칭찬은 남을 위한 것이고, 아부는 나를 위한 것이다.
아부(阿附)는 '언덕 阿'에 '붙을 附'이다. 즉 기댈 수 있는 언덕에 붙는 것으로 '남의 마음에 들려고 비위를 맞추면서 알랑거림'이란 뜻이다.
인간 사회에서 생존을 넘어선 '아부'는 사라지지 않는다. "힘써 경작함이 풍년 듦만 못하고, 관리로서 능력이 빼어남도 군주에게 잘 보임만 못 하다"는 격언이 이를 대변한다.
아부는 동서고금, 남녀노소를 가리지 않는다. 사마천의 '사기'에도 아첨과 교태로 임금의 비위만을 맞추려 하는 자들을 다룬 '영행열전'이 있을 정도다. 마키아벨리는 '군주론'을 당대 권력자 메디치에게 헌정하면서 "시대가 위인을 찾는데, 오직 메디치만이 시대의 공백을 채울 수 있을 뿐"이라고 찬양했다.
아부의 기본은 '상대가 좋아하는 것을 주는 것(投其所好)'이다. 이는 귀한 예물로만 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말로 시작해서 말로 끝나는 정치에서는 더욱 그렇다. 공개적인 아부는 충성심을 확실히 보여주고, 상대는 자신의 힘과 영향력을 확인하면서 만족감을 느낀다. 프로이트도 "사람이란 공격에는 저항할 수 있지만 칭찬에는 모두 무기력하다"고 분석했다.
나폴레옹은 "아부란 무능력자나 하는 짓"이라고 지적했다. 하지만 무능한 사람일수록 '아부'에 몰입한다. 더구나 말로 하는 아부는 자본 없는 투자 대비 보상이 상당하다. 그러니 너도나도 참여해 경쟁이 치열하다. 미국의 언론인 리처드 스텐걸도 저서 '아부의 기술'에서 "아부는 그 거짓이 탄로나도 처벌이 없는 무공해 웰빙푸드"라고 지적했다.
현대 정치사에서 아부의 전례(典例)는 당연히 '대통령 방귀 사건'이다. "이승만 대통령이 방귀를 뀌자, 이익흥 당시 내무장관이 '각하 시원하시겠습니다'라고 말했다. 이를 폭로한 당사자는 영화배우 유지태의 할아버지인 유옥우 의원으로 이는 1956년 국회 속기록에 남아 있는 엄연한 사실이다.
최근에는 SNS, 유튜브 등 미디어의 발달에 따라 충성으로 포장된 아부는 갈수록 노골적이고 다양해지고 있다.
이주호 당시 교육부총리는 "윤석열 대통령은 입시 수사를 여러 번 해서 (전문가인) 내가 많이 배우는 상황"이라고 발언해 논란이 됐다. 충암파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은 "윤 대통령님은 속 썩이는 자식이 없어서인지 온종일 머릿속에 나라와 국민 생각만 하는 참 미련하신 분"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아부의 목불인견은 진영을 가리지 않고 무궁무진하다.
오래전 박영선 전 중기부 장관이 말했던 "문재인 보유국"은 '아부 역사'에 영원히 남을 명언이다. "민주당의 아버지는 이재명 대표님이시다"라는 민주당 강민구 최고위원도 있었다. '인간 이재명' 책을 단숨에 읽었다는 정청래 현 민주당 대표는 "인간 이재명과 심리적 일체감으로 흐느꼈다"는 독후감을 발표한 적도 있다. 마키아벨리는 끝내 등용되지 못했지만 이들 모두는 분에 넘치는 대가를 얻었다.
무엇보다 압권은 최근 유명해진 최동석 인사혁신처장의 사례다.
그는 그동안 이 대통령을 "민족의 축복"이고 "영재성을 가진 천재"라고 극찬했다. 또 그는 "(눈물을 흘리며) 임기 5년은 짧다"면서 이 대통령은 "20년을 해도 될 사람"이라며 "헌법을 좀 바꿔서라도 더 길게 했으면 좋겠다"는 간절한 바람을 나타냈다. 막말 유튜버로 평판이 좋지 않았던 그였지만 결국 차관급 벼슬을 받았다. 오로지 '명비어천가'만 외치고 나머지 인물들은 '쓰레기' 취급을 하며 이룬 성과다. 더구나 그는 "70세가 넘으면 공직에서 물러나야 한다"고 했지만 정작 그의 나이는 69세로 대기만성을 이뤘다.
결국 모두의 경멸을 이겨낸 그의 성공은 많은 아첨 지망생에게 모범(?)이 됐다. 다만 그의 아부가 최고 수준이라 후임들은 창의력 발휘에 애를 먹을 듯하다.역시 아부와 다이어트는 평소에 꾸준히 해야 효과가 있다.
Copyright ⓒ Metro. All rights reserved. (주)메트로미디어의 모든 기사 또는 컨텐츠에 대한 무단 전재ㆍ복사ㆍ배포를 금합니다.
주식회사 메트로미디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17길 18 ㅣ Tel : 02. 721. 9800 / Fax : 02. 730. 2882
문의메일 : webmaster@metroseoul.co.kr ㅣ 대표이사 · 발행인 · 편집인 : 이장규 ㅣ 신문사업 등록번호 : 서울, 가00206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2546 ㅣ 등록일 : 2013년 3월 20일 ㅣ 제호 : 메트로신문
사업자등록번호 : 242-88-00131 ISSN : 2635-9219 ㅣ 청소년 보호책임자 및 고충처리인 : 안대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