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Fun&Joy>사주

[김상회의 사주속으로] 양반이 따로 있나

image

 

대한민국 국민의 정서와 행동 양식에 가장 영향을 끼친 것은 아무래도 조선 시대 때의 문화와 전통에 기인한 것이 크다. 사농공상의 신분제도가 엄연했던 조선 시대는 반상의 구분과 도리가 엄연하여 군자의 도를 지향하는 선비정신은 고결한 것으로 간주했다. 고려와 조선 시대에 있어 상위는 흔히 사족(士族)에 해당하는 계급을 양반(兩班)이라 지칭했다. 양반 계급은 정치에 참여할 수 있는 관료와 사림(士林)이라 불렸던 선비 계층까지 포함하는 부류로서 문관과 무관을 지칭하는 관료적 의미였다.

 

국왕이 정무를 볼 때 남쪽을 보고 앉은 국왕을 기준으로 왼편인 동쪽에는 문관이 늘어섰기에 동반(東班) 또는 문반(文班)이라 했다. 오른편인 서쪽에는 무관이 서반(西班) 또는 무반(武班)으로써 늘어섰기에 그들을 두 개의 반(班)이라는 의미에서 양반이라 했다는 것이 양반 지칭에 대한 유래이기도 하다. 시간이 흐르면서 반상 제가 확고해지는 신분상의 의미로 변화했다. 아무튼, 사회의 최상위 계급층으로서 양반이 되는 것은 신분의 상승이자 출세 층에 속함을 의미했다.

 

시간이 흐르면서 양반은 토지와 노비를 많이 소유하여 경제력은 물론 과거나 음서 등을 통하여 국가의 고위 관직을 독점하게 되니 권력 또한 상위가 된다. 기득권자가 되는 것이다. 그렇다면 이들의 사회적 역할은 어떠했을까. 나라와 사회를 이끌어가는 데 신분적 특권에 맞는 덕성과 대의의 실천을 보여줬을까. "양반이 따로 있나?"라는 말이 그 답이 되지 않을까. 높은 관직이나 양반이라는 신분이 반드시 사회적 기대와 인격에 비례하지 않았기에 나온 얘기가 아닐까. 그래도 조선 시대 때 선비정신은 인격적 완성을 위해 끊임없이 학문과 덕성을 키우며 대의와 의리를 위해 목숨까지도 버리는 정신이라고 알려져 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