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오피니언>칼럼

[홍경한의 시시일각] 인간다움을 유지하는 것

/홍경한 미술평론가

아무런 죄 없이 겪는 숱한 익명의 비극을 목도할수록 희망이라는 단어는 참으로 공허하게 들린다. 고통과 불행을 마주할 때, 우리는 곧잘 "이 세상이 과연 나아질 수 있을까?"라는 의문을 품는다. 인류의 역사는 아픔과 상처로 점칠 된 여정이었고, 제 아무리 밝은 미래를 소망한들 달라진 건 거의 없었기 때문이다.

 

실제로 우크라이나, 가자지구, 수단, 미얀마 등 세계 곳곳에서 벌어지는 전쟁 및 정치적 불안으로 인한 국민의 도탄과 잔혹한 결과들은 21세기에도 인간의 삶이 얼마나 취약한지를 보여준다. 매일 끊임없이 되풀이되는 증오와 폭력, 무고한 이들에게 부여된 참상은 우리가 마주하고 있는 현실이 과거의 어둠에서 완전히 벗어나지 못했음을 방증한다.

 

케테 콜비츠(Kathe Kollwitz)의 '전쟁' 연작은 전쟁의 참혹함과 인간 존엄성 상실을 새긴 목판화다. 전쟁으로 아들을 잃은 작가 개인의 비탄과 사회적 비극을 거친 선과 어두운 명암으로 버무렸다. 전쟁의 끔찍함을 되돌아보며 만든 이 작품은 제1차 세계대전(1914-1918)이 끝난 후인 1922년 제작됐다.

 

지금으로부터 약 70년 전인 1953년, 프랜시스 베이컨(Francis Bacon)은 다양한 이유로 감금된 삶을 살아가는 인간의 괴로움과 내면의 절규를 '교황 인노첸시오 10세의 초상'에 빗댔다. 일그러진 얼굴에 비명까지 얹어 억압적 상황마저 읽게 하는 이 작품 외에도 '풍경 속의 인물'(1945)이나 '인물 삼부작'(1972) 등의 많은 작품들이 인간이 처한 실존적 공포를 가감 없이 반영하고 있다.

 

난민들의 유류품들을 전시공간에 펼쳐놓은 '빨래방'(2016)과 3500개의 난민 구명조끼를 이용한 '해돋이'(2017)와 같은 아이 웨이웨이(Ai Weiwei)의 설치작업은 지중해를 건너다 목숨을 잃은 시리아 난민들의 비극을 상기시킨다. 175명의 정치적 망명자들의 초상화를 레고로 만들어 전시한 '궤적'(2014)에서 마냥 현대사회의 인도주의적 위기를 직설적으로 다루고 있다.

 

콜비츠에서부터 아이 웨이웨이까지, 100년 이상의 시간이 흘렀지만 우리가 외면하고 싶어 하는 인간의 불안과 절망은 지금도 유효하다. 그렇다면 우리가 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일까. 그냥 이대로 무력함에 좌절하는 것이 전부일까.

 

이에 대해 게르하르트 리히터(Gerhard Richter)는 4부작 <비르케나우(Birkenau)>(2014)를 통해 역사적 비극을 드러내면서도 동시에 추모의 필요성을 피력했다. 나치에 의해 110만명의 사람들이 학살된 죽음의 장소인 아우슈비츠 강제 수용소에서 촬영된 4장의 사진을 바탕으로 제작된 이 작품은 사진을 그대로 재현하는 대신 그림 위에 여러 겹의 페인트를 덧칠해 가려버렸다. 형상의 가독성을 해체시킴으로써 끔찍한 역사에 반대하며 애도를 녹여낸 것이다.

 

이들 작업의 공통점은 결국 잔인한 세상과 인간의 연약함을 직시하되 서로를 이해해야 한다는 것에 있다. 고통이 몸을 휘감더라도 타인을 외면하지 않고 함께 살아가야 한다는 것, 그리고 무의미해 보이더라도 고통에 맞서 싸우는 행동 자체에 의미가 있음을 가리킨다. 이는 부조리한 현실 속에서도 인간이 가져야 할 태도에 대해 성찰하게 하는 '페스트'(1947)를 통해 희망 없는 상황에서도 행동하고, 연대하면서 인간다움을 유지하는 것이 진정한 저항이자 승리라고 말한 알베르 카뮈(Albert Camus)의 입장과 결이 같다.

 

오늘날의 세계가, 인간의 삶이 여전히 비극으로 넘쳐나고 있음을 부정할 수 없다. 그러나 예술가들은 체념만을 이야기하지 않았다. 오히려 우리가 그 안에서 무엇을 할 수 있을 것인가를 작품마다 각인시켰다. 그것은 엄혹한 현실을 바로보면서도 더 나은 가능성을 믿는 용기였다. 비록 당장은 세상을 바꿀 수 없을 지라도, 무기력함이 억누를 지라도.

 

/홍경한 미술평론가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