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부동산>부동산일반

[현장르포] 용산정비창 수주전…포스코 vs 현산, 조합원 선택은?

홍보관으로 사용됐던 서울 용산구 한강로 베르가모웨딩홀에서 용산정비창 전면1구역 시공사 선정을 위한 조합원 투표가 이뤄진다. 포스코이앤씨가 기호 1번, HDC현대산업개발이 기호 2번이다. /전지원 기자

"대체로 비슷한 조건이어서요. 결국 누가 진짜 할 수 있느냐가 중요하죠."

 

22일 오후 2시 서울 용산구 한강로 베르가모웨딩홀에서 용산정비창 전면1구역 시공사 선정을 위한 조합원 투표가 이뤄진다. 포스코이앤씨가 기호 1번, HDC현대산업개발이 기호 2번이다. 총회 시작을 앞두고 조합원들이 속속 입장하면서 현장은 긴장감이 감돌았다. 이날 총회는 조합원만 참석 가능한 비공개 방식으로 진행돼, 외부인의 출입은 통제된다.

 

한 조합원은 "홍보관에서 양 사가 설명한 내용까지 들으니 조건은 둘다 비슷했다"며 "실제로 할 수 있는지, 얼마나 현실적인지가 관건"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홍보관에 방문했을 당시 조합원들은 적극적으로 질의하며 "그래서 확실하게 지킬 수 있는 거 맞죠?"라고 연신 물었다.

 

용산정비창 전면1구역 홍보관에서 포스코이앤씨 임직원들이 조합원에게 인사하는 모습. /전지원 기자

포스코는 조합 부담 최소화와 실현 가능성을 핵심으로 제안했다. 금융 조건은 이주비 주택담보인정비율(LTV) 160%에 CD+0.85% 확정금리를 적용했고, 사업촉진비 1조5000억원에도 동일한 금리로 조달할 계획이다. 필수사업비는 CD+0.7%를, 입찰보증금 1000억원에 대해서는 CD+0% 조건을 제안했다. 공사비는 3.3㎡(평)당 865만원 수준이며, 분양 수익 내 기성불 방식으로 분양 전까지 공사비 지급을 유예해 조합의 금융 부담을 낮췄다.

 

용산역 연결 구상은 '포스코 빅링크'란 이름으로, 용산 게이트웨이 지하공간과 국제업무지구·신용산역 등을 잇는 총 3개 노선을 제안했다. 한강대로를 가로지르는 지하 보행 통로 신설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관련 도면과 공사비 내역(약 70억원)을 제안서에 반영했다.

 

이 구간은 현산이 주장하는 사업권 범위와 일부 겹칠 수 있으나, 포스코 측은 "소유권 충돌 없이 별도 노선을 통해 연결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호텔 유치와 관련해선 하얏트 측의 입점 의향서를 확보했으며, 시공사는 골조와 외관까지 시공하고 내부 인테리어는 운영사가 맡는 구조다. 호텔 부지는 교육환경보호법상 거리 기준에 부합하는 위치에 배치했고, 공사비는 조합이 부담하지 않도록 했다. 조합원 A씨는 포스코를 두고 "좋아요, 괜찮아요"라며 "전반적으로 설명이 깔끔했고 현실적인 부분을 중심으로 얘기한 점이 믿을 만했다"고 말했다.

 

용산정비창 전면1구역 홍보관에서 정경구 대표이사(왼쪽에서 아홉번째)와 임원진 및 임직원들이 기념촬영을 하는 모습. /HDC현대산업개발

현산은 조합 수익 극대화와 프리미엄 단지 실현을 핵심으로 제안했다. 공사비는 평당 929만원으로, 조합원당 최대 20억원의 이주비를 보장하며 LTV 150% 기준에 CD+0.1% 고정금리를 적용했다. 기성불 방식으로 분양 전에도 공사비가 지급되며, 연체료 없이 진행 가능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용산역전면 공원 하부 공간을 활용한 지하 연결통로 및 지하차도 신설도 제안했다. 현산은 해당 부지에 대한 사업권을 확보한 상태로, 단지에서 용산역과 신용산역까지 이어지는 동선을 조성하겠다는 계획이다. 용산공원과 국제업무지구로의 접근성을 확보함으로써 단지의 입지 가치를 극대화한다는 전략이다.

 

호텔 유치와 관련해선 자회사 호텔HDC를 통해 '파크 하얏트' 업무협약(MOU)이 체결됐으며, 조합 부담 없이 운영·시공이 가능한 구조라고 밝혔다. 조합원 B씨는 "설명 내용이 명확해서 이해하기 쉬웠다"면서도 "하얏트 호텔 MOU 같은 건 선택에 영향을 줄 정도는 아니다"라고 의견을 밝혔다. 실제로 입점이 확정된 것도 아니고, 중요한 건 결국 제안 전체의 실현 가능성이라는 설명이다.

 

한편 용산정비창 전면1구역은 서울 도심 내 정비사업지 중에서도 입지적 희소성과 상징성이 크다. 1호선 용산역과 4호선 신용산역을 도보로 이용할 수 있는 초역세권에 자리잡고 있다. 인근에는 아이파크몰, 롯데몰 등 대형 상업시설이 위치해 있다.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B노선과 신분당선 연장 계획이 더해진 '펜타역세권' 입지로도 꼽힌다. 용산국제업무지구, 전자상가 정비계획, 용산공원 조성 등과의 연계성도 높다

 

조합 관계자는 "포스코와 현산 모두 파격적인 조건으로 맞붙은 만큼, 실현 가능성과 이미지, 브랜드 등 다양한 요소를 종합적으로 평가해 선택할 것"이라고 전했다./전지원기자 jjw13@metroseoul.co.kr

 

베르가모 웨딩홀 앞에 걸려있는 시공사 선정 총회 현수막. /전지원 기자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