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IT/과학>IT/인터넷

AI 시대 데이터센터 전력수요 165% 폭증 전망

네이버의 춘천 데이터 센터 '각'의 전경. 서버로 빼곡히 들어찬 데이터센터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핵심이다. /네이버

글로벌 스토리지 기업 씨게이트(Seagate Technology)는 15일 '데이터 탈탄소화(Decarbonizing Data)' 보고서를 발표하고, AI 수요 급증에 따른 데이터센터의 전력소비 문제와 지속가능성 과제를 조명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골드만삭스는 전 세계 데이터센터 전력 수요가 2030년까지 2023년 대비 최대 165%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데이터 스토리지 수요가 급증하면서 나타나는 자연스러운 결과로, 씨게이트 조사에서도 응답자의 94.5%가 스토리지 수요가 늘고 있다고 답했으며, 97%는 AI가 이 증가세에 추가 영향을 줄 것으로 봤다.

 

그러나 환경적 우려와 실제 행동 사이에는 뚜렷한 간극이 드러났다. 응답자의 95%는 데이터센터의 환경 영향에 대해 우려하고 있었지만, 실제 구매 결정 시 이를 최우선으로 고려하는 비율은 3.3%에 불과했다. 또 스토리지 장비의 수명 연장이 중요하다고 응답한 비율은 92.2%에 달했지만, 이를 실제 구매 기준으로 삼는 비율은 15.5%에 그쳤다.

 

데이터센터 운영에 가장 큰 부담으로는 ▲높은 에너지 사용(53.5%) ▲원자재 수요(49.5%) ▲공간 제약(45.5%) ▲인프라 비용(28.5%) ▲초기 취득비용(27%)이 꼽혔다.

 

씨게이트는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 세 가지 전략을 제시했다. 우선, 기술 혁신을 통한 에너지 효율화다. 자사의 차세대 HAMR 기반 '모자이크 3+' 스토리지 플랫폼은 기존 대비 동일 면적에서 최대 3배의 용량을 제공하고, 테라바이트당 탄소 배출을 70% 이상 절감, 테라바이트당 비용도 25% 절감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또한 장비 리퍼비시, 재사용, 실시간 환경 모니터링 등을 통한 수명 주기 관리 강화, 벤더·공급망·클라우드 사업자 등 전 생태계의 공동 책임 강화 역시 지속가능한 데이터센터 전환의 핵심으로 제시됐다.

 

씨게이트 제이슨 파이스트 클라우드 마케팅 수석 부사장은 "AI 워크로드를 수용하려는 데이터센터가 전 세계 에너지 소비의 핵심 축으로 떠오르고 있다"며 "비용 절감과 탄소 감축은 양립 가능한 목표이며, 총체적 접근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밝혔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