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제약/의료/건강

동아쏘시오그룹, 실적 호조..."바이오의약품으로 신성장동력 강화"

동아쏘시오홀딩스 사옥 전경. /동아쏘시오그룹.

동아쏘시오그룹이 기존 박카스 등 일반의약품뿐 아니라 바이오의약품 사업으로도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

 

우선 동아쏘시오그룹 지주회사 동아쏘시오홀딩스는 올해 3분기 연결기준 매출 3826억원, 영업이익 333억원을 기록했다고 29일 밝혔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7%, 영업이익은 48% 커졌다.

 

올해 3분기까지 누적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7% 증가한 1조579억원, 누적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35% 늘어난 818억원이다.

 

바이오의약품 위탁생산(CMO) 전문회사 '에스티젠바이오'가 신규 수주, 바이오시밀러 상업화 등에서 성과를 거두며 그룹 내 신성장동력 역할을 했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88% 커져 315억원을 올렸고, 영업이익은 115% 급증해 18억원이다.

 

에스티젠바이오는 약 9000리터(L) 규모의 원료의약품(DS) 및 완제의약품(DP)을 생산하고 있다. 또 동아에스티가 개발한 스텔라라 바이오시밀러 '이뮬도사' 상업화 물량도 전량 담당한다.

 

동아쏘시오그룹은 이러한 에스티젠바이오 성장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 글로벌 수요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사전충전형주사제(PFS) 설비 도입, 제2공장 건설 등을 검토하고 있다.

 

스프레이 타입 몸 여드름 치료제 '애크린 외용액' /동아제약.

헬스케어 전문회사 '동아제약' 실적 상승은 일반의약품이 견인했다.

 

동아제약의 올해 3분기 매출은 2001억원, 영업이익은 285억원이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2%, 29% 커진 규모다. 이중 일반의약품 매출은 575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8% 증가했다.

 

특히 여드름, 색소침착 등에 쓰이는 피부외용제 제품군이 매출 성장을 주도했다.

 

반면, 생활건강 사업은 480억원의 매출에 그치며 전년 동기 대비 6% 줄었다. 생활건강 사업 핵심 품목인 고급 비타민 오쏘물의 경우, 285억원의 매출로 전년 동기 대비 6% 축소됐다.

 

다만 동아제약 전체 주요 제품군에서는 박카스F(486억원), 박카스D(429억원) 등에 이어 오쏘물이 3위로 이름을 올렸다.

 

에스티젠바이오, 동아제약 등 동아쏘시오홀딩스 사업회사와 함께 동아에스티, 에스티팜도 외형 성장을 이뤄냈다.

 

동아에스티의 올해 3분기 매출은 1984억원으로 최대 분기 매출을 돌파함과 동시에 영업이익은 15% 감소해 168억원이다.

 

전문의약품 사업에서 인성장호르몬제로 쓰이는 바이오의약품 그로트로핀 등의 판매 호조가 이뤄졌다. 또 신규 품목인 위식도역류질환치료제 자큐보는 전년 동기 대비 무려 2014% 증가한 143억원의 매출로 기여했다.

 

동아에스티는 영업이익 감소에 대해서는 지난해 상반기 연구개발 비용 조기 집행으로 인한 같은해 3분기 기저 효과가 나타나면서 영향을 받은 결과라는 분석을 내놨다.

 

지난 9월 4일 경기 안산 소재 에스티팜 반월캠퍼스에서 '제2올리고동 준공식'이 열렸다. /동아쏘시오그룹.

에스티팜은 올리고 의약품 위탁개발생산(CDMO) 사업으로 기업 입지를 넓힌다.

 

에스티팜의 올해 3분기 매출은 매출 819억원, 영업이익 147억원 등이며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33%, 영업이익은 142% 늘었다.

 

에스티팜 측은 "최근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품목허가를 승인받은 상업화 품목이 매출에서 높은 비중을 차지하면서 전체적인 마진율도 크게 증가해 높은 매출 볼륨으로 인해 영업 레버리지 효과가 긍정적으로 작용, 영업이익률 18%를 달성"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올해 9월 말 기준 올리고 의약품 CDMO 부문 수주잔고는 약 2780억원 수준이다.

 

아울러 에스티팜은 저분자 화합물 및 mRNA 의약품 CDMO와 임상시험수탁(CRO) 사업에도 속도를 낸다는 방침이다. 제2올리고동의 경우 지난 7월부터 일부 임상용 시료 생산을 위해 조기 가동을 시작한 바 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