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지역

고양시 이동환 시장, COP15서 생태외교 마무리…“장항습지, 세계적 모델로 도약”

이동환 고양시장(COP15 이클레이 도시 생물다양성 특별 세션에서 장항습지 우수사례 발표 중)

아프리카 짐바브웨 빅토리아폴스에서 열린 제15차 람사르협약 당사국총회(COP15)에 공식 초청된 이동환 고양특례시장이 27일(현지시간) 마지막 공식 일정을 마치고 귀국길에 올랐다.

 

이날 이동환 시장은 무손다 뭄바(Musonda Mumba) 람사르협약 사무총장과의 면담을 끝으로 4일간의 생태외교 일정을 마무리했다. 이 시장은 장항습지의 국제적 가치와 고양시가 추진 중인 시민참여형 보전정책을 소개하며 람사르 사무국과의 협력 확대를 제안했다.

 

이에 대해 뭄바 사무총장은 "장항습지는 시민과 행정이 함께 지켜낸 도심형 습지의 모범 사례"라며, 드론을 활용한 철새 먹이 주기와 같은 신기술 기반 정책을 세계적으로도 인상적인 모델로 평가했다. 이어 "장항습지생태관의 운영은 교육·체험 중심의 습지 관리의 우수사례로 다음 총회에서 소개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 시장은 이번 총회 기간 동안 유엔개발계획(UNDP), 아시아개발은행(ADB) 등 국제기구와의 실질적인 협력도 이끌어냈다. 지난 24일에는 UNDP와 ADB 관계자들과의 면담을 통해 장항습지의 생태적 가치와 시민참여형 보전정책을 공유했으며, 공동 연구 및 사업 추진 가능성에 대한 논의도 오갔다. 특히 ADB는 지난해 고양시를 방문해 정책 현장을 직접 확인한 바 있다.

 

총회 공식 세션에서도 고양시는 주목을 받았다. 이 시장은 25일 '이클레이 도시 생물다양성 특별세션'에 대한민국 대표 도시로 참석해 고양시의 장항습지 관리 정책을 소개했다. 드론 기반 AI 철새 모니터링, 폐기 곡물 활용 먹이주기 등 기술과 자원순환, 시민참여를 결합한 생태정책은 각국 대표들의 주목을 받았다.

 

국제 도시 간 협력도 활발히 이어졌다. 영국왕립조류보호협회(RSPB), 칠레 발디비아시, 남아프리카공화국 케이프타운시 등과 연이어 면담을 가지며 도심형 습지 보전, 멸종위기 철새 보호, 시민참여 거버넌스 등 다양한 의제를 공유하고 생태 협력의 폭을 넓혔다.

 

철새 보호 국제연대에서도 성과를 거뒀다. 동아시아-대양주 철새이동경로 파트너십(EAAFP), 세계습지센터네트워크(WWT)와 면담을 통해 장항습지를 중심으로 한 철새 네트워크 구축과 생태교육 프로그램 연계 방안이 논의됐으며, 장항습지생태관은 이들과의 협력을 통해 세계 습지교육의 거점으로 성장할 기반을 마련하게 됐다.

 

한편, 총회 현장에서 운영된 고양시 홍보부스에는 2,000여 명에 이르는 국제 NGO, 지방정부 관계자, 전문가들이 방문해 고양시 생태정책에 깊은 관심을 보였다. 동아시아람사르센터와 공동 운영한 홍보관에서는 드론 생태관리와 시민참여 보전 사례가 도시형 습지 보전의 미래 모델로 높게 평가됐다.

 

이 시장은 귀국을 앞두고 "도심형 습지도시 고양의 실천이 세계적 보전 모델로 주목받고 있다"며 "고양시는 기후위기와 탄소중립이라는 지구적 과제 앞에서 도시 차원의 해법을 제시하고, 국제연대의 중심에 서겠다"고 밝혔다.

 

이동환 시장은 28일 오후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귀국할 예정이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