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전기/전자

삼성 AI 로봇 '볼리', 사전 등록 시작…올여름 美 안방시장 공략

볼리, 5년 만에 정식 출시…구글 '제미나이' 탑재
LG전자도 'LG Q9' 하반기 국내 출시 예정

삼성전자 미국 홈페이지에 올라온 지능형 인공지능(AI) 반려로봇 '볼리'의 사전예약을 위한 웹페이지 화면. /삼성전자 미국 공식 홈페이지 갈무리

삼성전자가 5년간의 개발 끝에 가정용 인공지능(AI) 로봇 '볼리'를 올여름 미국 시장에 정식 출시한다. 구글의 최신 생성형 AI '제미나이'를 탑재해 단순한 스마트홈 기기를 넘어 AI 비서형 로봇으로 진화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미국 공식 홈페이지에 볼리의 사전 등록 웹페이지를 열고 출시 준비에 들어갔다. 이용자가 이메일을 등록하면 볼리의 출시 일정과 상세 기능 정보를 받아볼 수 있다.

 

삼성전자가 가정용 AI 로봇 '볼리'를 5년간의 연구개발 끝에 올 여름 미국 시장에 정식 출시한다. 위 화면은 삼성전자 공식 유튜브 내 '볼리' 홍보 영상. /삼성전자 공식 유튜브 화면 갈무리.

볼리는 공 모양의 본체에 두 개의 바퀴가 달린 형태로, 스피커·프로젝터·카메라·마이크 등 다양한 센서를 내장한 가정용 AI 로봇이다. 집안을 자유롭게 이동하며 벽이나 바닥, 천장 등에 1080p 화질의 영상과 정보를 투사한다. 또 음성으로 명령을 수행하거나 전화 연결·음악 재생 등 AI 비서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스마트싱스' 플랫폼과 연동해 가전제품을 통합 제어할 수 있는 것이 강점이다. 배터리는 8시간 이상 지속되며, 스스로 충전 스테이션을 찾아가는 자율 충전 기능도 탑재했다.

 

구글의 멀티모달 AI '제미나이'와 삼성 자체 AI가 결합해 기술적 차별화를 꾀했다. 음성 명령, 시각 정보, 주변 환경 데이터를 종합적으로 분석해 상황에 맞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사용자의 패션 스타일을 인식해 옷차림을 추천하거나, 피곤하다는 말에 수면 환경을 조절하는 등 맞춤형 조언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시장조사업체 모르도 인텔리전스에 따르면, 글로벌 가정용 로봇 시장은 2025년 101억6000만 달러(약 14조8000억원)에서 2030년 240억5000만 달러(약 35조1000억원) 규모로 성장할 전망이다. 2019년부터 2030년까지의 연평균 성장률(CAGR)은 18.81%에 이를 것으로 분석된다.

 

하지만 아직 시장을 장악한 대표적인 제품은 없다. 아마존은 2021년 가정용 로봇 '아스트로'를 999달러(약 140만원)에 출시했지만, 고가에 제한적인 기능으로 인해 시장에서 큰 호응을 얻지 못했다. 메타와 애플도 각각 휴머노이드 로봇과 가정용 로봇 개발에 뛰어들었지만 상용화 단계에는 아직 이르지 못했다.

 

삼성전자는 아직 볼리의 가격을 공개하지 않은 상태다. 한국소비자원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 62%가 가정용 로봇에 관심을 보였으며, 적정 가격대로는 50만~80만 원대를 꼽았다.

 

지난해 11월 15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디자인코리아 2024에서 관람객들이 LG전자의 'LG Q9' 전시 부스를 둘러보고 있다. /뉴시스

LG전자도 AI 가정용 로봇 'LG Q9'을 올해 하반기 출시할 예정이다. LG Q9은 집안 내 다양한 가전과 사물인터넷(IoT) 기기를 연결하는 이동형 AI홈 허브로, 음성·음향·이미지 인식 기반 멀티모달 AI를 적용해 집안을 이동하며 가전제품을 제어하고 사용자와 상호작용한다. 멀티모달은 말소리, 소리, 영상 등 다양한 감각 정보를 동시에 인식해 더 자연스러운 AI 서비스를 구현하는 기술이다. LG Q9는 두 다리 형태의 바퀴로 움직이고, 화면에 눈 모양 이모지를 표시해 감정 표현도 가능하다.

 

LG전자는 마이크로소프트(MS)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맺고 AI 기능 고도화도 추진 중이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