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증권>증권일반

공매도 재개 한 달…거래는 안정, 외국인은 '감감무소식'

공매도 재개 후 외국인 9조 순매도
공매도 1조7000억에서 6000억대로 안정화 수순

지난 2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에서 딜러들이 업무를 보고 있다. 코스피는 전 거래일(2556.61)보다 3.18포인트(0.12%) 상승한 2559.79에, 코스닥 지수는 전 거래일(717.24)보다 4.62포인트(0.64%) 오른 721.86에 거래를 마무리했다.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 주간 거래 종가(1421원)보다 15.7원 내린 1405.3원에 주간 거래를 마쳤다./뉴시스

지난 3월 31일 공매도가 전면 재개된 지 한 달이 지났다. 그간 시장에 쏟아졌던 하방 압력에 대한 우려와 달리 지수는 비교적 안정적인 흐름을 보였지만, 기대됐던 외국인 자금 유입은 오히려 대규모 순매도로 나타났다. 한편 공매도 거래 규모는 점차 안정세에 들어서며 과열 종목 수도 줄고 있는 추세다.

 

4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공매도 재개 이후 한 달여간(3월 31일5월 2일) 코스피·코스닥 공매도 거래대금은 총 20조3649억원으로 집계됐다. 일평균 거래대금은 8485억원으로, 전면 금지 직전 한 달(2023년 10월 4일11월 3일)간의 7884억원보다 약 8% 증가한 수준이다.

 

재개 첫날인 3월 31일에는 공매도 거래대금이 1조7289억원에 달했지만, 이후 점차 줄어 4월 말에는 6000억~7000억원대 수준으로 안정됐다.

 

공매도 과열 종목 수 역시 감소 추세다. 재개 첫날 43개 종목이 공매도 과열 종목으로 지정됐으나, 4월 30일에는 17개로 줄었다. 이달부터는 지정 기준이 완화되면서 과열 종목 수는 더욱 줄어들 가능성이 있다.

 

증시 흐름도 우려보다는 안정적이었다. 코스피 지수는 공매도 재개 직전일인 3월 28일 2557.98에서 5월 2일 2559.79로 거의 변동이 없었고, 코스닥 지수는 693.76에서 721.86으로 약 4% 상승했다. 미국발 관세 정책이라는 외부 변수 속에서도 시장은 선방했다는 평가다.

 

다만 외국인 자금 유입은 기대에 못 미쳤다. 공매도 거래의 85.12%가 외국인에 의해 이뤄졌으며, 기관은 13.66%, 개인은 1.22% 수준에 그쳤다. 공매도 재개로 외국인 수급이 개선될 것이란 기대와 달리, 외국인은 4월 한 달 동안 코스피 주식을 9조원 이상 순매도하며 2020년 3월 코로나19 사태 이후 가장 큰 매도 규모를 기록했다.

 

김수연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공매도 재개가 외국인의 매도 강화에 일정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며 "이제는 공매도와 관세 변수 모두 시장에 일정 부분 반영됐으며, 5월에는 외국인의 대규모 매도 가능성은 낮다고 본다"고 분석했다.

 

현재 공매도 잔고 비율이 높은 종목은 에코프로비엠, 에코프로, 젬백스, 엔켐, 하나마이크론, 포스코퓨처엠, SKC 등으로, 이차전지와 반도체주에 집중되고 있다. 대표 성장주에 대한 공매도 집중은 계속되고 있는 셈이다.

 

노동길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5년 만에 전 종목을 대상으로 공매도가 재개되면서 시장이 가장 우려했던 것은 변동성 확대로, 재개 당일 공매도 비중이 코스피 15.7%, 코스닥 8.5%까지 증가하기도 했다"며 "다만 단기 공매도 오버슈팅은 진정 중으로 본다"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