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석대성
기사사진
다국적기업, 관세포탈 5년간 9500억원

다국적 기업 관세포탈액이 최근 5년간 9500억원에 달한 것으로 드러났다. 13일 박명재 자유한국당 의원이 관세청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4년부터 지난해 말까지 관세조사로 추징한 다국적 기업 세금은 총 9500억원이다. 포탈 기업은 총 672곳으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관세조사를 받은 후 세금을 낸 기업은 총 1772곳으로, 추징액은 2조877억원이다. 관세포탈 전체 기업 중 38%가 다국적 기업인 셈이다. 추징액도 전체 중 46%에 해당한다. 국내 기업보다 다국적 기업 탈세 규모가 크다는 증거다. 일례로 다국적 기업 A사는 최근 맥주를 수입하면서 적정가격보다 수입가격을 낮게 신고해 수입 원가를 인위적으로 조작한 혐의로 관세청 조사를 받았다. 다국적 기업은 주로 본사와 해외지사 간 제품·용역 등에 적용한 이전가격을 조작하는 방식으로 세금을 탈루한 것으로 드러났다. 다국적 기업 추징액이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14년 56% ▲2015년 55% ▲2016년 51% ▲2017년 50% ▲2018년 19% 수준이다. 50%대를 유지하다가 지난해 급격히 감소한 후 다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박 의원은 "다국적 기업의 과세자료 미제출 시 신고가격을 부인할 수 있도록 개정한 관세법을 엄격히 적용하고, 과세가격 사전심사제도(ACVA)를 활용해 자발적 신고를 유도해야 한다"고 말했다.

2019-10-13 07:00:00 석대성 기자
기사사진
학자금 대출 의무상환 체납, 연간 1.7만명…206억원 돌파

취업 후 상환 학자금대출 의무상환 체납자가 연간 1만7000명, 체납액은 206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더불어민주당 유승희 의원실이 국세청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취업 후 학자금 대출' 제도 미상환율은 9.7%다. '취업 후 상환 학자금 대출(ICL)'은 일정 소득이 발생할 때까지 상환이 유예되는 소득연계방식의 학자금대출로, 2010년 도입되어 올해 10년차를 맞은 제도다. 취업 후 일정기준 이상 소득이 발생하면 기준소득 초과분의 20%를 국세청을 통해 원천징수하게 되는데, 2019년 귀속 상환기준소득은 총급여 2080만원에 해당하는 1243만원(근로소득공제 또는 필요경비 등 공제 후 금액)이다. 이번 통계는 경제활동을 하는 채무자 수가 늘고 있고, 이에 따라 의무상환 대상자와 체납자도 늘고 있다는 것이라고 유 의원실은 해석했다. 유 의원실은 체납이 발생하는 주요 요인은 상환기준소득이 너무 낮다는 점과, 전년도 소득을 기준으로 의무상환이 시작되기 때문에 청년이 갑작스럽게 실직·폐업 등으로 소득이 단절된 경우 상환에 어려움을 겪게 된다는 점 등을 꼽았다. 유승희 의원은 "청년실업률이 7.2%로 여전히 높고, 청년 창업 지속률이 약 23.4%밖에 되지 않는 등 청년들의 취업이나 창업이 불안정한 상황에서 현재와 같은 의무상환 방식을 지속하면, 청년체납자를 양산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2018년도 기준 취업 후 학자금 대출 이자율은 2.2%이다. 의무상환이 체납됐을 경우에는 첫 달 3%, 이후 5개월 동안은 1.2%씩 6%로 총 9%까지 연체가산금이 붙는다. 유 의원은 ""중은행 예금 금리도 채 2%가 되지 않는 상황에서 학자금대출 이자율과 연체가산금 비율이 너무 높다"며 "학자금 대출 금리를 낮추거나 소득구간별로 차등 적용하는 방안과 실직이나 폐업을 했을 경우 상환부담을 줄일 수 있는 방안을 서둘러 마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2019-10-12 12:47:56 석대성 기자
기사사진
서울 전세가 3억원 이하 아파트, 거래 5년새 75% 줄어

서울 시내 전세가격 3억원 이하 아파트가 5년 사이 4분의 1 수준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더불어민주당 박홍근 의원실이 2014년 이후 실거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서울 중소형 아파트(60~85㎡) 중 전세가가 3억원 이하로 거래된 가구는 총 8243가구다. 2014년 2만9608가구가 거래된 것을 감안하면 2만1365가구나 줄어든 것이다. 지역별로 전세가 3억원 이하 아파트가 가장 많이 감소한 곳은 강서구다. 강서구는 2014년 2626가구에서 지난해 608가구로 2018가구 감소했다. 거래량이 -76.8%다. 이어 노원구가 같은 기간 2764가구에서 954가구로 1810가구 줄었다. 강동구는 이 기간 1838가구에서 지난해 251가구로 86.3%나 줄었다. 강서구의 경우 매매가격이 빠르게 상승하면서 전세가도 같이 상승했다는 분석이다. 전세에서 월세로 전환하는 가구가 많아지면서 전세 3억원 이하 거래가 대폭 감소했고, 노원의 경우 강남의 전세가를 감당하기 힘든 수요가 유입, 강동구는 재건축 이주 수요로 전세가가 상승한 것으로 풀이된다. 박 의원은 "2014년 이후 빠르게 오르던 전세가가 2017년부터 주춤하고 있다"면서도 "이미 높아진 가격으로 선택지가 좁아졌다"고 설명했다. 박 의원은 이어 "세입자로 지낼 수 밖에 없는 서민이 양질의 주거를 누릴 수 있는 공공주택을 차질 없이 공급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2011년과 2012년 거래가 각 3건에 불과했던 서울의 9억원 이상 전세 아파트는 2014년 122가구에서 지난해 1580가구로 늘었다. 12배나 증가한 수치다. 지역구별로 2014년 서초구와 강남구에서만 나타나던 거래는 2017년 잠실엘스와 트리마제 등의 입주로 송파구와 성동구에서도 나타났다. 하지만 국세청의 고액전세입자 세무조사는 2014년 50건에서 지난해 85건으로 1.7배 늘어나는 수준에 그쳤다. 박 의원은 "고액 전세가 빠르게 늘고 있지만, 고액전세입자 조사는 전년보다 줄었다"며 "특정 금액을 넘어가는 고액 전세에 대해선 거래 신고를 의무화하고 매매처럼 자금조달계획서를 제출하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2019-10-12 12:21:14 석대성 기자
기사사진
강남 아파트 4채 중 1채, 지방 현금부자가 사들여

서울 강남권에서 거래되는 아파트 4채 중 1채는 지방 현금부자가 사들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민경욱 자유한국당 의원이 국토교통부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1~8월 강남구에서 거래된 아파트 2252채 중 서울 외 거주자가 매입한 곳은 555채다. 전체 거래 중 24.6%에 해당한다. 지방 거주자의 강남구 아파트 매입 비율은 2017년 22.6%(7357채 중 1667채)에서 2018년 24.3%(4835채 중 1176채)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서초구도 서울 외 거주자의 아파트 매매 비중이 2017년 18.4%(5370채 중 990채)에서 지난해 19%(3891채 중 740채), 올해 20.7%(1440채 중 299채)로 증가했다. 강동구도 같은 기간 22.1%(6291채 중 1396채), 24.4%(4446채 중 1087채), 24.6%(1470채 중 363채)로 증가했다. 송파구는 2017년 21.7%(8043채 중 1750채)에서 지난해 25.7%(5904채 중 1522채)로 올랐지만, 올해는 23.1%(2540채 중 589채)로 소폭 하락했다. 민 의원은 "민간택지 분양가상한제 시행 등 각종 공급 규제로 서울 집값이 계속 오르면 지방 투자자의 강남권 행렬을 부추길 수 있다"며 "신도시 보상금이 풀리면 지방의 더 많은 현금부자가 서울 아파트를 고가에 매입해 집값이 상승할 우려가 있는 만큼 공급 확대 등 부동산 정책의 변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2019-10-12 06:00:00 석대성 기자
안 찾아간 공공임대 보증금, 최근 5년간 96억원

한국토지주택공사(LH) 공공임대 임차인이 사망했지만 상속하거나 반환하지 않은 임대보증금이 최근 5년간 96억원을 넘은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김상훈 자유한국당 의원이 발표한 LH 자료 등에 따르면 2015년부터 올해 7월 기준 공공임대에서 거주 중 임차인이 사망한 3만399가구 중 3479가구의 임대보증금 96억6289만원이 미반환 되거나 공탁 처리됐다. 건당 278만원 수준이다. 상속 불명 보증금 규모는 2015년 457건, 10억 8698만원에서 2018년 966건, 28억6520만원으로 증가했다. 건수로는 2배, 금액으로는 3배가량 늘어난 수치다. 상속 불명 보증금이 가장 많이 발생한 공공주택은 영구임대다. 2015년 이후 1만3877건의 임차인 사망 세대 중 19.6%에 해당하는 2718가구의 임대 보증금이 제때 반환되지 못했다. 최장기 건은 2011년 1월부터 현재까지 처리가 안 된 김천 영구임대 보증금 108만원이다. 최고액 미반환 보증금은 지난해 10월 경기 호매실 공공임대의 7272만원으로 드러났다. 상속이 적기에 이뤄지지 않거나, 장기간 지연되는 이유는 대부분 공동 상속인 간 합의가 원만하게 이뤄지지 않거나, 상속자 미상 또는 행방불명에 의한 것으로 김 의원실은 짐작했다. 김 의원은 "상대적으로 낮은 공공임대 보증금임에도 상속 불명 규모가 거의 100억원 육박하고 있다는 것은 매우 이례적"이라며 "보증금 반환 및 공탁처리를 위한 LH 행정비용 부담이 적지 않은 만큼, 고령 입주자에 한해 생전에 상속 처리 여부를 결정하실 수 있는 제도를 고안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2019-10-11 14:33:36 석대성 기자
대부업체 여전히 증가세…"당국, 위법행위 등 주시해야"

대부업 이용자와 대출잔액은 줄었지만, 업체는 여전히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지난해 법인세 신고 대부업체는 총 1423개로 5년 사이 81% 증가했다. 10일 김두관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국세청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법인세 신고 대부업체는 2013년 788개에서 2016년 1034개로 늘어난 뒤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신고 업체 수 뿐 아니라 매출과 납부해야 할 법인세도 증가했다. 세액이 점차 증가했다는 것은 흑자가 많아졌다는 것을 방증한다. 지난해 법인세를 신고한 대부업체의 총 매출액은 3조5564억원이다. 2013년 2조6509억원에서 34.2%나 증가했다. 법인세 총세액도 2013년 1298억원에서 지난해 2201억원으로 69.6% 늘었다. 현재 법정 최고금리 인하와 저축은행의 대부업체 인수, 대출 심사 강화, 정책 서민 금융 확대 등으로 대부업 대출 잔액과 이용자는 줄고 있다. 금융위원회 등이 발표한 '2018년 하반기 대부업 실태조사 결과'를 보면 대출 잔액은 지난해 말 17조3487억원이다. 같은 해 6월 말 17조4470억원보다 983억원 줄었다. 대출 잔액이 줄어든 것은 2014년 말 이후 처음이다. 대부업체 이용자는 지난해 말 221만3000명으로 집계됐다. 같은 해 6월 말 236만7000명보다 6.5% 줄어 3년째 감소세다. 하지만 대부업체 수와 매출액, 세액은 계속 증가해 선뜻 이해하기 어렵다는 게 김 의원실 설명이다. 김 의원은 "대부업 자금 조달 금리가 여전히 낮고, 일부 대부업계에서 거래 매출을 양성화해 업체와 매출액 등이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며 "대부업체 이용 국민은 대다수 생계비를 목적으로 돈을 빌리기 때문에 국세청은 대부업체 위법 행위를 주시해야 한다"고 말했다.

2019-10-10 14:53:39 석대성 기자
산단公 직원 2명, 108억원 횡령…미수금 103억원 소멸시효 코앞

한국산업단지공단 소속 직원 2명이 100억원 넘는 돈을 횡령해 처벌 받았지만, 횡령 미수금의 소멸시효가 내년부터 시작해 자칫 돈을 받지 못할 수도 있는 상황이 벌어졌다. 10일 최인호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산단공단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소속 직원 2명이 횡령한 돈은 총 108억6000만원이다. 지난 2006년 5월 동남본부 행정지원팀 회계를 담당한 박모씨는 2008년 3월까지 총 38차례에 걸쳐 창원클러스터 운영자금 5억4000만원을 횡령했다. 박씨는 같은 해 9월 적발돼 파면되고 법정 구속됐다. 2008년 5월에는 본사 행정지원실 회계 담당 배모씨가 같은 해 12월까지 산단 보상비를 차명계좌 70개를 개설해 빼돌리는 방식으로 103억2000만원을 횡령했다. 이듬해 7월 적발돼 징역 6년을 선고 받았다. 횡령한 108억원 가운데 회수한 돈은 5억4000만원에 불과하다. 나머지 103억원은 회수하지 못한 실정이다. 횡령 미수금 103억원의 소멸시효는 내년부터 시작한다. 박씨 횡령 사건에서 회수하지 못한 미수금 1억5000만원은 채권시효가 내년 5월 4일 만료한다. 배씨가 횡령한 돈 중 돌려받지 못한 101억6000만원의 소멸시효는 이듬해인 2021년 6월 22일이다. 산단공단은 2012년부터 지난해까지 네 차례 수원지방법원 안산지원을 통해 두 사람의 재산을 조회했지만, 재산이 없다는 답변만 받은 것으로 드러났다. 게다가 박씨와 배씨의 소재지 파악도 여의치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최 의원은 "공공기관 재정에 막대한 피해를 입힌 횡령 사건의 소멸시효가 조용히 지나가서는 안될 것"이라며 "회수 가능성이 낮다고 해도 산단공단은 공개적이고 국민이 납득할 수 있는 방식으로 처리해야 한다"고 말했다.

2019-10-10 14:39:31 석대성 기자
공기관 채용비리 4명 퇴출…피해자 57명 중 채용은 21명

정부가 지난 2월 공공기관 채용비리 전수조사 결과 발표 이후 합격자 4명을 퇴출하고, 피해자 21명을 채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앞서 지난해 11월부터 3개월간 1205개 기관을 대상으로 신규 채용과 정규직 전환 관련 실태를 점검해 총 182건의 채용비리를 적발했다. 이 중 36건은 수사 의뢰했고, 부정 합격자 퇴출과 피해자 구제를 약속한 바 있다. 10일 김경협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10일 국민권익위원회와 해당 공공기관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부정 합격자로 지정한 13명 중 4명을 퇴출하고, 9명 중 6명을 수사 중이다. 3명은 무혐의 처분을 받았다. 정부 합동 조사에서 최종 확인한 57명의 구제 대상 피해자 중 올해 7월 기준 채용을 결정한 사람은 21명이다. 구제 대상 전체 중 36.8%에 달하는 수치다. 응시 기회를 받은 사람은 12명으로 전체 21.1%다. 피해자 중 35.1%인 20명은 응시하지 않기로 했다. 나머지 4명은 관련 사안에 대한 수사가 진행 중이다. 피해 구체 조치를 받고도 응시하지 않기로 결정한 피해자는 멀게는 2014년부터 발생한 채용비리 사안까지를 포함한 구제 조치라, 실효성이 없는 경우가 적지 않았던 것으로 분석됐다. 김 의원은 "채용비리 원천 차단과 함께 매년 전체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채용 관련 피해자가 있는지 조사해 즉각 구제하는 실효성 있는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2019-10-10 14:27:23 석대성 기자
국세청, 자금출처 조사 60% 늘려…대기업·재산가 표적 조사 의혹

국세청이 지난해 거액 재산 취득자의 자금 출처 조사를 전년 대비 60% 늘린 것으로 확인됐다. 국세청은 일상화한 변칙 증여 검증을 강화했기 때문이라는 입장이지만, 일각에서는 대기업·재산가 표적 조사라는 지적도 나온다. 10일 박명재 자유한국당 의원이 국세청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국세청의 자금 출처 조사는 총 2295건으로 전년보다 60.2% 늘었다. 자금 출처 조사는 재산을 취득했을 때 들어간 자금이 당사자가 스스로 조달한 것이라고 입증하지 못할 경우 증여세 탈루가 있다고 보고 시행하는 조사다. 세금 추징이 목적이다. 가령 부모가 자녀에게 거액의 현금을 준 뒤 자녀 명의로 아파트를 구매하도록 하는 등 '부의 대물림'을 막기 위해 도입했다. 자금 출처 조사는 2014년 1985건에서 2015년 1839건, 2016년 1601건, 2017년 1433건으로 감세소를 보였다. 하지만 지난해 갑자기 2000건대로 급격히 뛴 후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당초 국세청은 우편 등으로 보유자가 자금 출처를 밝히는 서면 확인을 한 뒤 본 세무조사 성격의 실지 조사를 하는 방식을 고수했다. 하지만 서면 확인이 유사 세무 조사라는 지적이 나왔고, 지난해 3월 폐지했다. 국세청은 지난해 자금 출처 조사가 급증한 이유는 국회 등의 지적에 따라 검증을 확대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조사 수는 늘었지만, 증여세 추징세액은 줄었다. 2014년 4158억원이던 추징세액은 2015년 4165억원, 2016년 4481억원, 2017년 4714억원으로 꾸준히 증가했다. 하지만 지난해에는 2585억원으로 절반 가까이 떨어졌다. 야당에서는 최근 정부가 대기업과 대재산가 위주로 세무 조사를 늘린 영향이란 지적이 나온다. 허수인 서면 확인을 제외하고, 실지 조사 건수만 연도별 증감을 비교해야 실제 세무조사 빈도를 알 수 있다는 게 박 의원실 지적이다. 실제 지난해 실지 조사는 2098건으로 전년 대비 241.7% 증가했다. 2014년 488건, 2015년 566건, 2016년 591건, 2017년 614건과 비교하면 이례적으로 많은 수치다. 박 의원은 "지난해 대기업 사주일가와 대재산가의 대한 세무조사에 박차를 가하는 등 반기업 정책으로 일관하는 정부의 기조가 자금 출처 조사에도 녹아 들었다"며 "조국 법무부 장관 일가의 빌라나 아파트 매입 자금 출처와 증여세 탈루 의혹부터 조사해야 한다"고 말했다.

2019-10-10 14:17:20 석대성 기자
기사사진
감사원, 예산 30% 연말 무더기 집행

국가기관 예산 집행을 감독하는 감사원이 예산 30%를 연말에 무더기로 집행한 것으로 드러났다. 10일 채이배 바른미래당 의원이 발표한 최근 5년간 감사원 자산취득비 집행 내역 자료에 따르면 감사원은 2016년 12월 1년 예산의 36%를, 2017년 4분기에는 1년 예산의 60%를 몰아 썼다. 특히 올해 7월까지 집행한 예산은 전체 중 13%에 불과했다. 올해도 연말 무더기 예산집행이 이뤄질 것이란 전망이다. 감사원은 자산취득비 대부분을 전산운영 정보화사업에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 내역으로는 컴퓨터 같은 사무기기와 소프트웨어 구입에 주로 사용했다. 2015년부터 3년간 12월에 집행한 총액 14억원 중 13억원을 12월 20일 이후 몰아 썼다. 현행 기획재정부 '예산 및 기금운용계획 집행지침'은 각 중앙 관서가 예산을 사용할 때는 연간 집행계획을 수립해 연말에 집행이 집중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명시한다. 채 의원은 "집행률이 낮으면 내년 예산이 삭감될 수 있기 때문에 연말 부랴부랴 남은 예산을 사용한 것 아니냐"고 의문을 제기했다. 채 의원은 "감사원이 지침을 위반하는 것은 전형적인 내로남불의 행태"라며 "다른 기관을 감사하기 전에 감사원 먼저 모범을 보여야 한다"고 말했다.

2019-10-10 13:46:00 석대성 기자
국제 무역사기, 4년간 358건 발생…피해액만 255억원

국제 무역 사기가 최근 4년간 358건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피해금액만 255억원으로 추정된다. 10일 이훈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5년부터 2017년 8월까지 무역 사기는 총 139건, 피해액은 87억원이다. 2017년 9월부터 지난해 8월까지는 137건, 피해액 80억원에 달했다. 또 지난해 9월부터 올해 8월까지는 82건의 무역 사기가 있었고, 피애액은 89억원이다. 지역별로 ▲유럽 85건 ▲동남아시아 71건 ▲아프리카 48건 ▲중국 52건 순으로 이어졌다. 최근에는 일본에서도 3건이 발생했다. 유형별로는 ▲이메일 해킹 99건(28%) ▲서류 위조 55건(15%) ▲금품갈취 43건(12%) ▲결제 사기 41건(11%) ▲선적불량 40건(11%) ▲불법체류 17건(5%) 등으로 이어졌다. 무역 사기 피해 금액 규모는 소송이 끝난 후 확인 가능하다. 당국이 파악하는 피해 금액은 기업이 제시하는 주관적 피해 금액으로, 객관적 금액 파악은 한계가 있다. 결국 정확한 피해 금액을 산출하려면 소송이 끝나야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시의성은 떨어질 수 밖에 없다. 이 의원은 "수출 기업에게 해외 무역 사기로 피해를 입히는 기업은 단순히 기업 간의 문제 뿐 아니라 국가 간의 신뢰의 문제로 인식될 수 있다"며 "당국의 충분한 정보 제공으로 안전망을 확보하고, 정부 간 업무 협조 체계 구축 등으로 사후 대책 방안도 강구해야 한다"고 말했다.

2019-10-10 13:35:29 석대성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