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증권>증권일반

이재용·정의선·젠슨황 '러브샷'...'AI 깐부 회동'에 삼성전자·현대차 주가↑

황 CEO, 삼성동 깐부치킨서 두 회장 만나 “한국의 미래 위한 큰 발표” 예고
삼성전자 HBM3E 엔비디아 납품 공식화…현대차 SDV·로보틱스 협력 확대
장 마감 후 애프터마켓서 삼성 10만4300원·현대차 26만9000원으로 추가 상승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와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이 30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엔비디아 지포스 게이머 페스티벌에서 참관객들에게 선물을 나눠주고 있다./뉴시스

국내 증시가 인공지능(AI) 동맹 강화 기대감으로 다시 들썩였다.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15년 만에 방한해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과 서울 강남에서 만난 자리에서 반도체·모빌리티 협력 강화를 논의하면서다. 삼성전자가 3분기 사상 최대 매출과 함께 HBM3E의 엔비디아 납품을 공식화했고, 현대차 역시 AI 기반 소프트웨어중심차량(SDV) 개발에 속도를 내며 실적 개선 기대감이 커졌다.

 

30일 유가증권시장에서 삼성전자는 3.58% 오른 104,100원, 현대차는 2.71% 상승한 26만5000원으로 마감했다. 장 마감 후 깐부 회동 소식이 전해지자 애프터마켓(NXT)에서도 두 종목은 각각 10만4300원(+3.78%), 26만9000원(+4.26%)으로 추가 상승했다. 증권가에서는 삼성전자 목표주가를 최고 14만원(키움·IBK·유진투자증권 전망), 현대차는 29만원(하나증권 전망)으로 상향하며 동반 강세를 전망했다.

 

◆깐부 치맥서 밝혀진 AI 협력…"한국의 미래 위한 큰 발표" 예고

 

30일 저녁 젠슨 황 CEO는 서울 삼성역 인근 치킨집 '깐부치킨'에서 이재용·정의선 회장과 만나 1시간여 동안 식사하며 대화를 나눴다. 이날 회동은 황 CEO의 제안으로 성사된 이번 회동은 격식 없이 이뤄졌다. 세 사람은 치킨과 맥주를 함께 즐기며 환하게 웃었고, 정 회장의 제안으로 팔짱을 끼고 ‘러브샷’을 하며 소맥잔을 맞부딪쳤다. 황 CEO는 이 회장과 정 회장에게 엔비디아의 초소형 AI 슈퍼컴퓨터 ‘DGX 스파크’와 600만 원대 위스키 ‘하쿠슈 25년산’을 선물했다.

 

회동을 마친 세 사람은 곧바로 인근 코엑스 K-POP 광장으로 이동해 '지포스 게이머 페스티벌' 무대에 함께 섰다. 황 CEO는 "PC방과 e스포츠가 없었다면 엔비디아도 없었을 것"이라며 "AI 혁명은 여러분 덕분에 시작됐다"고 말했다. 이어 "내일(31일) 이재명 대통령과 함께 한국의 미래를 위한 큰 발표를 할 것"이라며 협력 확대를 시사했다.

 

이 회장은 "25년 전 삼성 반도체 GDDR D램을 써서 지포스 256을 출시하면서 엔비디아와의 인연이 시작됐다"며 "젠슨은 세계 최고의 혁신가이자 진정한 친구"라고 말했다. 정 회장도 "앞으로 엔비디아 칩이 자동차와 로보틱스에 들어와 더 많은 협력이 이어질 것"이라고 언급했다.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와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이 30일 서울시내 한 치킨집에서 '치맥회동'을 하고 있다. / 뉴시스

◆HBM3E 공급 공식화·SDV 협력 확대…AI 특수에 증시 낙관론

 

엔비디아와 삼성전자는 이미 반도체 공급망에서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다. 삼성전자는 이날 3분기 실적발표에서 "HBM3E는 전 고객사 대상 양산 판매 중"이라며 엔비디아 납품 사실을 처음으로 공식화했다. 메모리 판매량이 전 분기 대비 80% 넘게 증가하며 반도체(DS) 부문 영업이익은 7조원으로 뛰었다. 차세대 제품인 HBM4 샘플도 주요 고객사에 출하해 내년 수요를 확보한 상태다. 김재준 삼성전자 메모리사업부 부사장은 "내년 생산 계획분 수요를 이미 확보했다"고 밝혔다.

 

파운드리 사업은 테슬라·엔비디아 등 주요 고객사와의 대형 수주로 적자 폭이 1조원대로 줄어든 것으로 추정된다. 삼성전자는 "AI 투자 확대에 따라 내년에도 반도체 호황이 이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현대차는 엔비디아와 자율주행·로보틱스·SDV 분야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내년 하반기 엔비디아 'AGX 토르' 플랫폼을 탑재한 고성능 SDV 시범 차량 공개를 목표로 한다. 하나증권은 "관세 인하로 완성차 관세 비용이 3조7000억원 줄어들 것"이라며 현대차·기아 목표주가를 각각 29만원, 14만원으로 상향하기도 했다.

 

증시 전반의 기대감도 커지고 있다. 박희찬 미래에셋증권 리서치센터장은 "AI 수요와 반도체 실적 개선이 맞물리며 코스피 4900선까지 상승 여력이 있다"고 분석했다. 정은보 한국거래소 이사장 역시 "코스피의 PER이 정상 수준인 17배까지 회복되면 5000선도 가능하다"고 전망했다.

 

이날 황 CEO는 "AI가 모든 산업을 바꿀 것"이라며 "엔비디아의 미래는 매우 밝다"고 말했다. 뉴욕증시에서 엔비디아는 시가총액 5조 달러를 돌파하며 세계 3위 경제대국 독일의 GDP를 넘어섰다. 시장은 한국의 'AI 삼각동맹'이 그 흐름을 이어갈 새로운 불씨가 될 것으로 기대하는 모습이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