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전기/전자

트럼프 관세폭탄에 애플 '직격탄'…삼성은 일단 한숨 돌렸다

美, 中에 125% 보복관세 단행
애플, 아이폰 90% 中서 새산돼
美 출고가 2배 인상 가능성 제기
삼성전자, '관세 유예·생산지 다변화'로 안도
장기적 관세회피 '탈중국' 불가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2일(현지시간) 워싱턴 D.C. 백악관에서 세계 각국에 부과할 상호관세 수위를 발표하고 있다. /AP/뉴시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폭탄'이 우선적으로 중국에만 정조준되자, 글로벌 전자업계 양대 축인 삼성전자와 애플의 희비가 엇갈리고 있다. 아이폰의 90% 이상을 중국에서 생산하는 애플은 가격 급등 압박에 직면한 반면, 베트남과 인도의 생산 비중이 높은 삼성전자는 일단 한숨을 돌리는 분위기다.

 

9일(현지 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중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율을 기존 104%에서 125%로 추가 인상한다고 발표했다. 중국의 보복 관세에 대한 대응 조치다. 반면 한국, 베트남, 인도 등 56개국은 90일간 관세를 10% 수준으로 낮춰주는 유예 조치를 적용받았다.

 

직격탄을 맞은 건 애플이다. 정보기술(IT) 매체 씨넷에 따르면, 아이폰16 프로 맥스(256GB)의 미국 출고가는 기존 1199달러(약 175만원)에서 최대 2698달러(약 394만원)까지 오를 수 있다. 보급형 모델인 아이폰 16e도 기존 599달러(약 88만원)에서 1348달러(약 197만원)로 두 배 이상 인상될 가능성이 제기된다. 시장조사업체 IDC는 "관세가 1대1로 가격에 전가되지는 않겠지만, 일정 수준을 넘으면 결국 소비자 부담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분석했다.

 

애플은 현재 인도 내 생산 비중을 14%까지 끌어올리고 해당 물량을 미국으로 전량 수송하는 방식으로 대응하고 있다. 하지만 인도 생산 물량은 중국의 10분의 1 수준에 불과해 미국 내 수요를 충족하기에는 역부족이다. 백악관은 한 발 더 나아가 애플에게 아이폰을 미국에서 생산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트럼프 대통령은 애플이 아이폰 생산지를 미국으로 옮길 수 있다고 믿는다"고 밝힌 바 있다.

 

월가는 아이폰이 미국에서 만들어질 경우 비현실적인 가격대가 형성될 것이라는 우려를 표했다. 뱅크오브아메리카(BofA)는 "아이폰 제작 비용이 90% 늘고 최종 가격은 25% 상승할 수 있다"며 "미국에서 최종 조립하더라도 부품 상당 부분은 여전히 중국산이기 때문에 가격 상승은 불가피하다"고 전망했다. 웨드부시증권의 댄 아이브스는 "아이폰을 미국에서 생산할 경우 가격이 최대 3500달러(약 511만 원)에 이를 수 있다"며 미국 내 생산은 '망상'이라고 일축했다.

 

삼성전자의 베트남 북부지역 박닌성 지역에 있는 휴대폰 생산 공장 전경./ 삼성전자

반면 삼성전자는 이번 관세 유예 조치로 '수혜 기업'으로 떠올랐다. 삼성은 전체 스마트폰 중 약 50%를 베트남에서, 30%를 인도에서 생산하고 있다. 두 나라 모두 유예 대상에 포함되면서 당장 미국 수출에 큰 타격은 없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삼성은 특히 인도 노이다 공장에서 프리미엄 모델인 갤럭시 S 시리즈까지 생산하며 공급망 유연성을 확보하고 있다.

 

하지만 애플과 삼성 모두 장기적으로는 '탈중국' 가속화가 불가피하다는 데 입을 모은다. 닐 샤 카운터포인트리서치 부사장은 "제조업체가 인도 생산 비중을 높이면 단기적인 비용 상승은 감수하더라도 장기적으로는 공급망 안정성과 관세 회피 효과를 동시에 누릴 수 있다"고 설명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