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제약/의료/건강

한미약품, 세계 최대 학회서 '항암제' 역량 높여..."국내 최다 건수 발표"

한미약품 R&D센터 연구원이 '미국 암연구학회(AACR 2025)'에서 발표하고 있다. /한미약품.

한미약품은 지난달 25~30일(현지 시간) 미국 시카고에서 열린 '미국암연구학회(AACR 2025)'에서 7개 신약 후보물질에 대한 11건의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고 13일 밝혔다.

 

한미약품은 3년 연속으로 국내 제약·바이오 업체 중 가장 많은 연구 성과를 발표하고 있다.

 

가장 주목받은 발표는 'STING mRNA 항암 신약'이다. 이 약물은 선천 면역반응을 조절하는 핵심 신호전달 단백질인 STING 단백질을 직접 발현시켜 강력한 항암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 기전을 갖췄다. 면역 반응의 시작을 근본적으로 재구성하는 전략이다.

 

한미약품은 세포주를 활용한 실험을 통해 암세포 및 면역세포에서 STING mRNA 항암 신약이 항종양성 사이토카인 분비를 증가시키는 등 다양한 면역 반응을 활성화시키는 것을 확인했다. 대장암 동물 모델에서는 STING mRNA 항암 신약의 단독 투여만으로도 유의미한 종양억제 효과가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기존 STING 단백질 작용제에서는 대사적 불안정성, 세포질 내 전달 효율 저하, 실제 암 조직 내 STING 단백질 발현 감소 등이 한계점으로 꼽힌다. 한미약품은 이러한 한계점으로 인해 제한적이었던 치료 효과를 개선해 새로운 면역치료 전략을 제시한다는 방침이다.

 

이밖에 한미약품은 'p53 mRNA 항암 신약' 연구결과 2건을 발표하며 mRNA 플랫폼 기반 연구성과를 공유했다.

 

또 표적항암 신약으로는 EZH1/2 이중저해제 'HM97662' , 선택적 HER2 저해제 'HM100714' , MAT2A 저해제 'HM100760', SOS1 저해제 'HM101207' 등을 소개했다.

 

특히 HM97662는 '유전자 조절 스위치 단백질'이라고 불리는 EZH1과 EZH2를 동시에 저해하는 기전을 갖춘 것이 특징이다.  이 두 단백질은 암을 유발하는 단백질 복합체의 핵심 요소인 것으로 알려졌다.

'HM97662'는 EZH1과 EZH2를 동시에 저해함으로써 암을 유발하는 단백질을 억제해 항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한미약품은 현재 한국과 호주에서 'HM97662' 글로벌 임상 1상을 진행하고 있다. 진행성 또는 전이성 고형암 환자에서 단일 제제로 투여한 HM97662의 안전성, 내약성 등을 평가한다.

향후에는 적응증을 특정해 후속 임상을 확장할 계획이다. 미충족 의료 수요가 높은 소세포폐암의 새로운 치료 옵션을 연구한다.

 

한미약품 관계자는 "올해 AACR 발표에는 한미의 신약개발에서 핵심 근간을 이루는 항암 파이프라인의 창조적 미래 가치를 선보인 데 이어, 5월 유럽내분비학회(ESE), 6월 미국당뇨병학회(ADA)에서 각각 희귀질환과 비만대사 분야 혁신 연구 성과를 공개하는 등 한미의 글로벌 R&D 경쟁력을 계속 입증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