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유통>유통일반

고령화·건강 관심 확산…‘황금알’ 건기식에 식품기업 몰린다

건강한 라이프스타일을 실천하는 여성이 아침 일과 중 영양제를 챙겨 먹고 있다. /AI 생성 이미지

건강기능식품(건기식) 시장이 고령화와 건강에 대한 관심 증가에 힘입어 내수·수출 양면에서 고성장을 이어가고 있다. 이에 주요 식품기업들도 건기식을 신사업으로 낙점하고 본격적인 시장 공략에 나서고 있다.

 

한국건강기능식품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건기식 시장 규모는 6조 440억원에 달한다. 고령화가 빨라지고 있는데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건강관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건기식 시장 규모가 6조원대로 커졌다.

 

건기식은 수출 효자 품목이기도 하다. 관세청 수출입무역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건강기능식품(건기식) 등 미분류 조제식품 수출액이 9억147만 달러(약 1조3259억 원)를 기록하며 사상 최대치를 경신했다. 전년 대비 6.3% 증가한 수치다.

 

국가별 수출 순위를 보면, 중국이 2억1440만 달러로 최대 시장을 형성했고, 이어 일본(1억1096만 달러), 베트남(1억 328만 달러), 미국(8165만 달러), 인도네시아(7155만 달러) 순이다.

 

홍삼 제품은 전체 건기식 수출의 약 30%를 차지하고 있다. KGC인삼공사는 지난해 정관장 제품을 40여 개국에 260여 종 수출했으며 국적별 소비자 요구를 반영한 신상품을 기획해 출시할 예정이다.

 

국내에서는 브랜드 포트폴리오를 효능 중심으로 세분화 확장하는 전략으로 건기식 시장 지배력을 강화해 나간다. GLPro(혈당 기능성), RXGIN(남성 갱년기 기능성) 등 홍삼의 새로운 기능성을 인정받은 제품과 기:다림 침향 등의 새로운 소재발굴을 통해 포트폴리오를 다변화할 방침이다.

 

프로바이오틱스와 비타민도 해외에서 인기다. hy는 현지 판매 채널을 확대하면서 관련 제품 수출을 강화하고 있다. hy는 2021년 자사의 특허 프로바이오틱스(HY7601·HY7714)를 미국 식품의약국(FDA)에서 '신규건강식품원료'(NDI)로 승인받은 바 있다. 이듬해에는 또 다른 특허 프로바이오틱스(HY2782)에 대한 인증을 마쳤다.

 

식품기업들은 건기식을 신사업으로 낙점하고 제품 개발 및 출시에 적극 나서고 있다.

 

대다수 식품기업은 이미 HACCP(위해요소중점관리기준)이나 GMP(우수 제조관리기준) 등 위생·품질 관리 체계를 갖추고 있어 건강기능식품 제조에 필요한 기반 인프라를 보유한 상태다. 여기에 대부분의 건기식 제품이 식약처에서 기능성을 인정한 고시형 원료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 별도의 까다로운 임상시험 없이도 간단한 절차를 거쳐 제품화가 가능하다. 이 같은 제조 인프라와 제도적 간소화는 식품업체가 건기식 시장에 빠르게 진입할 수 있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삼양식품은 '웰니스&헬스케어'를 그룹 신성장 축으로 삼고, 식물성 헬스케어 브랜드 '잭앤펄스'를 통해 '딥슬립 포션 아쉬아간다', '에너블라스트 포션 원터치샷' 등 제품을 선보였다. 김정수 삼양라운드스퀘어 부회장은 연초 "건기식 시장을 공략하고 브랜드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하겠다"고 선언한 바 있다.

 

농심은 2020년부터 '라이필' 브랜드를 론칭해 콜라겐, 유산균, 오메가3, 락토페린 등 라인업을 확장하고 있으며, OEM 방식에서 탈피해 자체 생산 체제 구축을 위한 인수합병(M&A)도 검토 중이다.

 

CJ웰케어는 이너뷰티 브랜드 '이너비'를 통해 '글루타치온 골드' 등 신제품을 내놨고, hy는 맞춤형 영양제 구독 서비스 '닥터잇츠'를 런칭해 시장 공략을 강화하고 있다. 대상웰라이프는 뉴케어, 마이밀 같은 균형 영양식 브랜드를 기반으로 수출과 내수 모두에서 사업을 확장 중이다.

 

건기식 시장은 고령 인구 증가와 건강에 대한 인식 제고에 따라 장기적 성장이 전망된다. 2023년 65세 이상 고령 인구는 898만명이었으나, 2072년에는 1727만명까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업계 관계자는 "아직 건기식 시장에 절대 강자가 없어 식품기업 입장에서 매력적인 신성장동력"이라며 "건강 기대수명의 증가로 소비자 수요도 꾸준히 늘고 있어 차별화된 제품과 안정성 확보가 향후 경쟁력의 핵심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