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선박 피하자"...K-조선, 美 對중 조선압박 정책 수혜 가시화
미국 무역대표부(USTR)가 중국산 선박에 항만 수수료를 부과하겠다는 방안을 발표한 지 두 달도 채 지나지 않아 글로벌 선주들의 선박 발주 방향에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미국의 중국 조선업 봉쇄기조에 따라 중국산 선박을 기피하려는 움직임이 가시화되면서 국내 조선사들이 대체 수혜처로 부각되는 모습이다. 8일 업계에 따르면 HD현대는 그리스 해운사와 2조 3000억원 규모의 수주를 논의하고 있다. 현재 건조의향서(LOI)를 체결한 단계다. 업계에서는 미국 정부의 대중 규제가 본격화되면서 글로벌 선주들이 중국을 대신해 한국 조선소로 발주처를 바꾸고 있다는 해석을 내놓고 있다. 이에 우리 기업이 수주 확대 등 반사이익을 얻을 것이란 분석이 따른다. 그리스 선주 에반겔로스 마리나키스의 캐피탈 마리타임은 HD현대삼호, HD현대미포와 20척 규모의 수주 계약을 논의 중이다. HD현대삼호에는 8800TEU(1TEU= 20피트 컨테이너1개)급 LNG이중연료 컨테이너 6척을, HD현대미포에 2800TEU급 컨테이너선 8척, 1800TEU급 6척을 발주할 가능성이 클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 3월 31일 한화오션이 수주한 초대형 유조선(VLCC) 2척 또한 에반겔로스 마리나키스 발주였다. 미국과 거래가 많은 기업 입장에선 중국산 선박을 운용하는 것 자체가 리스크로 작용할 수 있는 만큼 이를 의식해 중국 조선사를 배제하고자 하는 움직임으로 풀이된다. 미국 정부는 지난 2월 중국 건조 선박에 대해 최대 150만달러(약22억원) 항만 수수료를 부과하려는 계획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중국과의 무역 불균형을 해소하고 미국 조선업을 부활시키겠다는 취지에서다. 뿐만 아니라 중국 기업이 운영하는 선박에는 최대 100만달러(약14억원), 중국 건조 선박을 보유한 선사의 모든 선박에는 50만~100만달러(약 7억~14억원) 수수료를 부과하는 방안도 함께 제시했다. 앞서 미국의 중국 선박에 대한 입항 수수료 부과 정책 발표 이후 미국 기업이 중국 선박 발주를 취소하는 첫 사례도 나왔다. 미국 에너지 기업 엑슨모빌은 중국 조선소에서 건조 예정이었던 액화천연가스(LNG)벙커링선 신규 계약을 보류한 바 있다. 엑슨모빌은 지난 2월 중국 조선소를 통해 2만㎥급 LNG벙커링선 2척을 건조할 슬롯을 확보하며 공식 입찰을 진행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엑슨모빌은 입찰을 끝내 보류했다. 업계에서는 엑슨모빌이 발주를 보류한 선박이 한국 조선소에서도 충분히 건조할 수 있는 선종인 만큼 국내 조선사에 물량이 넘어올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 섞인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특히 지난달에는 한국이 중국보다 수주량에서 우위를 점하며 강세를 보이기도 했다. 영국 조선해운시황 전문기관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지난 3월 전 세계 선박 수주량은 150만CGT(58척)으로 집계됐다. 한국이 82만CGT(17척, 55%), 중국은 52만CGT(31척, 35%)를 수주했다. 단순히 척수만 보면 중국이 많아 보이지만 선박의 크기와 부가가치를 반영한 CGT 기준으로는 한국이 앞서고 있는 모습이다. 업계 관계자는 "HD현대의 그리스 해운사 수주 건은 아직 계약이 최종 확정된 단계는 아니며 발주 배경 역시 조선사 내부에서도 명확히 파악된 상황은 아니다"면서도 "다만 미국의 대중 정책 변화 이후 글로벌 선주들의 발주 흐름이 달라지고 있다는 점에 업계는 긍정적으로 바라보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