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증권>증권일반

"정권 따라 사라질까, 간판 바꿔 살릴까"…코리아밸류업 ETF로 본 업계 셈법

정책 효과에도 '코리아밸류업 ETF' 수익률 코스피 수준 그쳐
정치 주도형 펀드 반복 지적
운용업계, 독립적 상품성 강조
정권 교체 앞두고 정책 연계성 부각…'관제펀드' 전락 우려↑
밸류업 취지 살리면 투자 가치 여전하다는 시각도

ChatGPT로 생성한 '코리아밸류업 ETF'에 대해서 고민하는 자산운용사 관계자들의 모습

지난 정권의 증시 활성화 정책에 따라 출시된 '코리아밸류업 상장지수펀드(ETF)'가 조기 대선을 앞두고 자산운용업계의 검토 대상이 되고 있다. 수익률은 코스피와 비슷한 수준에 그쳤고, 정권 주도형 상품이라는 인식이 뚜렷한 만큼 운용사들은 향후 전략을 신중히 따져보는 분위기다.

 

6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4일 동시 상장된 코리아밸류업 ETF 12종 가운데 7종은 연초 이후 수익률 기준으로 코스피지수 상승률(6.71%)을 소폭 웃도는 성과를 냈다. 하지만 전체 평균 수익률은 6.68%로 큰 차이는 없었고, 기대를 크게 뛰어넘는 성과로 보기엔 아쉬운 수준이라는 평가도 나온다.

 

그럼에도 이런 성과보다 더 민감한 건 '정책 연계성'이다. 코리아밸류업 ETF 구조상 정부 주도 정책과 연결돼 있다 보니, 정권 교체 가능성이 나오는 현 시점에서 '또 하나의 관제펀드'로 전락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정책 추진력이 약해질 경우 시장의 관심이나 상품의 명분이 자연스럽게 희미해질 수 있다는 지적도 있다.

 

한 ETF 운용사 본부장은 "정권마다 증시 활성화를 외치며 테마성 ETF를 만들고는 임기를 넘기면 외면해왔다"며 "ETF라는 상품이 원래 중장기 투자를 유도해야 하는데, 정권 정책에 따라 태어나고 소멸하는 식의 정치 주도형 펀드 문화는 지양돼야 한다"고 말했다.

 

대표적으로 이명박 정부의 녹색성장 펀드, 문재인 정부의 뉴딜 테마 펀드 등도 한때 정책 프리미엄을 누리며 시장에 등장했지만 지금은 대부분 소규모 펀드로 전락하거나 상장폐지의 길을 걸었다.

 

다만 시작은 정책 주도형이었더라도, 본래 취지인 '기업가치 제고'라는 방향성에 충실하다면 코리아밸류업 ETF가 시장에서 여전히 유효하다는 주장도 있다.

 

한 자산운용사의 코리아밸류업 ETF 운용역은 "밸류업이라는 이름 자체는 중요하지 않을 수 있다"며, "어떤 차기 정부가 들어서든 상법·세법 개정에 대한 관심은 이어질 것으로 보이며, 명칭이나 캐치프레이즈가 바뀌더라도 제도적 방향은 유지되고 발전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또 "지수를 추종하는 밸류업 ETF는 이미 잘 알려진 대형 우량주 위주로 구성돼 있다 보니, 주주환원 성장에 따른 주가 리레이팅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도 있다"며 "오히려 향후 중견·중소기업들이 자본 배치 변화나 세대교체를 통해 새로운 주주환원 모델을 보여줄 수 있어 핵심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또 다른 자산운용사 관계자는 "코리아밸류업 ETF는 특정 종목을 중심으로 하지 않고, 우량기업의 기업가치 제고라는 보편적인 테마를 다루고 있기에 정치에 좌우될 상품은 아닐 것"이라면서도 "다만 일반 투자자 입장에서는 '이전 정권의 정책 ETF'라는 인식만으로도 수급이 빠질 수 있다는 점은 부담"이라고 말했다. 이어 "ETF 이름을 바꾸면 효과가 있을 수도 있지만, 그마저도 쉽게 결정할 수 있는 일은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자산운용업계는 궁극적으로 특정 정부 정책에 의존하지 않고, 시장에서도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는 상품성이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