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금융>금융일반

'안전자산' 아닌 '투기자산'?…금(金), 비트코인보다 변동성 컸다

27일 국제 금 가격, 온스당 4019.70달러…지난 1주간 일평균 2.55% 등락
금 값, 올해 들어 50.6% 상승…대표적 '위험자산' 비트코인보다 변동성 커
비트코인, '위험자산' 성향 약화…희소성 일정해 '차세대 안전자산' 가능성도

금(金)의 '안전자산' 지위가 흔들리고 있다. 금 가격이 올해 들어 지정학적·정치적 불확실성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면서, 가격 변동성이 커졌기 때문이다. 금 가격의 변동성이 대표적 '위험자산'인 비트코인의 가격 변동성을 앞질러 비트코인이 차세대 안전자산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가능성도 제시됐다.

 

종로구 한국 금거래소에 전시된 골드바. /뉴시스

◆ '金' 가격 변동성 극심

 

뉴욕선물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27일(현지시간) 거래에서 12월 인도물 국제 금 선물 가격은 트로이온스(31.1g, 약 8.1돈)당 4019.70달러에 거래됐다. 이는 전일보다 118.10달러(2.85%) 급락했다. 지난 20일 기록한 사상 최고가 4359.40달러와 비교해서는 339.70달러(7.8%) 급락했다. 1주일간 국제 금 가격의 일평균 등락폭은 2.55%에 달했다.

 

금 가격은 올해 들어 가파른 상승세를 지속하며 사상 최고가를 수 차례 경신하는 한편, 가격 변동성에서도 사상 최고 수준을 지속 중이다. 올해 초 온스당 2669달러 수준이었던 금 가격은 10개월 만에 약 50.6% 상승했지만, 지난 2주간 일평균 변동성은 2.15%에 달해 1980년대 이후 가장 높은 변동성을 보이고 있다.

 

세계 금 협회(World Gold Council)에 따르면 지난 60년간 금 가격의 연 평균 변동치는 16.2%였다. 일 평균 2% 이상의 최근 금 가격 변동성은 전통적인 금 가격 변동성의 수십배에 달한다. 금은 전통적으로 가치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안전자산'으로 평가받았지만, 최근에는 '투자상품'으로 여겨지면서 그 역할이 흐려지고 있는 것.

 

워싱턴 D.C.의 미국 국회의사당./뉴시스

◆ '불확실성'에 변동성 확대

 

올해 금 가격 상승 요인으로는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정책, 동유럽·중동 지역의 지정학적 불확실성 등이 꼽히지만, 최근 금 가격 변동성은 미국 연방정부의 셧다운(업무 일시정지) 장기화에 기인했다. 당초 2주 이내에 끝날 것으로 여겨졌던 셧다운이 장기화하면서 불확실성이 빠르게 확산하고 있다.

 

미 상원은 지난 1일 미 공화당과 민주당이 오바마케어 관련 예산에 이견을 보이면서 셧다운 상태에 돌입했다. 당초 2주 이내에 종료될 것이라 여겨졌던 셧다운은 4주째 이어지고 있고, 미 공화당과 민주당의 대립이 지속되는 가운데 불확실성이 확산하고 있다.

 

높은 금 수요는 가격을 끌어 올리고 있지만, 단기간의 가파른 가격 상승에 차익 실현 물량도 쏟아지면서 변동성을 키우고 있다. 지난 21일(현지시간) 국제 금 가격은 전일 사상최고가 기록에 따른 차익 실현 물량이 쏟아지면서 전일 대비 250.3달러(5.74%)나 급락했는데, 이는 지난 2020년 8월 이후 가장 큰 하락이다.

 

비트코인 우세론자들은 비트코인이 '디지털 금'으로 기능할 수 있다고 확신한다./뉴시스

◆ 비트코인이 '디지털 금'?

 

금(金) 가격의 변동성이 커지면서 전통적인 안전자산 지위가 흔들리는 가운데, 대표적 '위험자산'인 비트코인은 1BTC당 11만 달러 전후로 가격이 고착화했다. 비트코인은 올해 초 트럼프 미국 대통령 취임 이후 가상자산 정책에 대한 기대감에 힘입어 지난 5월 사상 최초로 11만 달러를 넘겼는데, 이후 등락을 지속하며 11만 달러 전후에 '박스권'을 형성했다.

 

투자정보사이트 인베스팅 닷컴에 따르면 지난 2주간 비트코인의 가격 변동성은 일평균 1.50%다. 같은 기간 금 가격의 변동성인 2.55%와 비교해 1.05%포인트(p) 낮다. 올해 초와 비교한 가격 상승률도 21.92%에 그쳐, 금 가격 상승분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다. '가상자산 대장주' 비트코인은 대표적인 위험자산으로 여겨졌는데, 금 가격보다도 변동성이 낮아진 것.

 

비트코인 우세론자들은 비트코인 가격이 안정될 경우 비트코인이 '디지털 금'으로 기능할 수 있다고 확신한다. 비트코인의 총 발행량이 2100만개로 제한된 만큼, 일정한 희소성에 힘입어 '가치 저장'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이다. 현재 채굴이 완료된 비트코인은 1960만개로, 비트코인은 몇 차례의 반감기를 거쳐 오는 2140년까지 발행이 완료될 예정이다.

 

지난해 초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의 ETF 승인 이후 지속되는 자금 유입과 헤지(위험 분산)를 목적으로 하는 기관 투자자의 가상자산 투자 증가는 비트코인 가격을 안정시키고 있다.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지난 8월 말 기준 정부·기관·ETF가 보유한 비트코인 비중은 전체 발행량의 약 15.5% 수준으로, 시장 내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빠르게 늘고 있다.

 

다만 관련업계에서는 비트코인이 단기간 내에 기존 현물자산을 대체할 가능성은 낮다고 전망한다.

 

한 가상자산업계 관계자는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을 비롯한 주요 가상자산은 SEC의 ETF 승인 이후 가격이 상향 안정된 경향이 있다"면서도 "다만 아직까지는 가상자산 시장 전반에 외부 요인에 의한 변동성이 여전한 만큼, 자산가치 보전을 위해서는 가상자산 뿐만 아니라 전통적 자산에도 분산해서 투자하는 것이 안전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