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오피니언>칼럼

[진성오의 신비한 심리사전] 액체 근대: 고정되지 않는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의 뇌와 마음

진성오 세종사이버대학교 교수

독자들 중에 '액체 근대(Liquid Modernity)'라는 개념을 들어본 분이 있을 것 같다. 폴란드 출신의 사회학자 지그문트 바우만이라는 분이 제시한 이 개념은, 우리가 살아가는 현대 사회를 딱 액체와 같은 사회라고 정리한다.

 

바우만은 과거의 '고체 근대' 즉, 명확한 역할, 고정된 가치, 안정된 직장과 관계로 대표되던 시대에서 이제는 모든 것이 흐르고, 녹고, 바뀌고 있는 시대가 지금의 현대라고 말한다. 사회적 관계도, 직업도, 정체성도 더 이상 한 자리에 머물지 않고 우리는 그야말로 '흘러가는 세계' 위에 서 있는 셈이다.

 

그런데 어쩌면 여전히 우리의 뇌는 그렇게 흘러가는 세계에 최적화되어 있지 않을 수도 있다. 뇌는 기본적으로 예측 가능한 환경을 선호하며 뭔가 반복되고, 안정적이며, 익숙한 것이 있을 때 뇌는 에너지를 덜 소모하고, 더 효율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심리학자들은 이를 '인지 절약 성향(cognitive miser)'이라고 부른다. 반복되는 루틴, 오래된 관계, 확실한 목표는 우리 뇌에 일종의 '에너지 절약 모드'를 제공한다.

 

사실, 임상 상황에는 이러한 인지 절약 성향을 일종의 치료적 틀로 제공한다. 심리적 어려움을 경험하는 내담자로 하여금 매일 루틴을 만들어서 반복적으로 꾸준하게 일상을 유지하도록 하고 이를 바탕으로 남는 정신적 여력을 좀 더 창의적이면서 새로운 경험을 하는 에너지로 전환하도록 이끄는 것이다.

 

이런 방식으로 몇 천년을 버티는 조직이 바로 종교 단체이며 군대이기도 할 것 같다. 매우 짜여진 삶의 방식이 매우 답답하고 지루할 수 있겠지만 뇌로 하여금 내일 혹은 한달 혹은 10년 뒤 무엇을 할지 고민하는 에너지를 절약해준다는 측면에서 인간의 경험 과학적인 현명함이 사회적 구조로 유지되었다고도 볼 수 있을거 같다.

 

액체 근대는 정반대이다. 고정된 것이 없고, 변화가 일상인 사회를 말한다. 회사는 언제 없어질지 모르고, 인간관계는 메시지 하나로 끊어지기도 하며 오늘의 나와 내일의 나는 다른 브랜드를 달고 살아간다. 유동적이면서 변화가 무쌍 한 것이 인생이라고 하지만 이런 환경은 뇌에 지속적인 스트레스와 불안을 유발할 수 있고 부정적인 사건이 많은 사회에서는 이러한 흐르는 환경 때문에 분명히 엄청난 스트레스로 작용할 것이다.

 

특히 불확실성에 대한 민감도가 높은 사람은 일상적인 상황조차 위협으로 느끼며, 만성적인 긴장 상태에 놓이고 이것이 공황이나 사회 불안 증상으로 경험되기도 한다. 어찌 보면 이러한 적응의 어려움은 사람의 문제와 경험의 문제가 아니라 근대 혹은 현재 사회가 액체처럼 흐르는 사회라는 환경 때문일 수 도 있다.

 

그러다 보니 이러한 시대에는 무엇이 '정상'인지조차 모호해졌다. 예전엔 단순했던 사회 환경은 우리에게 일정 정도의 가이드를 줬다. '좋은 직장', '괜찮은 사람', '행복한 삶'이 무엇인지 대충 그릴 수 있었다 하지만 지금은 '너의 기준을 찾아야 한다'는 말이 문화적 혹은 개성적 자존감처럼 이야기 된다.

 

하지만 이 말을 잘 뒤집어 보면 이러한 선택의 개인적 자유가 사실은 그 실패에 대한 무거운 책임도 자기 혼자 져야 한다는 의미를 가진다. 선택은 늘 우리 몫이고, 그 선택이 잘못되었을 때도 위로보다는 '네가 고른 거잖아'라는 반응이 돌아오는 것이다. 이럴 때 우리가 하는 것은 가벼운 관계와 빠른 전환을 택하기도 한다. 흐르는 현실이 주는 불안을 도파민의 짧은 흥분으로 둔하게 만드는 것이다.

 

채팅 앱에서 사람을 고르듯, 직업도, 취미도, 심지어 가치관도 스와이프하며 살아가며 그래서 모든 것이 '임시적'이고 '조건부'이며, 그 안에서 깊이 반복적으로 되풀이되면서 행하는 행동을 통한 애착이나 소속감은 점점 희미해진다. 뇌과학적으로 보면, 이러한 유동성은 우리가 새로움을 추구하도록 하는 도파민 시스템을 과도하게 자극하고 새로움에 대한 탐색 욕구는 본래 생존을 위한 중요한 메커니즘이지만, 요즘은 '지루함을 못 견디는 뇌'로 우리를 바꾸고 있는 것이다.

 

이런 액체 근대 속에서 우리는 어떻게 살아야 할까? 바우만은 명확하게 해답을 제시하지 않는 거 같지만 그냥 아는 척 심리학적 적응 방식을 하나 제시한다면 심리학에서 말하는 인지적 유연성(cognitive flexibility)이 그 하나가 아닐까 한다. 상황에 따라 자신의 감정과 행동을 조절하고, 새롭게 등장한 정보에 따라 사고방식을 재구성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는 것이다.

 

이러한 유연성은 불확실한 환경에서 생존하는 데 필요한 핵심 역량이 되고 고정된 답이 없는 시대에 우리가 가질 수 있는 가장 현실적인 전략으로 사용될 수도 있지 않을까? 근데 막상 제안을 하고 보니 필자의 마음도 뭔가 액체처럼 흘러가는 듯 독자들에게 자신있게 말하기 힘들다. 역시 액체 근대 혹은 액체 현대를 살고 있는 나를 느낀다. /진성오 세종사이버대학교 교수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