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Fun&Joy>사주

[김상회의 사주속으로] 복 복 복

image

 

한국만큼 전통적으로 복(福)에 대해 기대가 큰 민족도 드물 것 같다. 예로부터 중국이나 몽고 등 외세의 침략도 적지 않았지만, 삼국시대 이후로 씨족에 기반한 문화였던 만큼 한평생 가족의 안녕과 가문의 번영을 복에 기대는 심리는 이 집 저 집 할 것 없는 최대 관심사였을 것이다. 개인의 운명에서도 따라서 복을 많이 갖고 타고 태어나는 것 그 자체를 매우 중요하게 생각하는 기저가 강하다. 국난도 많았고 산지가 7할이어서 평야도 많지 않으니 먹고 사는 문제도 쉽지 않았던 터, 복을 바라는 마음이 얼마나 간절했던지 한국인들의 이름에 복 자가 들어간 것이 은근히 많다.

 

남아 이름으로 복동(福童)이니 만복(萬福)이, 여아 이름으로는 복실(福實)이, 복녀(福女), 복순(福順)이 등이 대표적이다. 그뿐인가? 복조리, 복주머니 등은 새해에 만들어 선물로 주거나 집 안의 여기저기에 달아놓곤 했다. 아기가 태어나면 복자를 수 놓은 강보로 아기를 쌓아 절 뿐만 아니라 베갯모에도 복자를 수놓아 태어나는 그 순간부터도 항상 복과 함께하길 바랐다. 비단 갓난아기의 강보뿐만 아니라 보통 가정집부터 왕가에 이르기까지 요와 이불, 베갯잇, 식탁 위의 음식을 덮는 식탁보 등등에도 복자 무늬는 기본이었다.

 

전통적으로 입춘 때 국가기관이나 일반 가정집 할 것 없이 집의 기둥이나 대문에 입춘대길(立春大吉)이나 건양가경(建陽多慶)을 비는 입춘축도 복을 비는 문구요, '소문만복래(笑門萬福來)'라는 복자가 든 글귀를 붙이는 곳도 많았다. 전통적인 정서상 여름에 문을 가리는 발이나 창살 문양에도 복자 문양을 넣어 길상 함을 구했다. 사주로는 오행이 조화를 이루는 가운데 정관 정재 정인을 갖추면 풍파를 견뎌낼 수 있는 성정으로 복이 있다고 본다. 물론 대운이 변수이긴 하지만 말이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