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전기/전자

"화면 주름 잡은 기술력 통했다"…삼성D, 애플 첫 '폴더블폰' OLED 독점 공급

삼성, LG·BOE 제쳤다
'주름 최소화' 기술이 승부 갈랐다
6년 양산 경험…'애플 신뢰' 얻었다
'애플 효과'로 삼성 점유율 70% 회복하나

애플의 폴더블 아이폰(가칭 '아이폰 폴드') 예상 렌더링 이미지. /정보기술(IT) 매체 맥루머스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캡처

삼성디스플레이가 애플의 첫 폴더블 스마트폰에 탑재할 올레드(OLED·유기발광다이오드) 패널을 독점 공급한 것과 관련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애플이 특정 업체에 디스플레이를 전량 맡긴 것은 매우 이례적인데 업계에서는 삼성디스플레이의 기술적 우위가 결정적으로 작용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21일(현지시간) 애플인사이더와 IT팁스터 등 정보기술(IT) 전문지와 전자업계에 따르면, 애플은 내년 하반기 출시 예정인 폴더블 아이폰(가칭 '아이폰 폴드')에 탑재될 폴더블 OLED 패널 공급사로 삼성디스플레이를 최근 선정했다. 삼성이 공급할 물량은 약 1500만에서 2000만대 규모로, 내년 초 양산에 돌입할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삼성디스플레이 측은 "고객사 관련 사항은 외부 유출이 금지돼 확인해줄 수 없다"고 밝혔다.

 

그동안 애플은 삼성디스플레이, LG디스플레이(LGD), 중국 BOE 등 복수의 디스플레이 공급업체를 두는 '멀티 벤더 전략'을 유지해왔다. 주요 부품의 경우 납품 가격 협상력을 높이기 위해 두 곳 이상에서 조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이번 폴더블폰 패널의 경우 애플은 전량을 삼성디스플레이에 맡기기로 했다. 업계 관계자는 "애플이 첫 폴더블 모델만큼은 안정성과 품질을 최우선에 둔 것 같다"고 설명했다.

 

애플의 이번 결정은 폴더블폰의 핵심 과제인 '화면 주름 최소화' 기술력이 좌우한 것으로 풀이된다. 폴더블 디스플레이는 구조 특성상 주름이 발생하기 쉬운데, 삼성디스플레이는 소재·공정·구조 개선을 통해 이를 최소화하는 데 성공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실제로 삼성디스플레이는 2019년부터 삼성전자 갤럭시 폴드 시리즈에 폴더블 OLED를 공급하며 수년간 상용화를 이어오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6년 이상 누적된 양산 경험과 수율 관리 능력이 애플의 신뢰를 얻는 데 기여했다"며 "품질 기준이 까다롭기로 유명한 애플이 삼성만을 선택했다는 것은 독보적 기술을 인정받았다는 의미"라고 말했다.

 

현재 폴더블 OLED를 대량 양산한 경험이 있는 기업은 삼성디스플레이와 BOE 두 곳뿐이다. LG디스플레이도 애플과 함께 폴더블 디스플레이를 공동 개발해왔지만, 이번 1차 공급사 명단에서는 빠졌다. BOE는 기술력과 수율 측면에서 여전히 한계가 있다는 분석이다.

 

애플의 첫 폴더블폰은 7.8인치 내부 디스플레이와 5.5인치 외부 디스플레이를 탑재할 것으로 예상된다. 가격은 약 2100달러(약 328만 원) 수준으로, 삼성전자의 갤럭시Z폴드6보다 300~400달러 비쌀 것으로 보인다.

 

업계에서는 이번 공급 계약이 글로벌 디스플레이 산업 판도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 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지난해 40% 수준까지 하락했던 폴더블 OLED 점유율을 70% 이상으로 끌어올릴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삼성은 2022년까지 80%대 점유율을 유지했지만, 중국 업체들의 저가 공세로 지난해 큰 폭으로 하락한 바 있다.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리서치는 지난해 폴더블폰 출하량 증가율은 2.9%에 그쳤고, 올해는 가격 부담 등으로 4% 역성장이 예상된다고 전망했다. 업계는 애플의 폴더블폰 진입이 침체된 시장에 다시 불을 붙이는 촉매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