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산에 올라 사방을 뒤덮은 매연의 띠를 바라보면, 우리 사회가 몸부림칠수록 탈출은커녕 갈수록 더 빠져들 것 같은 갈등과 대립의 늪을 떠올리게 된다. 힘센 인사들끼리 벌어지고 있는 미증유의 아귀다툼은 한마디로 경제성장과 공동체 의식이 균형을 이루지 못하면서 비롯되었다고 판단된다. 그럭저럭하다 큰 혜택을 받은 인사들일수록 수단 방법 가리지 않고 더욱 움켜쥐려는 광경들이 사람들을 지치게 하고 있다. 실천 의지도 능력도 없이 말재주나 뽐내려 드는 인사들의 후안무치한 모습들을 볼 때, 성장동력이 나락으로 떨어지고 있다는 보도가 우연이 아님을 느끼게 된다.
우리나라는 물질적 빈곤 상태를 탈출하는 과정에서 정신적으로는 더 빈곤하고 공허하게 되었음을 부인하기 어렵다. 공동체 의식과 경제성장이 조화와 균형을 이루며 발전하기보다는 잘 살기만 하면 된다는 경쟁심리를 부채질해 왔기 때문일까? 날이 갈수록 혐오감과 적대감이 깊어지는 사회에서 경제가 어떤 모습으로 변해왔을까? 1인당 국민소득이 아시아 1위를 기록하면서도 OECD 국가 중 가장 큰 빈부격차에다 노인빈곤율 절대적 1위, 자살률 1위라는 오명이 굳어졌다. 절대빈곤을 벗어난 국가 중에서 한국인 행복지수 또한 세계에서 가장 낮은 수준이다. ‘생각하는 갈대’로서 인간은 아무리 배가 불러도 마음이 평안해야 비로소 삶의 가치를 느낀다.
사람들의 귀감이 되고, 세상의 등대가 되어야 할 지도층 인사들이 탐욕에 빠져 갈팡질팡하며 헤매는 모습이 여기저기 널려 있다. 최소한의 도덕이나 규범도 없이 보통 사람이라면 부끄러워 흉내도 내지 못할 행동을 저지르고도 엉뚱한 넋두리를 늘어놓다 돌연 애국을 부르짖는 모습이 자주 보인다. 무지한 다수가 이들을 영웅으로 떠받들고 편을 갈라 말장난에 장단 맞춰 괴성을 지르는 장면을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 자칫하다 대중독재(大衆獨裁, Mass Dictatorship) 색채가 짙어질 우려가 잠재하고 있다.
백범일지(白凡逸志)를 읽어보면, 자신에게는 서릿발처럼 엄격하였으며, 이웃에게는 따뜻한 정을 준 흔적을 여기저기서 느끼게 된다. 어느 저명인사는 “남에게는 봄바람처럼 부드럽고, 자신에게는 서릿발처럼 엄격하라(待人春風 持己秋霜, 채근담)”고 담벼락에 써 붙여놓고, 실제 행동거지는 남들에게는 서릿발처럼 냉정하고 자신과 패거리에게는 봄바람처럼 따뜻하게 대하는(待人秋霜 持己春風) 해학을 연출하고 있다. ‘내로남불’이라는 수치스러운 한국말이 해외 어학사전에 두루 등재된 까닭 아니겠는가?
제 몸을 닦지 않아 악취가 나는 인사가 힘을 휘두르는 사회는 정신적 빈곤으로 성장동력이 무너지기 쉽다. 중장기로 내로남불 사회의 국가경쟁력이 갈수록 곤두박질치는 까닭이 하등 이상하지 않다. 자라나는 청소년들에게 시기하고 질투하는 경쟁심리를 북돋우지 말고 수신제가(修身齊家) 자세부터 가르쳐야 한다. 마음을 바르게 닦고 주변을 가지런하게 한 다음 공동체에 봉사할 뜻을 펼칠 수 있다. 지도자가 되고 싶은 미래의 주역들에게 파렴치한 행동을 자제하는 계기로 작용할 수 있다. 제 마음을 추스르지 못하고 어찌 가정을 책임지고 사회를 돌 볼 수 있겠는가?
Copyright ⓒ Metro. All rights reserved. (주)메트로미디어의 모든 기사 또는 컨텐츠에 대한 무단 전재ㆍ복사ㆍ배포를 금합니다.
주식회사 메트로미디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17길 18 ㅣ Tel : 02. 721. 9800 / Fax : 02. 730. 2882
문의메일 : webmaster@metroseoul.co.kr ㅣ 대표이사 · 발행인 · 편집인 : 이장규 ㅣ 신문사업 등록번호 : 서울, 가00206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2546 ㅣ 등록일 : 2013년 3월 20일 ㅣ 제호 : 메트로신문
사업자등록번호 : 242-88-00131 ISSN : 2635-9219 ㅣ 청소년 보호책임자 및 고충처리인 : 안대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