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심 교체 대란에 고객 불안 '폭발'
온라인 예약 실패·현장 대기 행렬 이어져
집단소송 카페 개설…SKT 신뢰 위기 직면
SK텔레콤의 중앙 서버 해킹에 따른 유심(USIM) 정보 유출 사건의 후폭풍이 가라앉지 않고 있다. 가입자들은 유심 교체를 위해 오픈런을 불사하고, 집단 소송을 위한 대응 카페도 만들어 모였다. SK텔레콤이 내놓은 유심보호서비스 가입만으로는 불안감을 느낀 이들이 추가적인 조치를 위해 PASS 앱으로 몰리면서, PASS 또한 먹통이 됐다.
28일 <메트로경제신문> 취재에 따르면 SK텔레콤 직영 대리점인 T월드에 이날 오전 8시 이전부터 사람들이 길게 줄을 서는 오픈런이 있었다. 모두 SK텔레콤 고객으로 유심 교체를 위함이었다. 남녀노소를 가리지 않는 줄은 옆 상가까지 이어졌다. 메트로경제신문>
서울시 중구 명동 T월드에 일찌감치 줄을 선 김수영(45)씨는 "마음이 급해 일단 연차를 내고 왔다"면서 "이렇게 심각한 사건을 덮으려 했다니 믿어지지 않는다"고 분통을 터뜨렸다. 이날 가장 먼저 도착한 사람은 7시 30분 경 도착한 김모씨였다.
박모(24)씨는 노인들을 염려했다. 박씨는 "나는 대학생이고 인터넷으로 정보를 빨리 알았지만, 노인들은 어떡하나 싶다"면서 "SK텔레콤이 직접 전화하고 문자하며 알려야 하는 게 아닌가 싶다"고 말했다.
SK텔레콤은 전날 "사이버 침해 피해를 막기 위해 28일 오전 10시부터 전국 2600여 곳의 T월드 매장에서 희망하는 고객들을 대상으로 유심 교체를 무료로 진행한다"며 "온라인 예약 시스템을 28일부터 개시한다"고 안내했다. 그러나 이날 SK텔레콤의 유심 교체 온라인 예약 시스템은 예약을 위해 사람들이 몰리면서 최대 10만 명대까지 대기자가 늘어나는 등 정상적인 서비스 이용이 불가능했다.
접속에 성공해도 다음 화면으로 넘어갈 수 없는 경우가 부지기수였고, 예약을 완료하더라도 날짜 등을 선택할 수 없어 편의성이 떨어졌다.
PASS 앱도 25일부터 먹통이 됐다. PASS 앱을 이용하면 명의도용방지와 피싱 사이렌 등 보안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어 이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람들이 몰리면서다. PASS 앱은 28일 현재 "KAIT(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에서 제공하는 명의도용방지서비스의 이용량 급증으로 인해 서비스 제공이 일시 중단되거나 지연이 발생할 수 있다"며 "현재 안정화 작업을 진행 중이며 신속히 정상화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일부 가입자들은 집단소송 등 공동 대응을 위한 움직임에 나섰다. SK텔레콤 가입자에 의해 27일 네이버에 'SK텔레콤 개인정보유출 집단소송카페'가 개설됐는데, 28일 오후 2시 현재 가입자 수는 1만8353명에 이르고 있다.
카페 운영진은 "본 카페는 집단소송 준비를 위한 피해자 모임을 구성 중"이라며 "사건의 성격상 피해자 확인 및 자료 수집 후 법률 대응이 병행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집단 소송에 참여할 법무법인 등의 문의를 받겠다고 밝혔다.
집단소송 카페 외에도 'SKT 유심 해킹 공동대응 공식 홈페이지'가 개설됐다. 해당 홈페이지 운영진은 SK텔레콤 유심 해킹 사건에 대해 국민동의 청원을 진행하고 있다.
한편, SK텔레콤에 따르면 지난 19일 오후 11시경 악성코드로 인한 고객 유심 관련 정보 유출 정황이 내부 감사를 통해 발견됐다. SK텔레콤은 해당 사실을 확인한 즉시 악성코드를 삭제하고 해킹이 의심되는 장비를 즉각 격리 조치했다. 이후 20일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 침해사고 사실을 신고했으며, 22일 오전 10시에는 개인정보보호위원회에도 관련 사실을 신고하고 조사에 협조 중이다.
유영상 SK텔레콤 CEO는 지난 25일 서울 을지로 사옥에서 해킹 사태에 대해 공식 사과하고 "모든 SK텔레콤 고객분들께 유심보호서비스를 널리 알리기 위해 안내 문자를 발송했고, 디지털 취약 계층 고객에게는 상담사가 직접 전화로 가입을 돕고 있다"고 설명했다.
Copyright ⓒ Metro. All rights reserved. (주)메트로미디어의 모든 기사 또는 컨텐츠에 대한 무단 전재ㆍ복사ㆍ배포를 금합니다.
주식회사 메트로미디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17길 18 ㅣ Tel : 02. 721. 9800 / Fax : 02. 730. 2882
문의메일 : webmaster@metroseoul.co.kr ㅣ 대표이사 · 발행인 · 편집인 : 이장규 ㅣ 신문사업 등록번호 : 서울, 가00206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2546 ㅣ 등록일 : 2013년 3월 20일 ㅣ 제호 : 메트로신문
사업자등록번호 : 242-88-00131 ISSN : 2635-9219 ㅣ 청소년 보호책임자 및 고충처리인 : 안대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