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트럼프, 4일부터 캐나다와 멕시코에 25% 中엔 10% 관세 부과 '이유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캐나다와 멕시코 그리고 중국에 관세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에 1일(현지 시각) 서명하면서 오는 4일 오전 0시 1분부터 본격 적용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직후 상무부 등에 기존에 맺은 무역협정을 재검토하고, 불공정 무역과 무역 불균형 해소를 위한 방안을 마련하라고 지시한 바 있다. 또한 백악관 기자들과의 만남에서 반도체, 의약품, 철강, 알루미늄, 구리, 석유, 가스 수입품에 관세를 부과할 수 있다고 밝히기도 해 관세 전쟁의 서막을 알리기도 했다. 트럼프의 첫 관세 부과 대상국으로 캐나다와 멕시코에서 오는 모든 수입품에 각각 25%, 중국산 제품에 10%의 관세를 부과하는 3건의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이번 조치의 이유로 국경 통제 강화를 주요 의제로 내세워 대선에서 승리한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전부터 국경을 맞댄 캐나다와 멕시코를 압박했다. 불법이민과 펜타닐 등 마약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충분한 노력을 기울이지 않으면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것이었다. 펜타닐 원료가 생산되는 중국 역시 타깃이었다. 취임 후에는 2월 1일을 마감시한으로 제시하며 압박 수위를 강화했는데, 만족할만한 협상이 이뤄지지 않자 실제로 관세를 부과했다. 캐나다, 멕시코, 중국의 전향적인 자세를 끌어내기 위해 강수를 둔 모습이다. 이번 관세부과로 미국내 경제에도 불가피한 타격을 받수 있다.미국내 물가 상승과 경제 성장 둔화 특히 에너지, 자동차, 목재, 농업 부문에 큰 혼란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 이에 트럼프는 캐나다와 멕시코로부터 수입하는 석유에 대해선 관세 부과 예외나 관세를 10%정도 조정할지를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유럽연합(EU)도 다음 타킷으로 보고 있다. 지난달 23일 2025 세계경제포럼(다보스포럼) 화상으로 참석한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의 입장에서 EU는 우리를 매우, 매우 불공평하고 나쁘게 대우한다"며 "우리는 EU와 (무역에서) 수천억달러 규모의 적자를 보고있으며, 누구도 행복하지 않다. 우리는 그에 대해 무엇인가 할 것이다"고 말했다. 전날 백악관에서도 EU가 미국을 "끔찍하게 대했다"며 추가 관세 도입을 시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