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차현정
기사사진
[마감시황] 기관 매도세에 코스피 사흘째 하락...2580.71 마감

2차전지주 급락에 증시가 약세를 보이면서 코스피와 코스닥지수가 동반 하락했다. 코스피 지수는 전일보다 22.09포인트(0.85%)내린 2580.71에 마침표를 찍으며 사흘째 하락 마감했다. 이날 코스닥도 2% 넘게 폭락, 900선 사수에 실패했다. 7일 코스피가 4일 연속 하락하며 장을 마감했다. 개인과 외국인이 각각 285억원, 2820억원 사들이고, 기관이 홀로 3296억원어치 팔아치웠다. 업종별로는 서비스업(1.97%), 통신업(2.09%), 종이·목재(1.74%) 등이 상승하고, 철강 및 금속(-3.99%), 화학(-2.17%) 등이 약세를 보였다. 코스피 시총 상위 10개 종목 중에서는 NAVER(4.92), SK하이닉스(1.50), 삼성전자우(0.53) 등이 상승했고, 2차전지 관련주들이 약세를 보이면서 포스코홀딩스(-5.56%), LG에너지솔루션(-4.81%), LG화학(-3.30%) 등이 하락했다. 코스닥 지수도 전장 대비 20.21포인트(2.20%) 하락한 898.22에 거래를 마쳤다. 개인이 홀로 3335억원을 사들이고,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1997억원, 1069억원을 팔아치웠다. 업종별로는 인터넷(0.89%), 디지털(0.37%), 컴퓨터서비스(0.60%)등이 올랐고, 방송서비스(-0.96%), 소프트웨어(-0.52), 정보기기(-0.47%)등이 떨어졌다. 시가총액 상위 10개 종목에서는 에코프로비엠(-10.64%), 에코프로(-9.20%), 엘앤에프(-7.26%) 등 2차전지주가 급락했다. 반면, JYP엔터테인먼트(0.40%), 에스엠(0.94%) 등 엔터주는 소폭 상승했다. 김석환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2차전지주 급락에 코스닥이 2%대 하락세를 보였다"며 "미국과 중국의 물가지표 발표, 에코프로의 MSCI 편입 여부 결정 등 경계감이 반영되며 장중 변동성이 확대됐다"고 분석했다. 한편,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보다 3.60원 내린 1306.20원에 마감했다.

2023-08-07 17:23:14 차현정 기자
기사사진
자동차 수요 상승에 따른 수혜株는? '에코플라스틱' 주목

독립리서치 리서치알음은 예상보다 강한 자동차 수요 증가에 따라 현대자동차그룹과 함께 미국 동반 진출에 성공한 핵심 부품 주요 기업 '에코플라스틱'이 수혜를 입을 것이라 분석했다 김도윤 리서치알음 연구원은 "현대차그룹을 고객사로 둔 국내 자동차 부품 기업 에코플라스틱의 2분기 호실적 발표가 예상된다"며 "예상보다 강한 신차 수요 등을 감안할 때 올해 2분기 피크아웃에 대한 우려 역시 점차 완화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진단했다. 자동차 수요가 늘어남에 따라 현대자동차 그룹 2분기 호실적 발표 및 연간 가이던스 상향, 올해 2분기 피크아웃 우려 완화를 기대한다는 설명이다. IFRS(국제회계기준) 연결기준 2023년 동사의 영업실적은 매출액 2조 1351억원, 영업이익 444억원으로 추정했다. 동사는 1984년 설립된 자동차 부품 전문기업으로 아이아, 코모스를 주요 종속 회사로 보유하고 있다. 전기차 경량화를 위한 부품, UAM(도심항공교통)용 유리 대체 플라스틱, 자율주행차 시대에 필요한 다기능 콘솔 등 모빌리티 산업 변화 속 필수품 개발을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이에 가시화 된 성과로 지난해 9월 현대차가 설립할 예정인 미국 조지아주 전기차 전용공장에 플라스틱 범퍼 단독 공급 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에코플라스틱은 향후에도 실적 성장과 더불어 전기차, UAM, PBV 등 모빌리티 기체의 경량화 요구에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주목된다. 주요 제품은 플라스틱 범퍼, 콘솔, 트림류로 구분되며 이는 현대차 내 플라스틱 범퍼 M/S 1위이다. 매출 비중은 지난해 개별 기준 현대차·기아향 80% 이상으로 추정된다. /차현정기자 hyeon@metroseoul.co.kr

2023-08-07 15:37:38 차현정 기자
기사사진
휴젤, 인도네시아서 '보툴렉스 마스터 클래스'··안면부 시술법 선보여

글로벌 토탈 메디컬 에스테틱 전문 기업 휴젤이 인도네시아에서 '보툴렉스 마스터 클래스'를 3일 개최했다. 이날 세미나에서는 휴젤의 보툴리눔 톡신 제제 '보툴렉스'의 특장점을 소개하고 이를 활용한 다양한 시술법을 공유했다. 보툴렉스는 세계 각국 의료 전문가들(HCPs)을 대상으로 국내 시장 점유율 1위이자 50개국 이상에서 허가를 획득했다. 이번 마스터 클래스는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및 수라바야 지역에서 현지 HCPs 22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미용 분야 독소에 관한 모든 것(All about Toxin in Aesthetic Field)'를 주제로 진행됐다. 또 한국과 인도네시아 주요 오피니언 리더(kOL)들이 연자로 함께 참여해 다양하고 깊이 있는 강연으로 많은 호응을 얻었다. 한국 연자로 나선 강진 성형 클리닉 김치수 원장은 ▲제품 선택기준 ▲시술을 위한 해부학적 접근법 ▲부위별 시술 테크닉 등 보툴리눔 톡신에 대한 기초 강연과 더불어 보툴렉스의 우수성에 관해 설명했다. 인도네시아 피부과 전문의 스탠리 세티아완은 현장 시연을 통해 보툴렉스를 활용한 안면부 시술법을 선보였다. 휴젤은 지난해 9월 인도네시아에서 보툴렉스 3개 유닛에 대한 품목 허가를 획득했다. 이후 브랜드 인지도 및 시장 점유율 확대를 위해 다양한 영업과 마케팅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휴젤 관계자는 "인도네시아는 전 세계 4위 인구 대국으로 K-뷰티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 성장 잠재력이 매우 높은 시장이다"며 "한국 대표 보툴리눔 톡신 제제로서 그 우수함을 널리 알려 현지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높여 나갈 것"이라 말했다. /이세경기자 seilee@metroseoul.co.kr

2023-08-03 11:22:13 차현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