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오피니언>칼럼

[전용호의 龍虎相生 복지이야기] 생애말기 서비스의 활성화가 필요하다!

/전용호 인천대 사회복지학과 교수

사람은 누구나 삶의 마지막 순간을 맞이한다. 기대수명이 100세에 이르는 세상이 되었지만, 많은 이들이 여전히 '어떻게 품위 있게 생을 마무리할 것인가'에 대한 준비가 부족하다. 신체적 고통이나 갑작스럽고 충분하지 못한 작별, 가족의 슬픔 등 임종 과정의 어려움은 우리 사회가 해결해야 할 과제다.

 

생애말기 서비스는 죽음을 기다리며 고통을 참는 것이 아니라, 남은 시간을 의미 있고 편안하게 보내도록 돕는 돌봄이다. 이 서비스는 신체적 증상, 즉 통증이나 호흡 곤란 등 힘든 문제를 완화할 뿐만 아니라, 임종을 앞둔 사람과 가족의 불안, 두려움, 슬픔에도 전문적으로 상담과 지지를 제공한다. 마지막 순간에 자신의 삶을 돌아보고, 할 말이나 정리하지 못한 일들을 마무리하면서 마음의 평안을 얻는다. 가족 역시 환자와 충분한 시간을 보내며, 마음의 준비와 작별을 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오랫동안 호스피스·완화의료가 매우 더디게 제도화가 이뤄졌고 주로 암 환자 중심으로 운영되어 왔다. 하지만 생애말기 서비스는 특정 질환에 한정되지 않는다. 노쇠, 만성질환, 퇴행성 질환 등 다양한 이유로 생애 말기에 접어든 사람들이 모두 필요로 한다. 대부분의 노인은 가족과 함께 익숙한 집에서 마지막 시간을 보내기를 바란다. 그러나 현실에서는 치료 연장과 반복적인 응급실 방문으로 병원에서 임종을 맞는 경우가 많고, 그 과정에서 환자는 통증과 불안에 시달리고, 가족 역시 간병의 부담과 심리적 어려움에 지친다. 충분한 작별 시간조차 갖지 못하고 끝나는 일도 많아, 남겨진 가족이 오래 슬픔을 겪는 일이 잦다.

 

생애말기 서비스가 제대로 자리 잡지 못하는 이유도 있다. 먼저 서비스 대상이 제한적이어서 노쇠나 만성질환을 앓는 환자들은 적절한 지원을 받기 어렵다. 둘째, 서비스가 의료기관 중심으로 운영되어 집에서 돌봄을 받기는 쉽지 않다. 실제로 의사와 간호사의 방문은 필수적이지만, 방문 횟수나 시간대에 대해 엄격한 제한이 있어 원하는 만큼 이용하기 어렵다. 셋째, 임종기 돌봄을 제대로 수행할 수 있는 인력이 부족하고, 가족의 휴식을 돕는 단기보호 기관도 전국적으로 수가 매우 적어서 쉽게 이용할 수 없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려면 현장의 목소리에 맞춘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 우선, 집에서도 환자가 안정적으로 생애말기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방문 진료와 간호 기준을 완화하고, 야간이나 주말 등 다양한 시간에도 필요한 돌봄을 받을 수 있게 수가 체계를 고칠 필요가 있다. 임종기 돌봄을 담당할 수 있는 전문 인력 양성 체계도 정비해야 한다. 가족 부담을 줄일 수 있도록 단기보호 자원이 확충되어야 하며, 서비스 접근성을 높이는 현실적인 대책도 필요하다.

 

생애말기 서비스는 단순한 의료 지원이 아니라, 삶의 마지막까지 존엄을 지키고 가족의 슬픔을 덜어주는 사회적 안전망이다. 누구나 품위 있는 임종을 맞이할 권리가 있다. 생애말기 서비스의 확산을 위한 제도적 확대는 우리 사회가 반드시 앞장서야 할 복지적 가치다.■전용호 인천대 사회복지학과 교수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