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전기/전자

삼성·LG디스플레이, 'SID 2025'서 차세대 'OLED 격돌'

삼성D, 자체발광 'EL-QD' 선보여
LGD, 밝기 높인 초고휘도 OLED 적용
車·노트북까지 친환경 기술 확대

삼성디스플레이가 'SID 2025'에서 공개한 400니트 고휘도 '전계발광 퀀텀닷(EL-QD)'. /삼성디스플레이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가 13일(현지 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새너제이 맥에너리 컨벤션센터에서 개막한 '디스플레이 위크 2025(SID 2025)'에서 차세대 올레드(OLED·유기발광다이오드) 기술과 신제품을 대거 공개했다.

 

SID는 전 세계 주요 디스플레이 기업과 연구진이 신기술 논문을 발표하고, 미래 제품을 전시하는 세계 최대 규모의 디스플레이 행사다.

 

◆ "퀀텀닷부터 XR까지" …삼성D, LED 없이도 빛나는 'EL-QD' 공개

 

삼성디스플레이는 SID 2025에서 '전계발광 퀀텀닷(EL-QD)' 기술을 공개했다. OLED 없이도 퀀텀닷(QD) 입자가 전기를 받아 스스로 빛을 내는 기술로, 기존 QD-OLED보다 색 정확도와 전력 효율이 크게 향상됐다.

 

이번에 선보인 EL-QD는 ▲400니트 밝기의 고휘도 모델 ▲264PPI(인치당 픽셀 수)의 고해상도 모델 두 가지다. 각각 지난해 공개한 제품(250니트, 202PPI)보다 성능이 한층 개선됐다.

 

헬스케어 기능을 더한 '센서 OLED 디스플레이'도 실물로 전시됐다. 디스플레이 화면 어디든 지문을 인식할 수 있고, 빛 반사를 통해 혈류량을 측정해 심혈관 건강 상태까지 분석할 수 있다. 올해 초 국제 학술지 '네이쳐 커뮤니케이션스'에 소개된 바 있다.

 

확장현실(XR) 기기에 최적화한 소형 디스플레이도 함께 공개됐다. 손목시계 크기인 1.4형 RGB 올레도스는 5000PPI의 초고해상도와 1만5000니트 밝기, 120헤르츠(Hz) 주사율을 구현해 8K TV를 능가하는 수준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이 외에도 ▲2만니트 밝기의 'RGB 올레도스' ▲자유자재로 구부리고 늘릴 수 있는 '마이크로LED 기반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접을 수 있는 '폴리건 폴더블' ▲가방 형태의 '플렉시블 브리프케이스' 등 미래형 디스플레이 제품도 대거 전시됐다.

 

◆LGD, OLED 전 라인업 총출동…차세대 TV·차량·노트북 공략

 

LG디스플레이 직원이 12일(현지시간) 세계 최대 디스플레이 전시회 'SID 2025'가 열리는 미국 새너제이 맥에너리컨벤션센터 앞에서 참가 소식을 알리고 있다. /LG디스플레이

LG디스플레이는 중형부터 대형, 차량용까지 아우르는 OLED 전 라인업을 선보이며 기술 리더십을 강조했다. 전시장은 ▲대형 OLED ▲차량용 디스플레이 ▲지속 가능한 기술 등 3개 구역으로 구성했다.

 

대형 OLED 존에서는 '프라이머리 RGB 탠덤' 구조를 적용한 4세대 OLED 패널을 전시했다. 적·녹·청(RGB) 소자를 수직으로 쌓는 방식으로, 최대 밝기 4000니트를 구현했다. 해상도가 낮은 영상도 선명하게 보이도록 업스케일링 기능을 강화하고, 전력 효율도 65인치 기준 약 20% 개선했다.

 

하나의 모니터로 게임과 영화 등 여러 콘텐츠에 최적화할 수 있는 '동적 주사율·해상도 전환(DFR)' 기술도 소개했다. 콘텐츠에 따라 고주사율 모드와 고해상도 모드를 자유롭게 전환할 수 있다.

 

차량용 존에서는 세계 최대 크기의 57인치 '필러투필러(P2P) OLED'와 천장에서 펼쳐지는 '18인치 슬라이더블 OLED' 등을 탑재한 콘셉트카가 전시됐다. 제품들 모두 영하 40도부터 영상 85도까지 극한 환경에서도 안정적으로 작동하도록 설계됐다.

 

아울러 저전력·친환경 기술을 적용한 '16인치 네오 LED(Neo:LED) 패널'과 친환경 소재를 41% 적용한 '14인치 노트북용 패널' 등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신제품도 함께 선보였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