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진의 늪에 빠진 제너시스비비큐그룹
[메트로신문 정은미기자] 치킨프랜차이즈 비비큐(BBQ)로 유명한 제너시스비비큐그룹(회장 윤홍근·사진)이 부진의 늪에 빠졌다. 무리한 해외사업과 문어발식 사업 확장이 발목을 잡았다는 분석이다. ◇제너시스비비큐글로벌, 자본총액 마이너스 55억원 16일 제너시스비비큐그룹의 지주사격인 제너시스가 금융감독원에 제출한 감사보고서에 따르면 제너시스는 2013년 당기순익 105억원으로 흑자를 기록했지만 지난해에는 당기순손실 86억 원으로 적자 전환했다. 이는 매출액(108억 원)보다 판매비와 관리비(125억 원) 지출이 초과 한 데다 자회사인 제너시스비비큐글로벌의 실적 부진으로 지분법 손실이 51억원 발생했기 때문이다. 제너시스비비큐글로벌은 비비큐의 글로벌사업부로 지난해 인적분할했다. 비비큐는 지난 2006년 '맥도널드를 능가하는 세계 최대 최고의 프랜차이즈 그룹'으로 거듭나겠다며 호기롭게 미국에 진출했다. 하지만 가맹점 모집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지난해 단기순손실 84억원을 기록했다. 자본총액은 마이너스 55억원으로 자본금 20억원의 두 배 이상의 적자를 내고 있다. 비비큐의 최대주주인 제너시스는 지난해 인적분할을 하면서 같은 지분율 84.41%로 제너시스비비큐글로벌의 최대주주가 됐다. 제너시스비비큐글로벌의 실적부진을 제너시스가 끌어안으면서 이 같은 손실을 기록했다. 제너시스는 지난해 순손실로 지난 2002년 법인설립 이후 최초로 결손금이 생기기 시작했다. 지난해 결손금은 27억원이다. 자본총계 역시 300억 원에서 215억원으로 줄었다. 제너시스는 전년만 해도 이익잉여금이 58억 원이었다. 그룹은 지난 4월 세계 최대 푸드서비스 업체 캠패스 그룹 산하 레비(Levy)와 업무제약을 맺고 다시 한 번 미국 시장에 공격적으로 사업을 확장해 나간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하지만 업계는 제너시스비비큐글로벌의 계속되는 부진에 높은 부채로 인해 해외사업 추진이 쉽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해와 사업은 브랜드가 경쟁력이 생길 때까지 투자가 뒷받침 돼야 하지만 제너시스비비큐글로벌은 부채가 자본금 규모보다 많은 상황"이라며 "유명 글로벌 외식 업체와 손을 잡아 투자금을 새롭게 유치하게 되더라도 높은 부채로 인해 고금리로 받을 수밖에 없어 부채를 쉽게 털지 못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룹 5개 자회사, 지난해 53억원 적자 기록 해외 사업뿐만 아니라 제너시스비비큐그룹의 치킨 외 프랜차이즈 사업들도 고전 중이다. 제너시스 감사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그룹의 지엔에스올떡(올떡), 지엔에스엠앤에프(맘앤팜·신돼랑 등), 지엔에스초대마왕(초대마왕·구 닭읽는마을), 지엔에스에프앤비(우쿠야), 지엔에스와타미푸드앤베버리지서비스(와타미) 등 5개 자회사는 지난해 총 53억원의 적자를 기록했다. 전년 29억원보다 2배 정도 적자 폭이 커졌다. 지난해 순손실이 가장 컸던 사업은 와타미로 지난해 18억원의 적자를 냈다. 와타미는 2013년 일본 와타미그룹과 제너시스BBQ가 합작해 만든 법인으로 일본식 정통 외식 브랜드다. 당시 회사 측은 2020년까지 100개 매장에서 4000억 원의 매출을 올리겠다고 했지만 현재는 강남 본점만 한 곳만 운영 중이다. 초대마왕도 지난해 12억원의 적자를 기록했다. 초대마왕은 닭익는마을과 닭익는도리마루, 웰빙치킨 콘셉트의 참숯바베큐 브랜드를 운영하는 회사다. 프리미엄 미트숍 '맘앤팜'과 삼겹살 전문점 '신퇘랑', 돼지갈비 전문점 '왕푸짐' 등을 운영하는 엠엔에프와 분식점인 올떡도 지난해 각각 약 9억원씩의 적자를 내며 고전을 면치 못했다. 2013년 6억원의 흑자를 냈던 우쿠야를 운영하는 에프엔비 마저도 지난해에는 5억 원의 당기순손실을 내며 적자로 전환했다. 그룹 관계자는 "해외 시장 개척에는 시간이 오래 걸릴 수밖에 없다. 사업 확장을 위해 여러 가지 고민을 하고 있으며, 외부 투자금 없이 국내 수익을 기반으로 투자금으로 마련할 계획"이며 "비비큐 치킨프랜차이즈를 제외하면 나머지 사업의 규모가 크지 않은 수준이라 크게 신경 쓰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