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자가 십년도 넘은 초겨울 언젠가 오후 4시 좀 넘어 아는 분이 운영하는 북촌 근처 찻집에 가게 되었다. 주인장은 밀크티를 대접하겠다며 화로 위 긴 손잡이가 달린 편수 냄비에 찻잎과 생강, 정향 그리고 아마도 월계수 잎으로 기억되는 잎들을 함께 끓이다가 우유를 더 넣고는 좀 더 끓여 영국의 앤틱 풍취가 그윽한 로얄알버트 잔에 내었다. 허기가 살짝 돌던 참에 은은하게 풍기는 생강과 어우러진 정향의 향취도 그러했지만 달콤 쌉쌀하면서도 부드럽게 혀끝에 와 닿는 밀크티는 신들의 음식이자 음료인 엠브로시아나 넥타가 부럽지 않을 정도였다.
주인장이 함께 내온 두툼하고 촉촉한 비스켓과 밀크티를 접한 이후 희한하게도 한국은 전통적인 녹차도 그러하지만 서양에서 더 인기가 많은 아삼티와 다즐링 등 나열하기도 힘들 만큼의 차들이 대중화되기 시작했다. 커피가 대세라지만 아직 필자의 취향은 홍차를 우려낸 후 우유와 생강즙을 살짝 가미한 밀크티다. 이건 간단하게 즉석에서 만들 수 있는 밀크티이고, 제대로 만들자 치면 아삼티의 재료가 되는 찻잎이나 실론티 찻잎에 월계수 나뭇잎 약간, 계피 약간 넣어서 끓이다가 마지막 즈음에 우유를 넣고 끓이면 훌륭한 밀크티가 된다.
대부분 시럽이나 설탕을 첨가하여 즐기는데, 이렇게 만들어진 밀크티에 비스켓이나 스콘을 곁들이면 매우 훌륭한 요기가 되기도 한다. 르네상스 계몽시대를 이끈 프랑스나 이탈리아 등 유럽의 귀족들이나 철학과 문학, 예술을 이끈 살롱 문화에 있어 차는 그야말로 시대적 지성을 있게 한 매개체일 수도 있다. 유럽에서는 문화혁명이 일어난 것이고 중국의 원나라, 청나라는 차 문화에 빠진 이국의 정복자들을 나약하게 만든 주범이라는 소리까지 있는 것이나 밀크티만큼은 영양보충제요, 감기약이기도 하다.
Copyright ⓒ Metro. All rights reserved. (주)메트로미디어의 모든 기사 또는 컨텐츠에 대한 무단 전재ㆍ복사ㆍ배포를 금합니다.
주식회사 메트로미디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17길 18 ㅣ Tel : 02. 721. 9800 / Fax : 02. 730. 2882
문의메일 : webmaster@metroseoul.co.kr ㅣ 대표이사 · 발행인 · 편집인 : 이장규 ㅣ 신문사업 등록번호 : 서울, 가00206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2546 ㅣ 등록일 : 2013년 3월 20일 ㅣ 제호 : 메트로신문
사업자등록번호 : 242-88-00131 ISSN : 2635-9219 ㅣ 청소년 보호책임자 및 고충처리인 : 안대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