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경제>경제정책

작년 폐업자수 역대 최다 100만명대...'사업부진' 사유가 둘에 하나

서울의 한 상가 건물에 임대문의 게시문이 나붙어 있다. /뉴시스

 

 

지난해 국내 폐업자 수가 역대 처음으로 100만 명대를 기록했다. 특히 이 중 절반이 사업 부진을 폐업의 사유로 들었다.

 

7일 국세청의 국세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개인과 법인을 합쳐 폐업한 사업자 수는 100만8282명으로 집계됐다. 전년도인 2023년(98만6487명)과 비교해 2만1795명 늘었다.

 

폐업자 수가 100만 선을 넘어선 것은 지난 1995년 관련 통계 작성이 시작된 이후 처음이다.

 

폐업자 수는 2020년 89만5379명, 2021년 88만5173명, 2022년 86만7292명 등 완만한 감소 추세를 보이다 최근 2년째 큰 폭으로 반등했다.

 

이는 민간소비 등 내수 부진이 주 원인인 것으로 풀이된다. 폐업 사유로 '사업 부진'을 꼽은 사업자가 50만6198명으로 50.2%에 달했다. 사업 부진으로 폐업한 비율이 50%를 넘은 건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인 2010년(50.2%) 이래 처음이다.

 

특히 지난해에는 자영업자와 소상공인 비율이 높은 소매업(30만639명)과 음식업(15만3017명)에서 대규모의 폐업자가 나왔다. 두 업종에서 발생한 폐업만 전체의 45%에 달한다.

 

또 서비스업에서 22만4490명의 폐업자가 생겨났고 건설업에서도 4만9584명이 사업을 중단했다.

 

사업을 했던 사업자 중 폐업한 비율을 뜻하는 폐업률도 9.04%로 전년(9.02%)대비 소폭 늘었다. 특히 소매업(16.78%)과 음식점업(15.82%)의 폐업률이 다른 업종보다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자영업 경기 침체로 연체율도 계속 상승하는 흐름이다. 한국은행이 25일 발표한 '2025년 상반기 금융안정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자영업자 대출 연체율은 1.88%로 장기평균(1.39%)을 웃도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약 자영업자의 경우, 대출 연체율이 12.24%로 2013년 2분기(13.54%) 이후 10여 년 사이 최고를 기록했다. 반면 비취약 자영업자 대출 연체율은 0.46%에 그쳤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