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금융>은행

56세면 은퇴하는데…10명 중 8명은 노후 준비 '아직'

-2025 KB골든라이프 보고서
-노후준비 필요성 공감 77.8%
-준비된 가구 19.1%에 그쳐
-경제적 준비가 가장 미흡

2025 KB골든라이프 보고서. /KB금융그룹

은퇴연령은 평균 56세로 빨라졌는데 실제 노후 준비는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경제력은 노후 행복의 핵심요소로 꼽혔지만 준비 정도는 가장 미흡했다.

 

28일 KB금융그룹이 발간한 '2025 KB골든라이프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인은 행복한 노후를 위해 가장 중요한 요소로 '건강'(48.6%)과 '경제력'(26.3%)을 꼽았다. 코로나19 이후 건강관리에 대한 인식이 전반적으로 높아지며 '건강'을 답한 비중이 지난 2023년 조사 대비 12.9%포인트(p)나 높아졌다.

 

노후준비 필요성에는 77.8%가 공감했지만 '준비가 잘 되어 있다'고 생각하는 가구는 19.1%에 그쳤다. 노후 행복의 핵심 요소로 꼽힌 '경제력'은 응답자의 21.1% 만노후 대비 충분한 경제력을 보유하고 있다고 답해 준비 정도가 가장 미흡했다.

 

이번 보고서는 지난 5월 30일부터 6월 18일까지 서울을 비롯해 전국 주요 도시에 거주하는 25~74세 남녀 3000 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정량조사)와 별도 패널을 대상으로 한 표적집단심층면접(정성조사, FGD) 결과를 토대로 했다.

 

가구 유형별로는 부부가구(26.6%)가 동거 자녀에 대한 양육 부담이 있는 부모자녀가구(18.1%) 및 노후생활에 대한 경제적 부담을 갖고 있는 1인가구(12.9%)에 비해 '준비가 잘 되어 있다'는 응답률이 높았다.

 

2025 KB골든라이프 보고서. /KB금융그룹

경제적 노후준비를 시작하는 나이로는 가장 많은 응답자가 '50~54세'(16.1%)를 꼽았다. 평균은 48세다. 준비 계획이 없다고 밝힌 응답자도 15.2%에 달했다. 한국인은 65세에 은퇴하기를 희망하지만 실제로는 이보다 10년 가까이 빠른 평균 56세에 은퇴해 경제적 노후준비를 위한 시간이 촉박했다.

 

2025 KB골든라이프 보고서. /KB금융그룹

한국 가구가 생각하는 노후 적정 생활비는 월 350만 원이며, 최소 생활비는 적정선의 70% 수준인 월 248만 원이었다. 반면 실제 조달가능금액은 월 230만 원으로 최소 생활비에도 못 미쳤다.

 

노후 생활비 조달가능금액 중 60% 이상은 국민연금·퇴직연금·개인연금·주택연금 등의 연금을 활용해 마련하겠다고 답해 연금에 대한 기대가 높았다. 그 밖에 부동산 소득·근로소득·정부 및 가족 지원 등을 예상하기도 했다.

 

2025 KB골든라이프 보고서. /KB금융그룹

노후자금 준비 방법 중 하나인 '주택연금'의 경우 92.2%의 응답자가 알고는 있었지만 가입할 의향이 있는 가구는 32.3%에 그쳤다. 주택 다운사이징을 통한 노후자금 준비는 응답자의 59.7%가 활용할 의향이 있다고 밝혔으며, 시기는 70대를 선호했다.

 

황원경 KB금융 경영연구소 부장은 "한국 사회는 이미 초고령사회에 접어들었지만 노후를 위한 경제적 준비는 의지와는 달리 여전히 미흡한 수준"이라며 "이번 보고서는 은퇴를 앞두고 길어진 인생을 대비하는 이들에게는 실질적인 노후준비 지침서로 사회적으로는 고령인구 증가에 따른 제도적 지원 체계 구축을 위한 기초 자료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