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철수 국민의힘 의원이 7일 "합의되지 않은 날치기 혁신위원회를 거부한다"며 혁신위원장직을 수락 6일만에 전격 사퇴했다.
안 의원은 이날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혁신위원장 사퇴 기자회견을 열고 "그리고 저는 전당대회에 출마하겠다. 국민의힘 혁신 당대표가 되기 위해 도전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안 의원은 혁신위원장 사퇴의 가장 큰 원인은 자신이 제안한 인적쇄신안을 지도부에서 받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안 의원은 혁신위원장 수락 이후 인적쇄신안을 비대위에 전달했다고 설명했다.
안 의원은 기자들과 만나 "(혁신위원) 인선안이 합의 되기 전에 최소한 두 분의 인적쇄신안을 비상대책위원회에서 받을 수 있겠는지 의사를 타진했는데, 주말 동안 여러번 의견을 나누면서 결국 받지 않겠다는 답을 들었다"며 "그렇다면 제가 혁신위를 할 이유가 없다. 제가 혁신위를 한다고 하더라도 인적쇄신안이 받아들여지지 않으면 (혁신위가) 실패하고 우리 당에 더 큰 해가 될 것이라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안 의원은 인적쇄신 대상이 되는 두 명의 정치인이 누구냐는 질문에 "지난 대선 기간 동안에 일종의 정치적인 책임을 지는 자리에 계셨던 분들"이라고 답했다. 대선 후보 교체 논란 관련이냐고 묻자 "그렇다"고 했다.
안 의원의 대답을 종합해봤을 때, 안 의원이 겨냥한 인적쇄신 대상은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에서 한덕수 전 국무총리로 후보 교체 논란 때 당 비상대책위원장과 원내대표였던 권영세·권성동 국민의힘 의원일 것으로 추측된다.
안 의원은 인적쇄신에 강조를 하는 이유에 대해 "혁신위가 먼저 신뢰받기 위해서 저희들이 제시한 인적 청산을 행동으로 보여줘야 진정성을 의심받지 않을 수 있고 우리 당이 다시 살아날 수 있다"고 답했다.
안 의원은 출당이나 추후 총선 불출마 등 구체적인 인적쇄신 방법론에 대해선 말을 아꼈다. 다만 "최소한의 인적 쇄신으로 지속적으로 혁신하고 국민들의 지지를 받을 수 있는 혁신이 계속돼야 한다"며 "끊임없는 과정이라고 생각한다"고 했다.
안 의원의 기자회견 바로 전, 비대위는 안철수 의원과 합의한 안이라며 혁신위원 인선을 발표했다. 박성훈 국민의힘 원내대변인은 최형두 의원, 호준석 대변인, 이재성 여의도연구원 부원장, 송경택 서울시의원, 김효은 전 교육부 장관 정책 보좌관이 혁신위원으로 인선됐으며 1명은 추후에 밝힌다고 말했다.
안 의원은 비대위가 합의되지 않은 안을 발표한 이유를 모르겠다고 했다. 안 의원은 "이 자체가 합의된 안이 아니다. 분류상으로도 맞지 않다"며 "현역 의원, 원외당협위원장, 비(非)원외당협위원장 이렇게 돼 있는데, 이 자체가 합의된 안이 아니다"라고 했다.
이어 "그 중 최소한 1명에 대해서 합의해준 바 없다"며 "좋게 말씀드린다면 제가 합의한 걸로 착각한 것이 아닌가 생각이 든다"고 했다.
한편, 안 의원이 혁신위원장에서 사퇴하고 당 대표 출마를 전격 선언하면서 송언석 비대위원장 겸 원내대표의 혁신위 구성 공약은 차질이 불가피해졌다. 안 의원은 송 비대위원장의 혁신 의지에 대해 "보도와 여론조사를 보면 아시겠지만, 대구와 경북의 우리 당 지지율 자체도 절반 수준을 떨어져 있다"며 "그래서 저는 굉장히 위기감을 가지고 있는데, 그것에 대해서 공론대 형성이 미흡했던 것 아닌가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송 비대위원장은 안 의원의 기자회견 후 국회에서 취재진과 만나 "안철수 위원장께서 혁신위를 하지 않고 전당대회에 나가겠다고 하신 부분에 대해서 안타깝고 당혹스럽다"며 "내용에 대해 미리 귀띔이라도 있었다면 오늘 혁신위 의결 안건을 비대위에서 의결하지 않았을텐데 다소 아쉬운 마음"이라고 말했다.
송 비대위원장은 "대선 백서를 통해서 지난 대선 과정의 사실관계를 정리하고 누가 책임져야할지 백서에서 정해지면 그에 따라 혁신위와 비대위 등을 통해서 필요한 조치를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씀드렸고 그렇게 하는 것이 일의 순서"라고 했다.
Copyright ⓒ Metro. All rights reserved. (주)메트로미디어의 모든 기사 또는 컨텐츠에 대한 무단 전재ㆍ복사ㆍ배포를 금합니다.
주식회사 메트로미디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17길 18 ㅣ Tel : 02. 721. 9800 / Fax : 02. 730. 2882
문의메일 : webmaster@metroseoul.co.kr ㅣ 대표이사 · 발행인 · 편집인 : 이장규 ㅣ 신문사업 등록번호 : 서울, 가00206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2546 ㅣ 등록일 : 2013년 3월 20일 ㅣ 제호 : 메트로신문
사업자등록번호 : 242-88-00131 ISSN : 2635-9219 ㅣ 청소년 보호책임자 및 고충처리인 : 안대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