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김승호
기사사진
대동, 국내 업계 최초 '농업 로봇' 시장 진출한다

농업용 운반로봇 'RT100' 출시…2월부터 순차 선봬 대동이 국내 업계 최초로 농업 로봇 시장에 본격 진출한다. 17일 대동에 따르면 '2025 국내 대리점 총회'를 열고 농업용 운반로봇 'RT100' 출시 계획을 밝혔다. 국내 농업용 운반차 시장은 연간 6000대 규모로, 자율이동로봇 수요는 상승 추세다. 대동은 앞으로 5년간 시장이 연평균 27.5% 이상 성장할 것으로 내다보고 자율주행 운반로봇을 개발했다. 신제품은 과수 시장을 겨냥했다. 작업자가 과일을 수확하면서 운반 농기계를 계속 운전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하려는 시도다. 유선(와이어) 추종과 자율주행 두 모델로 개발해 조작 최소화에 초점을 맞췄다. 대동은 2월 유선(와이어) 추종 운반로봇을 먼저 출시하고 이어 자율주행 추종 운반로봇을 4월 선보일 계획이다. 와이어 또는 자율주행 추종 기능을 사용하면 여성 및 고령 농민도 손쉽게 운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제자리에서 360도로 회전할 수 있어 좁은 농로에서 효과적이다. 무소음·무진동·무매연의 전동화 시스템, 최대 300㎏의 적재함 등을 갖췄다. 앞으로 ▲방제·수확·제초·살포 등 RT100 부착용 작업기 모듈 개발 ▲노지, 하우스 등 농업별 로봇 라인업 구축 ▲군집 주행, 자율주행 등 인공지능(AI) 농업 기술 강화 ▲공장, 건설현장, 물류창고 등 산업용 시장 진출 등을 통해 2029년까지 운반로봇 누적 1만대 보급을 목표로 제시했다. 대동 이광욱 국내사업부문장은 "농업용 운반로봇의 국내 보급 및 활성화와 이를 통해 미래 농업 환경 변화를 만들어갈 것이라는 점에서 이번 RT100 출시는 대동과 국내 농업의 새로운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2025-02-17 10:15:20 김승호 기자
기사사진
공영홈쇼핑, '우수 아이디어·혁신 기업제품 공모전' 개최

총 10개 기업 제품 선발…대상 1500만원등 개발 지원금 공영홈쇼핑이 중소벤처기업부와 함께 '2025 우수 아이디어·혁신 기업제품 공모전'을 개최한다. 17일 공영홈쇼핑에 따르면 올해로 4회째를 맞는 공모전은 전국 청년, 지역 중심 창업기업을 발굴하고 지속 가능한 벤처 생태계 조성에 기여하기위해 마련했다. 이번 공모전에서는 총 10개 기업 제품을 선발해 대상 1500만원, 최우수상 1000만원(이상 1개팀), 우수상 500만원(8개팀)의 상품개발 지원금을 지급한다. 공영홈쇼핑 상품기획자(MD)와의 일대일 상품화 코칭과 홈쇼핑 영상제작비 지원, TV홈쇼핑 판매방송 진행 등 원스톱 판로지원도 받을 수 있다. 지원자격은 중소기업기본법 제2조 규정에 의한 중소기업에 한하며, 자체 아이디어와 기술이 들어간 창작 제품 등을 대상으로 한다. 참여를 원하는 기업은 28일까지 판판대로를 통해 지원할 수 있다. 공영홈쇼핑 김영진 정책지원팀장은 "공모전을 통해 당선된 제품이 지속적으로 공영홈쇼핑 방송을 통해 소비자를 만나는 등 다양한 성공사례를 쓰고 있다"며 "홈쇼핑 판로를 열 수 있는 좋은 기회니 만큼 중소기업인 여러분들의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2025-02-17 10:07:39 김승호 기자
기사사진
벤처協, 고려인무역협회와 벤처기업 CIS 진출 지원

업무협약 맺고 글로벌 진출 지원 정보 제공·공유등 협력 벤처기업협회가 고려인무역협회와 손잡고 국내 벤처기업, 스타트업의 독립국가연합(CIS) 지역 진출을 적극 돕는다. 벤처협회는 고려인무역협회(KTI)와 지난 16일 서울 동대문 노보텔 앰배서더에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17일 밝혔다. 이번 협약을 통해 양측은 ▲벤처·스타트업 대상 글로벌 진출 지원 사업 정보 제공 및 홍보 ▲벤처·스타트업의 해외 시장 진출 및 투자유치를 위한 글로벌 네트워크 정보 공유 및 수요기업 공동 발굴 ▲공동 협력 사업 기획 및 추진 등의 협력 방안을 마련하기로 했다. 2016년 고려인 비즈니스 클럽 연합단체로 설립된 KTI(Koryoin Trade Institute)는 CIS 국가에 12개 지부를 운영하며 한민족 경제공동체 형성과 무역 증진을 목표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사업으로는 시티포럼 개최, 고려인 지원 프로그램, 해외 수출입 사업, 청년 지원 사업 등이 있다. 벤처협회 이정민 사무총장은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국내 기업들이 CIS 지역을 포함한 글로벌 시장으로 진출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게 됐다"며 "앞으로도 다양한 글로벌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벤처·스타트업의 해외 진출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2025-02-17 09:27:20 김승호 기자
기사사진
한진, 결식 아이들위해 '행복한 한끼' 전달

사회공헌 프로그램 통해 '사랑의 도시락' 캠페인에 전달 한진이 자체 사회공헌 프로그램인 'Love Connect' 4차 캠페인을 통해 결식 아이들의 행복한 한 끼를 위한 작은 실천을 이어간다. 한진은 '훗타운이 전하는 행복한 한 끼' 캠페인을 통해 지난 3개월 간 조성한 후원금을 월드비전 서울서부사업본부의 결식아동 저녁식사 지원사업인 '사랑의 도시락' 캠페인에 전달했다고 17일 밝혔다. 후원금은 글로벌 C2C 해외직구 플랫폼인 '훗타운(HOOT-TOWN)'의 수익금 일부를 토대로 조성했다. 월드비전 '사랑의 도시락'은 저소득 가정의 결식 아이들에게 주 5일 저녁 식사로 도시락을 제공하는 후원사업이다. 또한, 한진은 같은 날 후원금 전달과 함께 임직원들이 직접 참여해 반찬 만들기 및 도시락 포장 등 도시락 만들기 봉사활동을 수행하며 나눔의 손길을 더했다. 한편 한진은 지난 2021년 11월부터 CSV(Creating Shared Value·공유가치창출) 활동과 연계해 고객과 함께 '착한 소비'에 동참할 수 있는 'Love Connect' 캠페인을 매분기 진행하며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실천하고 있다. ▲사단법인 '비글구조네트워크'와 협력해 유기견 관련 활동 기부 ▲사단법인 이타서울과 환경정화 활동 ▲사회복지법인 '어린이재단'과 아동 및 청소년 후원을 위해 '원클릭택배서비스' 수익금 일부 기부 등이 대표적이다. 한진 관계자는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기업과 사회가 상생하는 ESG 경영을 강화해 기업의 사회적 가치 창출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2025-02-17 08:44:32 김승호 기자
기사사진
에이스침대, 롯데百 본점서 '에이스 헤리츠' 팝업스토어

이달 27일까지 운영…방문객에게 특별 구매 혜택 제공 에이스침대가 최상위 매트리스 브랜드 '에이스 헤리츠(ACE HERITZ)' 팝업스토어를 롯데백화점 본점에서 이달 27일까지 운영한다. 17일 에이스침대에 따르면 에이스 헤리츠는 최상급 소재와 60년 역사의 첨단 침대과학 기술력을 집약해 완성한 하이엔드 매트리스 브랜드다. 에이스침대의 침대 전문 마스터들이 수작업으로 제품을 생산하며, 소재와 내장재를 세분화해 블랙, 다이아몬드 플러스, 다이아몬드, 플래티넘 플러스, 플래티넘 등 총 5가지 모델을 선보이고 있다. 이번 팝업스토어는 롯데백화점 본점 8층에 위치한 팝업 전문매장 더웨이브에서 진행하며 약 20.5평(67.7㎡)의 쾌적하고 넓은 공간에서 자유롭게 제품을 경험할 수 있다. 럭셔리한 인테리어와 소품으로 행사장을 꾸며 갤러리를 방문한 것 같은 특별한 쇼핑 경험을 제공한다. 특히 에이스침대는 최고 등급 제품인 '에이스 헤리츠 블랙'과 주력 제품인 '에이스 헤리츠 플래티넘 플러스'를 이번 팝업을 통해 만나볼 수 있도록 했다. 고급스러운 침실 분위기를 완성하는 헤리츠 전용 프레임 'H-201', 'BELLA'도 함께 선보인다. 또한 신혼부부 대상으로 높은 인기를 지닌 베스트셀러 모델인 '아르노-Ⅱ(ARNO-Ⅱ)', 프리미엄 매트리스 '로얄에이스 80s(Royal Ace 80s)'도 진열해 방문 만족도를 높였다. 방문 고객에게는 특별한 구매 혜택을 제공한다. 구매 지원금과 프로모션 혜택은 물론, 구매 금액대에 따라 사은품을 증정한다. 또한 예비부부 전용 멤버십 서비스 '에이스 웨딩멤버스' 및 'LG전자 베스트샵 프로모션' 등 타 프로모션과 연계해 소비자 혜택을 극대화했다. 에이스침대 관계자는 "이번 팝업스토어를 통해 최상위 매트리스 브랜드 에이스 헤리츠의 진정한 가치를 더 많은 소비자가 경험할 수 있길 바란다"며 "방문 고객을 위한 다양한 구매 혜택과 이벤트가 준비돼 있으니 많은 관심 부탁드린다"고 전했다.

2025-02-17 08:35:56 김승호 기자
기사사진
중기중앙회, 中企협동조합 전문인력 인건비 지원

최초 채용일 기준 1년간 조합당 1명, 최대 200만원 지원 중소기업중앙회가 중소기업협동조합의 공동사업 활성화를 위해 '협동조합 전문인력 지원사업'에 참여할 조합을 모집한다. 16일 중기중앙회에 따르면 오는 21일까지 모집하는 이 사업은 중소기업협동조합이 공동사업 추진을 위해 신규 채용한 전문인력의 인건비를 지원하는 사업으로, 신청대상은 중소기업협동조합법에 의해 설립된 중소기업협동조합이다. 절차에 따라 선정된 조합은 예산의 범위 내에서 최초 채용일 기준 1년간, 조합당 1명, 월 인건비의 70%를 인당 200만원 한도로 지원받는다. 또한, 지난해 전문인력을 지원받은 조합은 지원기간 연장을 신청할 수 있으며 재심사를 통해 선정되면 2년차에는 월 인건비의 50%를 받을 수 있다. 이 사업은 중소벤처기업부의 '제3차 중소기업협동조합 활성화 3개년 계획'에 따라 실시하는 것으로, 지난해와 같이 총 9억4000만원의 예산을 투입해 중소기업협동조합에 공동사업 전문인력을 지원할 계획이다. 채용 전문인력은 중기중앙회가 제공하는 중소기업협동조합 운영 및 공동사업 전략수립에 대한 교육과정을 이수한 후 공동사업의 기획, 실행, 성과관리, 네트워크 구축 등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중기중앙회는 지난해 총 87개 협동조합에 88명의 전문인력을 지원한 바 있다. 자세한 내용은 중소기업협동조합 포털 공지사항의 사업공고를 확인하면 된다. 중기중앙회 조진형 협동조합본부장은 "전문인력 지원사업은 협동조합의 공동사업 추진을 위한 기초적이고 필수적인 전문인력을 지원해주는 사업"이라며 "공동사업 기반이 약한 협동조합에 큰 도움이 돼 공동사업이 활성화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2025-02-16 12:01:12 김승호 기자
기사사진
시행 1년 '훌쩍' 납품대금 연동제…中企 10곳 중 2곳만 제대로 인지

중기부, 실태조사 결과…80.2%, 명칭만 알거나 전혀 알지 못해 '미연동약정 체결' 기업 45.7%, "원가 정보 제공 원치 않아" 답변 중기부, 1000곳 대상 연동약정 컨설팅 제공…상시 설명회 개최도 '납품대금 연동제'가 2023년 10월 시행, 1년이 훌쩍 넘었지만 제도를 제대로 알고 있는 중소기업은 10곳 중 고작 2곳에 그쳤다. 나머지 8곳은 제도의 이름만 인지하고 있거나 전혀 알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연동제 적용 대상 거래가 있는 중소기업 중 '미연동약정 체결' 기업의 절반 가량은 대기업 등 위탁기업에 원가 정보를 제공하기 싫다는 이유를 주로 꼽았다. 원가 정보를 제공할 경우 일감을 주는 기업이 납품대금을 깎는 등 불공정 행위를 할 것을 우려하고 있는 모습이다. 이같은 내용은 중소벤처기업부가 수탁 중소기업 1만2000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해 16일 내놓은 '2024년 납품대금 연동제 실태조사 결과'에서 나왔다. 설문에 답한 중소기업은 4013개사였다. 조사에 따르면 응답기업의 19.8%만 납품대금 연동제의 세부 내용을 상세히 알고 있었다. 하지만 43.5%는 '명칭만 알고 세부 내용은 모른다'고 답했다. '전혀 알지 못한다'는 답변도 36.7%에 달했다. 응답 중소기업의 80.2%(3218개사)가 제도에 대해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있는 모습이다. 그만큼 정책이 중소기업 현장에 제대로 전달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이런 가운데 응답기업의 11.7%인 469개사는 납품대금 연동 관련 '주요 원재료가 있다'고 답했다. 또 연동약정 의무 예외 사유 기업은 58개사(1.4%), 연동 약정 적용 대상 거래 기업은 411개사(10.2%)로 각각 파악됐다. 납품대금 연동제는 비용이 납품대금의 10% 이상인 주요 원재료가 있는 수탁·위탁거래에 적용된다. 또 위탁기업이 소기업이거나 1억원 이하의 소액계약, 90일 이내 단기계약에 대해선 연동약정 의무를 적용받지 않는다. 조사에 따르면 연동제 적용 대상 거래가 있는 수탁기업 411개사 가운데 연동약정을 체결한 기업은 66.2%인 272개사로 집계됐다. 미연동 약정을 체결한 기업은 35개사(8.5%)였다. 74.7%인 총 307개사가 연동에 관한 의무를 준수하고 있는 모습이다. 미연동약정 체결 기업 35개사를 대상으로 한 조사에선 45.7%(16개사)가 '위탁기업에게 원가 정보를 제공하길 원치 않아서'를 주요 이유로 꼽았다. '다른 법령상 의무에 따라 충분히 남품대금을 조정받고 있어서'라는 답변도 31.4%(11개사)였다. 또 연동제 적용 대상 거래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연동약정을 체결하지 않은 104개사를 대상으로 한 조사에선 '제도 이해도 부족'이 전체의 53.4%로 가장 많았다. 중소기업중앙회 산하 KBIZ중소기업연구소가 앞서 펴낸 '원자재 가격변동에 다른 납품단가 변화 분석 방법' 보고서에 따르면 철강가격이 10% 오를 때 승강기 제조원가(재료비 내 철강 비중 18.8% 고려)는 1.4%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알루미늄 값이 10% 오르면 금속제창 제조원가는 3.78%(재료비 내 알루미늄 비중 60.7% 고려) 상승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런 가운데 중기부는 납품대금 연동제에 대한 인지도 제고, 수탁기업의 원가공개 부담을 줄이기위해 올해도 주요 원재료 확인 등 연동약정 체결 지원사업을 통해 오는 3월부터 중소기업 1000개사를 대상으로 원가분석 및 연동약정 컨설팅을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중소 수탁기업은 위탁기업이 아닌 제3의 전문기관에게 원가정보를 제공하고, 위탁기업은 수탁기업의 원가정보가 아닌 주요 원재료 확인서를 통해 주요 원재료 여부를 객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 전국적 조직을 갖춘 '연동 확산 지원본부'를 통해 회원사 등 현장 기업에 대해 상시 설명회도 진행할 예정이다. 관련 본부에는 대·중소협력재단, 중기중앙회 이노비즈협회, 메인비즈협회, 중소기업융합중앙회가 참여하고 있다. 중기부 김우순 상생협력정책관은 "제도 시행 초기라는 점을 감안할 때 제도 인지도와 현장의 의무이행 비율은 긍정적인 측면이 있다"면서 "향후 제도의 확산을 위해 현장의 인지도 제고와 애로사항 해소를 중점적으로 추진할 것이며, 매년 정기적인 실태조사 및 수시 직권조사를 통해 탈법행위 등 법 위반행위를 점검하겠다"고 밝혔다.

2025-02-16 12:00:40 김승호 기자
기사사진
중기부, 예비창업자·창업기업 추가 지원한다

예비창업패키지, 780여명 선발…멘토링, 사업화자금등 지원 초기창업패키지, 430여개사 선정…초기 투자유치등 프로그램 중소벤처기업부가 '2025년 예비창업패키지·초기창업패키지 사업'에 참여할 예비창업자 및 창업기업을 모집한다. 16일 중기부에 따르면 예비창업패키지·초기창업패키지는 중기부의 대표적인 창업지원사업으로, 혁신 아이디어나 기술을 보유한 유망 예비창업자와 창업기업을 선발한다. 사업모델 고도화·시장진입·투자·실증 등 분야별 창업프로그램을 지원하고 제품개발과 제작, 마케팅 등에 소요되는 사업화 자금도 지원한다. '예비창업패키지'는 예비창업자, 초기창업패키지는 창업 후 3년이 지나지 않은 초기 창업기업이 신청 대상이다. 우선 예비창업패키지를 통해선 예비창업자 780여명을 선발한다. 분야에 제한이 없는 일반 분야에서 660여 명, 여성과 소셜벤처 분야에서 60여 명씩이다. 선발한 예비창업자에게는 창업 준비 과정에서 필요한 멘토링, 교육, 네트워킹, 비즈니스모델(BM)구체화 등의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사업화자금을 지원한다. 특히 올해에는 선정된 예비창업자를 대상으로 사업화자금(2000만원 이내)을 1차로 지급하고, 사업계획 이행에 대한 별도의 평가를 거쳐 추가자금(4000만원 이내)을 지원하는 차등지원 방식을 도입한다. 이를 통해 준비된 창업으로 지속성장이 가능한 예비창업자를 육성해 나갈 방침이다. 공고일 기준 '사업자등록 및 법인 설립등기를 하지 않은 자'가 참여할 수 있으며 올해 1월1일 이후 폐업한 경우는 불가능하다. '초기창업패키지'는 초기창업기업(창업 후 3년 이내)의 안정적인 시장 안착과 성장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올해 430여 개사를 선발한다. 선발한 초기창업기업에게는 시장 안착을 위한 실증, 컨설팅, 초기 투자유치 등의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사업화 자금(평균 7000만원)을 지원한다. 올해에는 심층인터뷰를 통해 창업 아이템의 기술성·성장 가능성 등을 심도있게 검증하고, 반기별로 분야별 IR을 개최해 초기창업기업의 투자유치 기회를 확대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중기부 조경원 창업정책관은 "창업기업의 성장단계별 지원사업인 예비창업, 초기창업 패키지를 통해 예비창업자의 도전과 혁신, 창업기업의 성장과 도약을 적극 뒷받침하겠다"고 밝혔다. 신청·접수는 K-스타트업 누리집에서 한다. 예비창업패키지는 이달 24일부터 3월12일 16시까지, 초기창업패키지는 3월11일 16시까지 각각 접수한다.

2025-02-16 12:00:38 김승호 기자
기사사진
한샘, 시니어 하우징 시장 공략한다

'케어링'과 MOU…시니어 전용 가구·IoT 서비스 개발 한샘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시니어 하우징 시장 공략에 나선다. 16일 한샘에 따르면 시니어 케어 전문기업 케어링과 시니어 주거 공간에 특화된 제품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양사는 업무협약을 통해 시니어의 휴식과 주거 편의성을 고려한 공간에 대해 연구하고 시니어 주거 전용 가구 및 사물인터넷(IoT) 서비스 개발에 협력할 계획이다. 양측이 개발한 제품은 케어링의 도심형 유료 양로시설인 '케어링스테이'와 프리미엄 요양원인 '케어링빌리지' 등으로, 시니어 하우징 사업 전반에 적용할 예정이다. 케어링은 가족요양, 방문요양, 주간보호 등의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니어 테크 스타트업이다. 2019년 방문요양 서비스를 시작으로 성장을 거듭해 2년 만에 국내 1위 요양 기업으로 자리매김했으며, 최근에는 시니어 주거 선택의 폭을 넓히기 위한 시니어 하우징 사업에 집중하고 있다. 올 1월 케어링스테이 1호점인 레이크점을 오픈한데 이어 올해 경기도 포천, 별내 등에 5호점까지 론칭해 시니어 입주자들의 건강하고 편안한 일상을 지원할 계획이다. 한샘 이승준 이사는 "그동안 고객들의 라이프스타일에 맞춰 주거 공간 트렌드를 선도해온 것처럼 시니어 라이프스타일에 맞춘 새로운 공간을 제안할 것"이라며 "이와 함께 케어링과 시니어 하우징에 적합한 스마트홈 솔루션을 구축해 시니어가 안전하고 편안하게 거주할 수 있도록 협업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2025-02-16 07:38:37 김승호 기자
기사사진
이노비즈協, 기술혁신기업 스마트공장 고도화 지원

'이음5' 기반…중소·중견 제조社 15곳 지원 이노비즈협회가 기술혁신기업들의 스마트공장 고도화를 지원한다. 16일 이노비즈협회에 따르면 중소벤처기업부,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과 함께 '2025년 부처협업형 스마트공장 구축 지원사업' 참여기업을 모집한다. 이 사업은 '이음5G' 기반의 스마트공장 구축·고도화를 위해 마련한 것으로 협회는 이노비즈기업 등 국내 중소·중견 제조기업 15개사를 지원한다. '이음 5G'는 토지, 건물 등 특정구역 단위로 구축해 초고속, 초저지연, 초연결의 5G 이동통신의 장점을 적극 활용한 특화 통신망, 스마트공장, 로봇을 활용한 원격정밀수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하고 있다. 주요 지원내용으로는 ▲제품설계·생산공정 개선 등을 위한 스마트공장 솔루션 구축 및 솔루션과 연동되는 자동화장비·제어기·센서 등 구축 지원 ▲이음5G(5G특화망)과 연계한 스마트공장 구축 지원 등이다. 지원 금액은 최대 50% 범위 내에서 고도화는 9개월 간 2억원, 고도화(동일수준)는 6개월 간 5000만원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및 한국전파진흥협회와 부처협업 형태로 연계 진행, 참여 기업에게는 이음5G 적용을 위한 운영자 교육 및 컨설팅 지원도 함께 이뤄질 예정이다. 정광천 이노비즈협회장은 "기술혁신으로 성장해 온 제조 기반 이노비즈기업이 지속적으로 혁신하기 위해서는 생산현장의 스마트화가 필수적"이라며 "이음5G 기반의 스마트공장 고도화를 통해 제조 현장의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하고 이들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적극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사업 참여를 희망하는 기업은 3월14일까지 스마트공장 사업관리시스템에서 온라인으로 신청할 수 있다.

2025-02-16 06:38:24 김승호 기자
기사사진
시몬스, 경기 광주에 '시몬스 맨션' 門 열어

115평 규모에 '뷰티레스트 블랙'등 체험…웨딩 프로모션도 시몬스가 경기도 광주시 중대동에 '시몬스 맨션 경기광주점'(사진)을 열었다. 16일 시몬스에 따르면 시몬스 맨션 경기광주점은 광주·분당 사이 길목에 위치한 유리한 교통 입지를 바탕으로 삼성스토어 광주점, LG전자 베스트샵 광주점 등 대형 가전매장과 이마트 광주점 등 대형마트가 들어선 핵심 상권에 자리했다. 매장 인근에는 e편한세상광주역 1~6단지, 힐스테이트 태전 5~6지구 등 대형 아파트 단지가 밀집해 가족 단위 고객, 혼수를 준비하는 예비부부 고객 등 다양한 고객층의 유입이 기대된다. 약 115평 규모의 매장에서는 '뷰티레스트 블랙(Beautyrest BLACK)'의 루씰(Lucile), 로렌(Loren), 브리짓(Brigitte) 등을 만나볼 수 있다. 또한 세계 침대업계 메가히트 컬렉션인 '뷰티레스트(Beautyrest)'의 인기모델 젤몬(Zalmon), 에디슨(Edison), 윌리엄(William), 지젤(Giselle) 등도 진열돼 다양한 매트리스를 취향에 따라 체험할 수 있다. 특히 새학기를 앞두고 자녀침대로 제격인 슈퍼싱글(SS)부터 여유로운 수면환경을 구현해 주는 그레이트킹(GK) 등까지 여러 사이즈가 비치돼 수면 스타일에 맞게 제품을 선택할 수 있다. 시몬스 맨션 경기광주점은 매장 오픈을 기념해 소비자들을 위한 특가 할인 혜택과 풍성한 사은품을 준비했다. 모든 사은품은 한정 수량으로 선착순이며 조기 소진될 수 있다. 시몬스 맨션 경기광주점에서는 결혼을 준비하는 예비 신혼부부를 위한 '웨딩 프로모션'도 만나볼 수 있다.

2025-02-16 06:38:22 김승호 기자
기사사진
국제물류업계 "대통령 직속 국제물류위원회 만들어야"

국제물류協, 이양수 의원과 '국제물류산업 발전 세미나' 원 회장 "국제물류산업, 관련 기업 최우선 보호 육성해야" 한국국제물류협회(KIFFA)가 국제물류산업 발전방안 모색에 나섰다. KIFFA는 14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도서관 대강당에서 이양수 국회의원과 공동으로 '국제물류산업 발전방안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날 세미나는 맹성규 국토교통위원회 위원장, 이철규 산업통상위원회 위원장, 정점식 의원, 조정훈 의원, 이연희 의원을 비롯해 관련 기관 및 국제물류업계 대표 등 300여 명이 참석했다. 기조연설에서 김병준 국제물류발전자문위원회 위원장은 "물류 관련 정책을 관련 부처가 상시적으로 협의해 결정할 수 있는 고위급 의사결정기구가 필요하다"며 "대통령 직속의 위원회 조직을 두거나 아니면 국무총리 산하의 위원회를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세미나에선 한종길 성결대 글로벌물류학부 교수(글로벌공급망 시장 동향 분석 및 국제물류업 개선방안), 김인현 고려대 해상법연구센터장 겸 교수(물류주선업자에 대한 운송사업자 지위 입법화 방안), 김영주 부산대 무역학부 교수(국제물류산업 육성 제도개선 방안)의 발표가 각각 진행됐다. 발제 후에는 해양수산부, 학계 전문가와 업계 관계자들의 종합토론이 이어졌다. 원제철 KIFFA 회장은 "국가 경쟁력은 다양한 요소로 평가될 수 있지만 특히 물류산업 역량이 가장 중요한 지표가 되는 시대"라면서 "우리나라 경제구조를 감안하면 국제물류산업과 관련 기업들을 최우선 보호 육성 산업으로 키워야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원 회장은 "세미나를 통해 미래 물류산업의 청사진을 그려내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심도 있는 논의가 이뤄지길 기대하며 앞으로 국제물류산업 미래는 더욱 밝아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KIFFA는 정기적인 포럼과 세미나 개최를 통해 국제물류산업의 중요성을 고려한 경쟁력 강화에 관한 관심을 촉구해 나갈 계획이다. 또 산업 발전을 위한 정책일원화, 국제물류전문 인력 육성, 국제물류기업 해외진출 지원방안 마련 등을 지속 모색할 예정이다.

2025-02-14 13:30:09 김승호 기자
기사사진
'직스캐드' 캄보디아 시장 진출…프놈펜 왕립大와 MOU

3년간 직스캐드 1500카피 제공…ODA 사업 일환 崔 "글로벌 경쟁력 갖춘 인재 성장 적극 지원" '직스캐드'가 캄보디아 교육시장에 진출한다. 인공지능(AI) 디지털 설계 플랫폼 기업 직스테크놀로지는 캄보디아 프놈펜 왕립대학교(Royal University of Phnom Penh·RUPP)와 MOU를 체결하고 한국산 CAD 소프트웨어인 직스캐드(ZYXCAD) 라이선스를 기증했다고 14일 밝혔다. 이번 MOU는 서울시립대학교 국제도시과학대학원의 ODA(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사업 일환으로 추진됐다. 서울시립대는 2021년부터 교육부 국제협력선도대학 육성지원 사업의 일환으로 RUPP와 협력해 캄보디아 최초의 독립적인 도시계획학과인 지속가능도시계획및개발학과(Department of Sustainable Urban Planning and Development)를 설립했다. 해당 학과는 '당신의 도시를 스마트하게, 당신의 미래를 더 스마트하게(Shape your city smart, Shape your future smarter)'라는 슬로건 아래 캄보디아의 도시 문제 해결을 위한 전문 인재를 양성하고 있으며, 이번 협약을 통해 직스캐드가 해당 학과의 교육과 연구에 적극 활용될 예정이다. 직스테크놀로지는 이번 협약을 통해 RUPP에 향후 3년간 총 1500copy의 직스캐드 라이선스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매년 500copy씩 총 3년간 제공할 예정이며, 이를 통해 RUPP 학생들은 자유롭게 직스캐드를 활용하여 실무 중심의 설계 교육을 받을 수 있게 된다. 캄보디아 왕립대학교(RUPP)는 1960년에 설립된 캄보디아 최초이자 최대의 국립 대학교로 과학, 기술, 공학, 수학(STEM)뿐만 아니라 인문·사회과학 분야에서도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프놈펜 왕립대학교 쳇 칠리 총장은 "직스테크놀로지와의 협력을 통해 우리 학생들이 최신 CAD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실무 교육을 받을 수 있게 되어 매우 기쁘다"며 "이번 MOU는 단순한 소프트웨어 기증을 넘어, 한국과 캄보디아 간의 기술 및 교육 교류를 더욱 강화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전했다. 직스테크놀로지 최종복 의장는 "캄보디아는 동남아시아 신흥 경제국으로서 건설 및 제조 산업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며 "이번 MOU 체결을 통해 RUPP 학생들이 직스캐드를 활용하여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직스테크놀로지는 앞서 베트남 하노이과학기술대학교(HUST), 베트남 건설대학교(CTC1), 연세대학교, 고려대학교, 한양대학교 등 국내외 14개 대학과 MOU를 체결하고 직스캐드 라이선스를 기증한 바 있다.

2025-02-14 11:05:02 김승호 기자
기사사진
장애인기업종합센터, 예비·재기창업자 지원한다

'창업 사업화 자금 지원' 상반기 대상자 모집…50명 선정 (재)장애인기업종합지원센터가 초기 창업자금을 지원하는 '창업 사업화 자금 지원사업' 상반기 대상자를 모집한다. 14일 장애인기업종합지원센터에 따르면 이는 장애인 예비창업자 및 재기창업자(업종전환희망자)를 대상으로 오는 3월12일까지 모집한다. 상반기에는 50명을 지원한다. 해당 사업은 ▲매장 인테리어 및 리모델링 ▲브랜드 개발 ▲마케팅·홍보 ▲기자재 구입 ▲폐업지원 비용을 최대 2000만원 한도로 지원한다. 지난해의 경우 11억원의 예산으로 총 60명의 장애인 창업자(예비창업자 54명, 재기창업자 6명)를 양성했다. 특히 전년도 수혜자 중 재아뷰티앤컬리는 특화교육 우수 수료생으로 패스트트랙을 통해 지원받아 외부 인테리어 및 집기 구입(2000만원)을 끝내고, 같은 해 7월 프리미엄 피부숍을 컨셉으로 창업한 이후 월 평균 800만원 가량의 매출을 꾸준히 달성하는 등 안착했다. 올해엔 재기창업자에 대한 참여 기회를 넓히고 배리어프리 키오스크 설치 비용을 지원 항목에 신설하는 등 장애인의 재기창업 활성화와 사업 편의성 확대를 중점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박마루 이사장은 "종합지원센터는 장애인차별금지법 시행령에 따른 배리어프리(Barrier-Free) 키오스크 의무화를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설치 비용을 지원, 장애인과 고령자 등의 정보접근성 확대에 동참하겠다"고 말했다. 참가 신청은 우편이나 방문, 온라인(전자우편)으로 가능하다. 제출 서류 등 자세한 내용은 센터 누리집 알림마당 사업공고 게시판에서 확인할 수 있다.

2025-02-14 05:20:37 김승호 기자
기사사진
KCC글라스, 서초구와 자립준비청년 정착 돕는다

'Dream홈씨씨' 사업 추진위한 업무협약 체결 인테리어 전문 브랜드 '홈씨씨 인테리어'를 운영하는 KCC글라스가 서초구와 협력해 자립준비청년 등의 안정적인 사회 정착을 돕기위한 지원을 이어간다. 14일 KCC글라스에 따르면 서울 서초구, 방배아트유스센터, 반포종합사회복지관과 함께 2025년 'Dream홈씨씨' 사업 추진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Dream홈씨씨 사업은 KCC글라스가 2023년부터 운영해 온 사회공헌 프로그램으로 서초구 내 자립준비청년과 복지 사각지대에 놓인 청년의 자립을 지원한다. 이 사업은 학업 및 자격증 취득을 돕는 교육 프로그램인 '케어(Care) 프로젝트'와 창업 컨설팅 등을 통해 경제적 독립을 지원하는 교육 프로그램인 '크리에이티브(Creative) 프로젝트'로 구성된다. 또한 금전적 위기 상황에 처해 지원대상으로 선정된 청년에게는 청년지원금을 통한 실질적 도움도 제공한다. 올해는 기존 교육 프로그램에 심화 과정을 추가로 운영하고 서초구 내 기업과의 연계 활동을 도입해 교육 과정이 실제 일자리로 연결될 수 있도록 지원을 강화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참여자 간의 교류 활동도 늘려 이들이 유대감을 형성하고 심리적 안정감을 높이는 데 주력할 방침이다. KCC글라스 관계자는 "어려움에 처한 청년들이 꿈과 희망을 잃지 않고 건강한 사회 구성원으로 성장하는 데 도움이 되기위해 서초구와 함께 Dream홈씨씨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며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실효성 있는 지원체계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지원을 이어 나가겠다"고 밝혔다.

2025-02-14 04:20:54 김승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