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제약/의료/건강

한미약품, '머크'와 글로벌 파트너십 확대..."항암 파이프라인 경쟁력 높일것"

올해 1월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2025 미국임상종양학회 소화기암 심포지엄'에서 한미약품 항암(ONCO)임상팀 이동준 연구원(맨 오른쪽)이 '티부메시르논' 임상 2상 단계 1의 최종 결과를 설명하고 있다. /한미약품.

한미약품이 글로벌 빅파마 머크(MSD)와 파트너십을 강화하며 파이프라인 확장에 속도를 낸다.

 

한미약품은 신약 후보물질 'HM16390'과 항암제 '키트루다'의 병용요법을 연구하기 위해 머크와 임상시험 협력 및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19일 밝혔다. 한미약품은 임상 1상을 총괄하며 머크는 임상에 사용되는 키트루다를 공급한다. 키트루다는 다양한 고형암에서 표준 치료제로 쓰이고 있는 머크의 블록버스터 약물이다.

 

한미약품이 면역항암제로 개발하고 있는 HM16390은 인터루킨-2( IL-2 ) 변이체다. 인터루킨-2는 면역세포의 분화와 증식에 관여해 면역 기능을 조절하는 단백질이다. 한미약품은 독자 플랫폼 기술인 '랩스커버리'를 활용해 항종양 효능, 안전성, 지속성 등을 극대화하는 작용기전을 설계했다. 항암 주기당 1회 피하 투여 가능한 것도 특징이다.

 

한미약품은 HM16390이 다양한 면역관문 억제제와 병용요법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이상적인 파트너 약물' 가능성을 밝혀 왔다.

 

한미약품은 지난해 11월 미국 휴스턴에서 열린 면역항암학회에서 HM16390이 면역 회피성 종양 미세환경을 면역기능 활성화에 유리한 환경으로 변화시키는 효과를 갖췄음을 입증하는 연구결과를 공유했다.

 

이와 관련 한미약품 최인영 R&D센터장은 "HM16390은 선택적으로 면역세포를 활성화하고 증식시켜 강력한 항암 작용을 유도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는 만큼, 치료 효과 극대화, 폭넓은 치료 범위 확보 등이 기대된다"고 설명한 바 있다.

 

한미약품은 앞서 지난해에는 이중 항체 'BH3120' 연구에서 머크와 협력하기로 했다.

 

진행성 또는 전이성 고형암 환자에 쓰이는 BH3120과 키트루다의 병용요법을 평가하는 임상시험을 올해부터 본격 진행해 오는 하반기 임상 1상 중간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BH3120에는 한미약품의 이중항체 플랫폼 기술 '펜탐바디'가 적용됐다. 암세포만 선택적으로 공격하는 '표적 항암 치료'와 면역세포를 활성화시키는 '면역 항암 치료'를 동시에 가능하게 한다.

 

경구용 면역항암제 후보물질인 '티부메시르논'의 경우 임상 2상에 돌입했다. 이 후보물질은 한미약품이 지난 2019년 미국 바이오기업 랩트에서 도입한 것으로 2020년 머크와 병용요법에 대한 임상 협력 계약을 맺었다. 이후 한미약품은 위암, 고형암 등을 적응증으로 한 티부메시르논과 키트루다 병용요법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한미약품 항암(ONCO)임상팀 노영수 이사는 "한미약품은 항암 영역, 특별히 면역항암제 분야에서 차별화된 파이프라인을 보유하고 있다. 올해도 다양한 학회를 통해 그간의 연구성과를 순차적으로 공개하겠다"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