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오피니언>기자수첩

[기자수첩]밸류업 외침에도 반응 없는 코스닥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를 목표로 도입된 밸류업(기업가치 제고) 프로그램이 시행 1년이 지났으나 정작 코스닥의 성적표는 초라했다. 코스닥 상장사 중 지난해 5월부터 지난달까지 기업가치 제고 계획을 공시한 곳은 36곳에 불과했다. 전체 상장사의 2% 남짓이다.

 

밸류업 프로그램의 취지는 분명했다. 상장사가 자발적으로 배당 확대나 자사주 소각, 성장 계획을 공시하도록 유도해 기업가치를 높이고, 떨어진 투자자의 신뢰를 회복하자는 것이었다. 거래소는 밸류업프로그램의 순항을 위해 무료 컨설팅과 IR(기업설명회) 지원에 적극 나섰다. 그러나 정작 행동에 나서야 할 기업들은 움직이지 않고 있다. 오히려 시장 신뢰를 해치는 불성실공시 지정 사례만 크게 늘었다. 같은 기간 코스닥 시장에서 불성실공시법인으로 지정된 상장사는 116개사로, 전년 동기 대비 33%가량 증가했다. 이는 기업의 공시 관리가 부실해지고 경영 불확실성이 커졌다는 뜻이다. 투자자 신뢰 회복을 외침은 공허한 메아리만 남겨놓고 갈수록 투자자의 불신만 더 깊어지고 있다.

 

현재로서는 이런 상황을 타개하기가 쉽지 않다. 기업들이 밸류업 프로그램에 동참하고 싶어도 돈이 없기 때문이다. 중소·벤처기업이 다수를 차지하는 코스닥 시장에서 흑자 기업 비중은 아주 낮다. 올해 1분기 코스닥 상장사들의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2.36% 줄었고, 순이익은 26.78% 급감했다. 자사주 소각이나 배당 확대를 하고 싶어도 '실탄'이 부족한 것이다. 연구개발(R&D)과 미래 성장을 위한 투자조차 쉽지 않은 상황에서 주가 부양에 나서기도 힘든 현실이다. 생존이 달린 기업에 '주가 부양을 위해 배당을 늘리라'는 요구가 얼마나 현실적인지 되묻게 한다.

 

이런 구조적 제약을 무시한 채, 프로그램 참여율만 탓할 수는 없다. 거창한 구호보다 필요한 건 기업이 자발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일이다. 세제 혜택과 같은 실질적 유인책이 필요하다. 기업 입장에서 매력적인 인센티브가 없다면 참여는 늘어나지 않는다. 특히 투명성을 높이려면 불성실공시를 방치해선 안 된다. 불성실공시에는 단호히 대응해 '신뢰할 만한 시장'이라는 최소한의 기반부터 다져야 한다.

 

밸류업은 단기 주가 부양 쇼를 하라는 주문이 아니다. 기업이 미래 투자와 주주환원을 균형 있게 병행할 수 있도록 돕는 제도여야 한다. 정부는 기업들이 진짜로 '가치'를 키울 수 있도록 거기에 걸맞은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