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오피니언>기자수첩

[기자수첩] TV 떠난 소비자, 못 떠나는 홈쇼핑

"매출의 60%를 떼어주고도 버텨야 하는 사업이 과연 정상일까요?"

 

홈쇼핑 업계 관계자를 만나면 종종 하는 이야기다. 소비자들이 모바일로 떠난 시대에도, 홈쇼핑사는 여전히 자기 채널에서 물건을 팔기 위해 매출의 절반 이상, 많게는 60%를 케이블·IPTV 플랫폼에 송출 수수료로 지급하고 있다.

 

우선 짚고 넘어갈 점이 있다. 송출 수수료는 TV 방송을 통해 발생한 매출에만 부과된다. 온라인·모바일 앱을 통해 발생한 매출에는 해당되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문제가 되는 이유는 간단하다. 여전히 TV 채널을 통한 매출이 홈쇼핑사의 핵심 수익원이기 때문이다. 많은 업체가 전체 매출의 절반 이상을 TV 방송에서 올리고 있으며, 이 중 절반 이상을 플랫폼에 떼어줘야 한다. 남는 게 없다.

 

더 큰 문제는 홈쇼핑이 유통기업임에도 방송채널사용사업자(PP)라는 지위 아래 방송사업자 수준의 규제와 플랫폼 종속 구조에 놓여 있다는 점이다. 편성권은 대부분 플랫폼 사업자가 쥐고 있고, 황금 시간대를 따내기 위한 경쟁이 치열하다 보니 홈쇼핑사들은 더 높은 수수료를 제시하며 시간대를 사들일 수밖에 없다. 협상이라기보단 사실상 '울며 겨자 먹기'다.

 

소비자가 이미 TV를 떠나고 있음에도, 홈쇼핑사는 여전히 '방송 채널'을 유지해야만 생존 가능한 구조다. 이를 포기하면 TV 매출 자체가 급감하고, 이를 유지하면 수익성이 악화된다. 악순환이다.

 

유통 환경은 빠르게 바뀌고 있다. 소비자는 짧은 영상과 라이브 커머스를 통해 제품을 접하고 구매한다. 그보다도 쿠팡이나 컬리 등 이커머스 플랫폼에서 생필품을 구매한다. 홈쇼핑도 디지털로 옮겨가려 하지만, 법적 지위와 수수료 구조는 여전히 '방송 시대'에 묶여 있다.

 

홈쇼핑사는 왜 여전히 방송 플랫폼 사업자의 고정 수입원이 되어야 하는지 이제는 묻고 싶다. 플랫폼은 리스크 없이 수수료만 챙기고, 홈쇼핑사는 기획, 판매, A/S까지 책임진다. 소비 환경과 구조가 바뀌었다면, 제도도 바뀌어야 한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