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금융>보험

[뉴메트로 10년 기획] <고령화시대, 금융에서 답을 찾다> (2)'연금신탁' 등 노후대비

'보험금청구권 신탁' 급확산… 삼성생명 누적 2,300억·600건
연금전환·유동화·질병 트리거로 진화하는 '하이브리드 종신'

Chat GPT가 생성한 고령화시대 금융 이미지./Chat GPT 생성 이미지

고령화시대에 맞춰 보험업계가 '신탁'과 '종신보험'을 중심으로 다양한 상품을 선보이고 있다. 사망보험금을 일시금 대신 월 지급·조건부 지급으로 바꾸고 종신보험에 연금전환·유동화·질병 트리거를 얹는 흐름이 뚜렷하다. 핵심은 '신탁으로 지급 방식을, 종신으로 재원과 전환 옵션을 설계'하는 결합이다.

 

고령사회에선 상속·돌봄·현금흐름이 한 테이블에서 맞물린다. 보험업계가 꺼내든 카드는 '신탁'과 '종신보험'. 신탁은 '어떻게 줄지', 종신은 '언제·얼마를 받을지'의 기술이다. 두 축을 결합하면 상속 분쟁을 줄이고 노후 현금흐름을 세밀하게 설계할 수 있다. 다만 상품·신탁은 회사·약관·수탁계약에 따라 차이가 크다. 계약 전 숫자와 조건을 문서로 확인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하나금융연구소

◆ 생활자금 잇는 '보험금청구권 신탁'

 

보험금청구권 신탁은 사망보험금 청구권을 수탁기관이 받아 사전에 정한 방식으로 유가족에게 분할·조건부 지급하도록 설계한 구조다. 가족의 상속 분쟁을 예방하고 한부모 자녀 또는 장애 자녀를 둔 부모가 경제적 자립이 어려운 자녀를 위해 보험금 지급 시점과 금액을 맞춤형으로 설계해 안정적인 생활자금을 마련할 수 있다.

 

삼성생명 보험금청구권신탁 통계./삼성생명

삼성생명의 경우 올해 5월 말 기준 누적 600건·2300억원, 월평균 260억원의 신규 자금이 유입됐다. 가입 연령은 40~50대가 절반 이상으로 수익자는 자녀 비중이 높다. 손자녀를 지정한 계약의 평균금액이 6억4000만원에 달하는 등 세대 간 이전 수요가 뚜렷하다.

 

KB라이프생명은 그룹 내 은행·증권과 연계한 4단계 프로세스(보험가입 상담→신탁 상담→신탁계약→사후 지급관리)를 제시했다. 고액 계약 시 보험료 할인 혜택을 제공해 VIP고객도 보험금청구 신탁 제도를 활용해 효과적으로 상속할 수 있도록 상품을 개발했다.

 

ABL생명은 최소 3000만원, 계약자·피보험자·위탁자 동일, 수익자 배우자·직계 한정, 보험계약대출 없음 등의 조건을 명시한다(세부는 회사·수탁기관별 상이). 한부모·장애 자녀 등 장기 생활자금 목적의 활용 사례도 전면에 올렸다.

 

/한화생명

◆ 보장+현금흐름 '하이브리드 종신보험'

 

보험업계의 또다른 축은 하이브리드 종신보험이다. 한화생명 '하나로H종신보험'은 일정 요건 충족 시 연금으로 전환해도 사망보장을 유지한다. 전환 시점 사망보험금(최초 가입금액의 3배 이상)을 기준으로 '연금+사망보험금' 합계를 보증하는 구조다. 연금전환은 가입 후 18년 이후(20년납은 20년 이후)부터 가능하다. 전환 후 초기 10년은 연금을 2배로 지급하도록 설계됐다. 35세 남성·가입금액 3000만원 기준, 10년간 보험료를 납입하면 월 보험료는 약 44만원 수준이다. 20년 후 55세 시점에 연금으로 전환하면 국민연금 수급 전인 초기 10년 동안은 매년 약 367만원 이후에는 약 183만원의 연금을 받을 수 있다.

 

KB라이프 '더블업 역모기지 종신'은 사망보험금을 역모기지형 생활자금으로 유동화하고 일반암 진단 시 사망보험금·역모기지 지급액을 2배로 높였다. 40세·가입금액 1억원 기준, 65세에 10년형 역모기지를 신청하면 매년 약 634만원×10년, 일반암 진단 후에는 약 1268만원×10년으로 증액된다. 가입 연령은 일반심사형 15~75세, 간편심사형 30~75세로 폭넓다.

 

교보생명 '밸류업 종신'은 매년 10% 정률 체증으로 20년 후 611%까지 보장이 커지는 체증형이다. 가입 7년 이후 해약환급률 100% 시점부터 해약환급금을 활용해 일반종신전환형·적립형 또는 장기요양 보장으로 전환할 수 있다. 납입기간 이후에는 사망보험금의 최대 90%를 최장 20년까지 생활자금으로 전환 가능하다. 보험료 부담을 낮춘 저해약환급금형 구조로 10년 이상 장기 유지하면 가입 후 10년부터 20년 시점까지 11년간 매년 유지보너스를 적립해 준다.

 

신한라이프 '밸런스핏(Fit)'은 3대질병 연금전환특약으로 전환 조건을 충족하고 전환 이후 3대질병 진단 시 10년간 매년 기본연금액의 3배를 지급하도록 설계됐다. 아울러 암·뇌혈관·허혈성심장질환 등 납입면제와 상급종합병원 주요치료비·간병인 사용 입원 보장(유형별)을 제공한다. 가입 나이는 만 15세부터 최대 70세(1형, 일반심사형)까지다. 보험료 납입기간은 7년납과 10년납(2형은 20년납) 중 선택할 수 있다. 간편심사형은 만30세부터 최대 70세(1형) 또는 최대 60세(2형)까지 가입 가능하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