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증권>증권일반

전인미답 '사천피', 사상 첫 '10만 전자' 달성

코스피가 전 거래일보다 101.24오른 4042.83에 거래를 마친 27일 오후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 전광판에 지수가 표시돼 있다. 자료=뉴시스

코스피 지수가 사상 처음으로 4000을 돌파하며 국내 주식 시장의 새 역사를 열었다. 시가총액 1위 삼성전자는 인공지능(AI)발 '반도체 슈퍼사이클'(초호황기) 기대 등으로 '십만전자'(주당 10만원)의 벽을 깼다.

 

이날 코스피 지수는 전날보다 2.57% 오른 4042.83에 거래를 마쳤다. 코스닥 지수는 2.22% 상승한 902.70에 마감했다.

 

'코스피 5000'을 공약한 이재명 대통령 취임 후 코스피는 지난 6월 20일 3000선을 넘은 이후, 석 달여 만인 지난달 10일 종전 역대 최고가를 경신해 3314.53을 기록했다. 이후 외국인의 매수세가 이어지며 채 한 달이 안 된 지난 2일 3500선마저 뚫었고 거침없이 달린 끝에 4000선을 찍었다. 연초 이후 코스피 지수 상승률은 68%로 주요 30여 개 나라 중 1위를 달리고 있다.

 

시가총액 1, 2위인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각각 3.24%(10만2000원), 4.90%(53만5000원)뛰며 나란히 사상 최고가를 썼다. 특히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취임 3주년을 맞은 이날 삼성전자는 '십만전자' 고지를 밟았다. 지난 2018년 액면 분할 이후 한 차례도 넘지 못했던 '10만원 벽'을 이날 넘어선 것이다. '반도체 수퍼사이클'에 대한 기대감과 함께 최근 잇따르는 수주 소식, 주가 부양을 위한 삼성의 자사주 매입 등이 맞물린 결과로 해석된다.

 

코스피를 4000선으로 올려놓은 건 외국인투자가의 매수세였다. '반도체 슈퍼사이클' 전망과 미·중 관세 전쟁 1년 '휴전',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회의에 대한 기대감 등에 베팅한 것이다. 외국인은 이재명 정부 출법 이후 유가증권시장에서 19조원이 넘는 주식을 샀다.

 

정부의 증시 부양 노력도 컸다. 이재명 정부는 출범 후 불투명한 기업 지배구조 개선, 낮은 주주환원 수준 제고, 기업(산업)혁신 역량 강화 등을 키우는 데 집중해 왔다.

 

박수현 더불어민주당 수석대변인은 이날 서면 브리핑에서 코스피 4000선 돌파에 대해 "이재명 정부와 민주당의 외교 노력과 내란 종식 추진은 대내외 불확실성을 해소했다. 상법 개정은 '코리아 디스카운트'를 '코리아 프리미엄'으로 바꿔내는 촉매제가 됐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코스피 4000은 대한민국 경제의 새로운 출발선"이라며 "이 대통령과 민주당의 대선 공약인 코스피 5000시대를 열겠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구조적 강세장으로 이어질지는 아직 불확실하다. 거시 환경의 순풍만으론 기업가치의 지속적 상승(밸류업)을 담보할 수 없어서다. 지금 필요한 것은 양적 상승을 넘어서는 질적·구조적 도약이라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자본시장 한 관계자는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들의 연구가 보여주듯, 슘페터가 강조한 '창조적 파괴'가 지속하는 산업 생태계야말로 기업가치의 근간"이라며 "기업들은 연구개발(R&D) 투자 확대와 신성장 동력 발굴, 제조업과 AI의 융합 등 질적 혁신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지적했다.

 

지속해서 외국인 자금을 끌어들이려면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 선진국 지수 편입도 꼭 필요하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