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증권>증권일반

미래에셋자산운용, 글로벌 450조 시대 개막…ETF·연금·디지털 자산까지 확장

글로벌 ETF 250조 운용…10년간 연평균 36.8% 성장
TDF·퇴직연금 로보어드바이저로 연금 시장 선도

글로벌엑스(Global X) 임직원들 단체 사진/미래에셋자산운용

미래에셋자산운용이 총 운용자산 450조원을 돌파했다. 2022년 말 250조원이던 운용자산은 3년 만에 200조원가량 늘어나며 외형을 크게 확대했다.

 

29일 미래에셋자산운용에 따르면 회사는 현재 미국·캐나다·인도·일본·호주 등 16개 지역에서 총 456조원을 운용하고 있다. 해외 운용 비중은 약 45%에 달한다. 2003년 홍콩법인을 설립하며 국내 운용사 최초로 해외 시장에 진출했다.

 

글로벌 ETF가 성장의 핵심 축으로 꼽힌다. 미래에셋의 글로벌 ETF 운용자산은 250조원으로, 최근 10년간 연평균 36.8% 성장했다. 같은 기간 글로벌 ETF 운용사 평균 성장률(19.5%)을 크게 웃도는 수준이다. 국내에서는 'TIGER ETF'가 개인 투자자 선호 1위 브랜드로 자리잡았고, 해외에서는 'Global X'가 미국, 캐나다, 유럽, 홍콩, 일본, 호주 등으로 영역을 넓혔다.

 

연금 시장에서도 입지를 키우고 있다. 국내 최초로 타깃데이트펀드(TDF)를 선보인 미래에셋자산운용은 '연금 펀드 설정액 1위', 'TDF 점유율 1위' 등을 기록 중이다. 올해는 국내 종합 자산운용사 가운데 처음으로 퇴직연금 전용 로보어드바이저 서비스 'M-ROBO'를 내놨다. AI를 활용해 맞춤형 연금 관리 솔루션을 제공하는 것이 목표다.

 

공적 자금 운용에서도 성과를 냈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은 2021년부터 연기금투자풀 주간운용사로 참여해 투자자산 다변화, 대체투자 상품 도입 등 혁신 사례를 만들었다. 올해 8월에는 연기금투자풀 최초로 벤처투자 상품을 출시해 공공기관의 투자 영역을 넓혔다.

 

신사업 준비도 이어지고 있다. 지난 25일에는 블록체인 플랫폼 아발란체(Avalanche)와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고 규제가 허용되는 시장에서 디지털 자산 운용 솔루션을 개발할 계획이다. 미국 AI법인 웰스스팟(Wealthspot), 호주 로보어드바이저 스탁스팟(Stockspot) 등 계열사와의 협력도 확대하고 있다.

 

이준용 미래에셋자산운용 부회장은 "지난 28년간 글로벌 자본시장에서 도전을 이어왔다"며 "정직하고 원칙 있는 운용으로 고객 신뢰를 지키고 글로벌 자산운용사로서 역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