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IT/과학>IT/인터넷

K-미디어 글로벌 확산 신호탄…‘글로벌 K-FAST 얼라이언스’ 공식 출범

23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 스튜디오 159에서 열린 '글로벌 K-FAST 얼라이언스' 출범식에서 단체사진을 찍는 사람들의 모습. 앞줄 왼쪽에서 7번째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과기정통부

대한민국 대표 미디어·테크 기업들이 글로벌 미디어 주도권 확보를 위해 하나로 뭉쳤다. 삼성전자·LG전자·CJ ENM·KBS·MBC·SBS·JTBC·KT·SK브로드밴드·LG유플러스 등 K-콘텐츠와 플랫폼,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아우르는 국내 대표 기업들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도의 '글로벌 K-FAST 얼라이언스'에 참여하며 K-미디어의 세계화를 본격화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는 23일 서울 코엑스 스튜디오159에서 '글로벌 K-FAST 얼라이언스' 출범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에는 유상임 과기정통부 장관을 비롯해 국내 미디어·통신 대기업과 AI·플랫폼 기술기업, 유관기관 관계자 20여 명이 참석했다. 총 22개 기업·기관은 이날 다자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K-미디어 글로벌 확산을 위한 공동 협력을 약속했다.

 

'글로벌 K-FAST 얼라이언스'는 K-콘텐츠의 해외 진출을 돕는 개방형 민관 협의체로, 김성철 고려대 교수가 민간 의장을 맡았다. 이번 협의체 출범은 광고 기반 무료 스트리밍 TV(FAST, Free Ad-supported Streaming TV) 서비스의 해외 진출을 본격화하기 위한 민관 협업의 첫 걸음이다.

 

글로벌 K-FAST 얼라이언스는 단순한 콘텐츠 유통을 넘어, 콘텐츠(C), 플랫폼(P), 네트워크(N), 디바이스(D)의 융합이라는 4대 축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글로벌 미디어 전략이다. 힘을 모은 기업들은 AI 더빙, 해외 현지화, 글로벌 광고·커머스 연계, 국제 컨퍼런스 등 실질적이고 전략적인 협력을 통해 한국 FAST 생태계의 국제적 확산을 목표로 한다.

 

이날 간담회에서는 K-FAST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AI 더빙을 통한 현지화 ▲광고·커머스 연계 수익모델 ▲국제 FAST 컨퍼런스 개최 등 후속 사업이 논의됐다. 과기정통부는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와 함께 얼라이언스 사무국을 운영하고, 국내 기업의 글로벌 진출을 위한 행정·기술적 지원도 병행할 방침이다.

 

과기정통부는 얼라이언스 운영 사무국인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와 함께 현지 시청장벽 극복을 위한 AI 더빙 특화 K-미디어 현지화 지원, 해외 시청 데이터에 기반한 광고·커머스 연계 등 융합 프로젝트 발굴, 국제 FAST 컨퍼런스 개최 등을 지원해 나갈 예정이다.

 

유상임 과기정통부 장관은 "K-FAST는 콘텐츠, 플랫폼, AI 기술의 융합을 통한 새로운 글로벌 성장 동력"이라며, "정부는 민간과 함께 한국 미디어 산업이 FAST 시장에서 주도권을 확보할 수 있도록 전폭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김성철 얼라이언스 민간 의장은 "K-FAST의 글로벌 확산을 위해선 민관의 유기적 협력이 필수"라며 "이번 얼라이언스를 기반으로 다양한 공동 프로젝트와 전략적 연계를 통해 세계 시장에서 K-미디어의 입지를 확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