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사회일반

메트로경제 10월 20일자 한줄뉴스

<금융·부동산>

 

▲ 신한라이프가 투자 회복과 보장성 영업의 질을 통해 존재감을 증명했다. 하반기에도 금리·자산건전성 관리가 이어진다면 생명보험업계의 '빅3' 구도도 위협을 받을 전망이다.

 

▲ 집값을 잡기 위한 정부의 연이은 부동산 대책에 전세 시장이 날벼락을 맞았다. 수도권 전세가격이 2년 넘게 상승세를 이어온 가운데 앞으로 더 오를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당초 취지는 집값을 끌어 올리는 '갭 투자(전세를 끼고 집 매수)'를 막겠다는 것이지만, 후폭풍으로 전세 물량은 대폭 줄어들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 정부가 10·15 부동산 대책을 통해 대출 한도를 대폭 축소하는 등 강도 높은 규제에 나선 가운데, 정치권에서는 대책의 효과를 두고 정반대의 해석을 내놓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번 대책이 단기적 집값 안정에는 도움이 되겠지만 실수요자의 부담을 키울 수 있다고 평가했다.

 

<산업>

 

▲ 스마트공장 구축 중소기업의 절반(47.4%)이 제조 공정에 AI 도입이 필요하다고 답했지만, 초기 비용 부담 등으로 적극적인 투자는 제한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AI 도입에 1억원 이상 투자 의향이 있는 기업은 31.1%에 그쳤으며, 정부 지원으로는 '직접 자금 지원'을 가장 많이 요구했다.

 

▲ '2025 APEC CEO 서밋'이 28~31일 경주에서 열려 16개국 정상과 1700명 CEO가 참석한다. '3B(Bridge·Business·Beyond)'를 주제로 AI·디지털·기후 등 미래 전략을 논의하며, 퓨처테크 포럼과 K-테크 쇼케이스 등 부대행사도 함께 진행된다.

 

▲ 마이크론이 중국 데이터센터용 서버칩 사업에서 철수하면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빈자리를 메울 가능성이 제기됐다. 두 회사는 각각 시안·우시 등 중국 내 생산거점을 보유해 대체 공급이 가능하다는 분석이다.

 

▲ 포스코·현대제철이 3분기 철강 실적 개선세를 보이며 반덤핑 관세·원가 하락 효과를 톡톡히 봤다. 두 회사는 인도·북미 현지화와 수소환원제철·자동차·전기강판 중심의 고부가 전략으로 경쟁력 강화를 가속한다.

 

<유통&라이프부>

 

▲유통업계가 4분기 소비 심리 선점을 위해 신세계 '쓱데이', 쿠팡 '세일 페스타' 등 블랙프라이데이의 전초전 격인 대규모 가을 할인전에 돌입했다. 이는 3분기 경기 회복 기대감과 달리 4분기 소비 위축 우려가 커지자, 연말 대목을 앞두고 수요를 선점하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식품업계가 실적 위기와 경영 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연말을 앞두고 조기 인사를 단행하는 등 세대교체에 속도를 내고 있다. CJ그룹 이선호 실장의 승진 여부가 주목되는 가운데 오뚜기, 삼양, SPC 등에서도 오너 3·4세들이 경영 전면에 나서며 차세대 리더십 재편이 본격화되고 있다.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들이 액체생검 등 예방·진단 중심의 정밀의료 기술을 앞세워 해외 시장 진출을 본격화하고 있다. GC지놈은 일본과 중동에 거점을 마련하고 아이엠비디엑스는 동남아를 공략하며, HLB파나진은 파키스탄 등 신흥 시장에 진출하는 등 각기 다른 전략으로 고부가가치 시장 선점에 나서고 있다

 

 

▲오는 21일 열리는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국감에서는 통신사 해킹과 전산망 마비 여파로 '보안 강화'가 핵심 의제로 떠오를 전망이다.

 

▲AI 에이전트와 MCP가 결합한 디지털 전환 흐름 속에서, 사람과 기술의 역할을 조화시키는 전략이 요구되고 있다.

 

▲SK텔레콤이 자사의 인공지능(AI) 거버넌스 체계를 유엔 인권최고대표사무소(OHCHR)에 소개하고, 책임 있는 AI 구현과 디지털 거버넌스에서 인권의 역할을 주제로 논의했다.

 

▲카카오모빌리티가 이달 말 경주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의 성공적인 개최를 위해 종합 교통 서비스를 지원한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