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AI·연결성' 더한 폴더블…7월 'Z 시리즈' 공개
삼성전자가 오는 7월 공개할 차세대 폴더블 스마트폰 '갤럭시Z' 시리즈의 경쟁력을 '하드웨어'성능을 넘어 기기간 연결성과 사용자 경험을 아우르는 '갤럭시 생태계'로 확장한다. 23일 전자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오는 5월부터 경북 구미와 베트남 공장에서 차세대 폴더블 스마트폰 양산에 돌입한다. 초도 물량은 폴드 기준 약 16만 대 규모로 알려졌으며, 올해 7월 '갤럭시 언팩' 행사에서 새 폴더블폰을 선보일 것으로 보인다. 이번 신제품은 디자인은 더 얇고 가벼워지면서도 성능은 한층 높아졌다. 갤럭시Z 폴드7은 8인치 내부 디스플레이와 6.5인치 외부 디스플레이에 200MP 메인 카메라 등이 탑재될 것으로 예상된다. 갤럭시Z 플립7 역시 사용자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커버 디스플레이를 기존 3.4인치에서 4인치로 키우고, 4300mAh급 대용량 배터리를 탑재할 전망이다. 두 제품 모두 더 얇아진 바디와 힌지 내구성 향상, 방수·방진 성능 강화 등이 적용돼 완성도를 높였다. 하드웨어 못지않게 주목되는 부분은 '소프트웨어 전략'이다. 삼성은 올해 3~4분기 중 인공지능(AI) 기능을 대거 탑재한 스마트폰 운영체제 '원 UI 8.0'을 공개할 예정이다. 지난 7일 '원 UI 7.0'이 배포된 지 약 3개월 만에 공개하는 것으로, 이례적으로 빠른 후속 공개다. 업계에서는 "폴더블 출시 일정에 맞춘 전략적 배포"라는 해석이 나온다. 원 UI 8.0은 AI 기능이 대거 추가된 것이 특징이다. 갤럭시S25 시리즈에만 제공되던 AI 기반 '나우 브리프' 기능이 폴더블에도 확대 적용된다. 나우 브리프는 사용자의 스마트폰 패턴을 분석해 날씨, 일정, 뉴스 등 맞춤형 정보를 자동으로 요약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폴더블 전용 기능인 '멀티태스킹'과 '플렉스 모드'도 대폭 강화된다. 예를 들어 폴드7에서는 8인치 대화면을 나눠 여러 앱을 동시에 띄우고, 플립7은 반으로 접은 상태에서 상·하단에 다른 앱을 배치하는 등 폴더블 특화 사용자 경험(UX)을 구현한다. 갤럭시 기기 간 연동성도 크게 개선된다. 파일 전송 시스템 '퀵쉐어'는 새로 추가된 '수신' 탭을 통해 사용자가 별도 설정 없이 '수신' 탭만 누르면 파일을 주고받을 수 있다. 또 이어폰 페어링 방식도 개편돼 갤럭시 워치·버즈·탭 등 삼성 기기와의 연결 속도가 빨라진다 업계 전문가는 "폴더블폰 시장이 성숙기에 접어들면서 단순 하드웨어 경쟁만으로는 차별화가 어려워졌다"며 "폴더블 전용 소프트웨어로 사용자 경험을 강화하는 것은 경쟁사와의 격차를 유지하기 위한 좋은 전략"이라고 분석했다. 삼성전자는 워치, 버즈, 태블릿 등 갤럭시 제품을 하나의 생태계로 연결하고 있다. 여러 기기를 넘나들며 음악·사진·문서 등을 자유롭게 전송하고, 건강 데이터·알림 등도 실시간 연동된다. 예를 들어 워치로 측정한 건강 데이터를 폴더블에서 확인하고, 태블릿에서 이어서 분석하는 방식이다. 음악, 사진, 문서 등도 기기 간 실시간 공유가 가능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