 맵기 단계별로 치즈볼을 증정하는 이벤트로, 1단계인 '맵소디'는 2알, 2단계 '땡쇼크'는 3알, 가장 마지막 단계인 '매운양념치킨'은 5알의 랜덤 치즈볼이 제공된다.

 

CJ실비김치/CJ제일제당

식품회사 중에서는 CJ제일제당이 화끈한 매운맛을 자랑하는 'CJ실비김치'를 선보였다. 매운맛을 측정하는 척도인 '스코빌 지수'가 일반 배추 김치의 30배에 달하며, 매운 베트남 고춧가루와 국내산 청양 고춧가루의 최적 배합을 통해 강렬한 매운 맛을 구현했다. 온라인 전용으로 출시된 이번 신제품은 자극적인 맛을 찾는 MZ 세대를 겨냥해 1~2인 가구에서 먹기 좋은 800g 중량에 용기와 파우치 이중포장 형태로 만들어 간편함을 더했다.

 

핵 아이셔/오리온

오리온은 극강의 신맛을 느낄 수 있는 '핵 아이셔' 3종을 출시했다. 기존 아이셔 대비 60% 강력해진 신맛을 자랑한다. 취향에 따라 신맛을 즐길 수 있도록 청사과맛의 캔디볼, 깔라만시와 레몬맛 필링의 스틱형 소프트캔디와 젤리 등 다양한 타입으로 선보였다. 짜릿한 신맛으로 MZ세대의 도전 욕구를 자극해 이색적인 경험을 찾는 소비자들의 취향을 저격한다.

 

식품업계가 도파민 자극 상품을 내놓는 이유는 강한 자극과 즉각적인 만족감을 추구하는 소비자 트렌드에 발맞추기 위해서다. 현대 소비자들은 스트레스가 많고 피로도가 높은 일상 속에서 빠르고 강렬한 즐거움을 원하는 경향이 뚜렷하다. 매운맛, 신맛, 고카페인 등 감각을 자극하는 요소들은 뇌의 도파민 분비를 유도해 일시적인 쾌감과 에너지를 제공하는데 이는 곧 '맛의 짜릿함'을 통한 스트레스 해소로 이어진다.

 

또한, SNS와 바이럴 마케팅의 영향도 크다. 자극적인 맛은 '챌린지'나 '반응 콘텐츠'에 적합해 콘텐츠화가 용이하고 자연스럽게 입소문과 화제성을 불러일으키기 마련이다.업계 관계자는 "소비자 입장에서 단순한 취식 행태가 아니라 경험과 재미를 소비하는 것을 추구하기 때문에 업계는 이러한 흐름을 반영해 제품을 선보이고 있다"며 "단기적인 판매 촉진은 물론 브랜드 인지도 강화와 Z세대를 확보할 수 있다"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