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전지원
기사사진
클래시스, 이루다 합병으로 중장기 실적 성장 기대 -유진투자증권

유진투자증권은 2일 클래시스에 대해 코스닥 상장 기업 이루다와 합병을 통한 시너지 및 미국 시장 진출 본격화 등에 따른 중장기 실적 성장에 기대감으로 주가가 상승세를 지속할 것이라 전망했다. 투자의견은 '매수', 목표주가는 6만원으로 제시했다. 박종선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목표주가 산정 근거는 유진투자증권이 추정한 2024년 예상 주당순이익(EPS, 1763원)에 클래시스의 과거 5년간 평균 주가수익률(PER) 26배를 30% 할증한 33.8배를 타겟멀티플(Target Multiple)로 적용한 것"이라며 "30% 할증 이유는 이루다와의 합병 및 미국 진출 구체화 등에 따른 실적 성장 기대감을 반영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클래시스 영업이익은 올해 1173억원에서 내년도에는 1412억원까지 낼 수 있다는 분석이다. 유진투자증권에 따르면 클래시스의 2분기 실적은 매출 598억원으로 추정됐다. 직전 분기 대비 18.7% 상승하면서 분기별 매출액이 성장세를 지속 중이다. 2024년 전체 매출액은 2289억원으로 2023년(1801억원) 대비 약 480억원이 올랐다. 유진투자증권은 클래시스의 제품 포트폴리오 확대 및 글로벌 유통망 최적화를 긍정적으로 바라봤다. 박 연구원은 "클래시스 기존 사업 영역인 고강도 집속초음파(HIFU), 모노폴라RF(MRF) 외에 마이크로니들링(Micro Needle RF)과 다양한 레이저 의료기기로 사업 영역을 확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양사의 기술력을 결합한 복합 기능 플랫폼 장비 등 혁신적 제품 개발을 추진해 업계 내 선도적 입지를 구축할 것으로 예상한다"며 "볼뉴머 및 슈링크의 미국 시장 본격화로 실적 성장 및 높은 수익성을 유지할 것으로 본다"고 전망했다. /전지원기자 jjw13@metroseoul.co.kr

2024-07-02 11:26:37 전지원 기자
기사사진
[마감시황] 코스피, 수출입 최대실적에 2800선 위로...2804.31 마감

한국 수출입 실적이 21개월만에 최대치를 보이며 코스피지수가 2800선까지 올랐다. 1일 코스피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6.49포인트(0.23%) 오른 2804.31에 거래를 마쳤다. 기관이 539억원을 순매수했고, 개인과 외국인이 각각 56억원, 646억원을 순매도했다. 업종별로는 의약품(4.36%), 운수창고(2.24%), 철강금속(1.03%) 등이 올랐고, 음식료업(-3.90%), 보험(-2.83%), 의료정밀(-2.58%) 등이 내렸다. 시가총액 상위 10개 종목 중에서는 자동차주인 현대차(-3.05%)와 기아(-0.54%), 반도체주인 SK하이닉스(-0.42%)를 제외한 총 7개 종목이 상승세를 보였다. 바이오주인 셀트리온(5.62%)과 삼성바이오로직스(4.40%)가 큰 상승세를 보였다. 이외에도 LG에너지솔루션(6.28%), POSCO홀딩스(2.07%), KB금융(1.40%) 등이 올랐다. 상승종목은 381개, 하락종목은 495개, 보합종목은 54개로 집계됐다. 코스닥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6.71포인트(0.80%) 상승한 847.15에 마침표를 찍었다. 기관과 외국인이 각각 1142억원, 131억원을 사들인 반면 개인은 1110억원을 팔아치웠다. 업종별로는 제약(4.18%), 금융(1.49%), 기타제조(1.26%) 등이 상승했고, 음식료·담배(-1.25%), 금속(-1.03%), 건설(-1.01%) 등이 내렸다. 시가총액 상위 10개 종목은 알테오젠(-1.07%), 에이치피에스피(-0.64%), 리노공업(-0.21%)을 제외한 총 7개 종목이 상승했다. 2차전지주인 엔켐(7.33%)과 제약주인 에이치엘비(7.01%), 셀트리온제약(4.95%), 삼천당제약(4.86%)이 크게 올랐다. 이외에도 에코프로비엠(3.01%), 클래시스(2.36%), 에코프로(2.33%) 등이 상승세를 보였다. 상승종목은 862개, 하락종목은 702개, 보합종목은 96개였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한국 수출입 실적이 전년대비 5.1%, 일평균 수출이 12.4% 증가했으며 이는 21개월만에 최대실적"이라며 "긍정적 수출실적에 시장 심리가 강하지 않음에도 2800선까지 올랐다"고 말했다. 한편,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보다 3.5원 오른 1380.2원에 마감했다. /전지원기자 jjw13@metroseoul.co.kr

2024-07-01 17:02:16 전지원 기자
기사사진
[특징주] 현대글로비스, 주주환원 정책에 강세...장중 13%대 급등

현대글로비스가 3750만주 무상증자를 결정했다는 소식에 1일 주가가 장중 13%대를 넘는 등 강세를 보였다. 이날 현대글로비스는 전날보다 13.24% 오른 24만8000원까지 치솟았다가 이후 조정을 받아 오후 2시38분 현재 23만8500원대에서 등락하고 있다. 지난달 28일 발표한 현대글로비스의 주주환원정책 공시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풀이된다. 공시에 따르면 현대글로비스는 3750만주에 대해 1주씩 배정하는 무상증자를 결정했다. 같은 날 현대글로비스는 창사 이래 첫 인베스터데이를 열고 2025년부터 향후 3년간 전년대비 주당 배당 5% 이상 증가, 최소 25% 이상의 배당성향 등 주주 가치 제고 방안도 제시했다. 최소 배당성향으로 잡아도 2027년 주당 배당은 1만2000원으로, 2023년 6300원 대비 증가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증권가는 해당 발표가 주가에 긍정적일 것이라는 전망과 함께 장기 이익 증가의 당위성이나 개연성에 대한 부분은 지속적인 설명이 필요하다는 반응이다. 강성진 KB증권 연구원은 "자산 중심형 구조로의 전환이 낮은 매출 회전율과 높은 이익 변동성을 유발하지 않지 않아야 한다"며 "신규 고객 매출 비중 확대에 따른 수익성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음을 보여줘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강 연구원은 "각 개별기업의 사업 비전 및 주주환원 정책이 그룹차원의 공통된 밑그림을 바탕으로 연결돼야 그 효과와 투자자들의 신뢰를 극대화할 수 있다"며 "현대차그룹 계열사들의 일관된 비전 제시가 지속될 때 시장의 신뢰를 얻어가게 될 것으로 보인다"는 설명이다. 한편 현대글로비스의 신주배정 기준일은 7월 15일, 신주 상장 예정일은 8월 2일이다. /전지원기자 jjw13@metroseoul.co.kr

2024-07-01 15:11:19 전지원 기자
기사사진
[株라큘라 추천종목] 조광페인트, 조선산업 호황 속 실적 상승 기대

독립리서치 리서치알음은 1일 조광페인트에 대해 선박용 도료(페인트) 관계사인 조광요턴의 실적 증가에 따른 대규모 지분법 이익 인식 및 원재료 안정화에 따른 수익성 개선이 예상된다고 전망했다. 주가전망 '긍정적', 적정주가는 1만1500원을 제시했다. 최성환 리서치알음 연구원은 "전방 산업 의존도가 높고 원재료 가격에 영향을 많이 받는 것이 단점일수 있지만, 전방산업이 호황인 상황에서 원재료 가격이 안정적이라면 오히려 장점이 될 수 있다"며 "조광페인트는 조선산업의 호황일 때 이익이 가장 좋아졌던 케이스가 있어 이번 사이클에서 다시 한번 큰 폭의 실적 상승이 기대된다"고 말했다. 조선향 도료 선두 기업으로 한국 조선 수주량 증가에 따른 수혜가 예상된다는 부언이다. 조광페인트는 1967년 설립된 도료 생산·판매 기업으로 1976년 코스피에 상장됐다. 국내 도료 사업은 5개 업체(동사, KCC, 노루페인트, 삼화페인트, 강남제비스코)가 과점하고 있는 시장이며, 조광페인트는 전체 시장 점유율은 낮지만 니치마켓 분야(조선, 목공)에서 강점을 보이고 있다. 리서치알음에 따르면 국제회계기준(IFRS) 2024년 조광페인트의 실적은 매출액 2481억원, 영업이익 45억원으로 추정됐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9% 하락, 21.6% 성장한 수치다. 최 연구원은 "신조선가의 지속 상승 및 해운 운임 급증으로 액화천연가스(LNG)선에 이어 컨테이너선까지 발주가 증가하는 현재 상황은 과거 조선 빅사이클을 떠올리기에 충분하다"며 "국내 조선사들의 해외 군함 사후관리(A/S) 시장진출 역시 전방 시장 확대에 대한 기대감을 가지게 한다"고 분석했다. /전지원기자 jjw13@metroseoul.co.kr

2024-07-01 10:50:34 전지원 기자
기사사진
한국투자밸류운용, 손익차등형 펀드 678억원 모집

한국투자밸류자산운용이 -15%까지 손실 방어할 수 있는 손익차등형 공모펀드 678억원을 모집했다. 28일 한국투자밸류자산운용에 따르면 '한국밸류기업가치포커스펀드'에 678억원을 모집하여 설정을 완료했다. 후순위 투자 출자분까지 포함해 전체 운용 규모는 약 770억원 수준이다. 한국밸류기업가치포커스펀드는 ▲딥밸류포커스(초저평가 종목) ▲주주환원 ▲지속가능경영 ▲배당성장 등 기업가치 재평가 등 4개 테마에 투자한다. 또한 ▲에너지혁신 ▲AI혁신 ▲혁신 강소기업 등 혁신 성장 3개 테마에 집중투자할 예정이다. 일반 고객을 선순위로, 한국투자밸류자산운용을 후순위로 설정하고 손실 발생시 -15%까지는 후순위 투자자가 먼저 손실을 반영한다. 반대로 이익이 발생하면 고객의 이익으로 우선 배정하고, 9.4%를 초과하는 이익부터 고객과 운용사가 6대 4의 비율로 나눠 갖는다. 운용 기간은 3년, 수익률이 13.4%에 도달하면 조기상환(최소기간 1년 15일)된다. 한국투자밸류자산운용은 지난해 10월과 올해 3월 국내 주식에 투자하는 손익차등형펀드 '한국밸류 K-파워 펀드'와 '한국밸류 AI혁신소부장 펀드'를 출시했다. 일정 수준까지는 손실을 방어할 수 있다는 점에서 투자자들로부터 각각 720억원, 483억원을 모집했다. 28일 기준 한국밸류 K-파워 펀드(1호 A클래스) 설정 이후 수익률은 13.17%, 한국밸류 AI혁신소부장 펀드(1호 A클래스) 설정 이후 수익률은 6.35%다. 이석로 한국투자밸류자산운용 대표는 "다양한 테마에 투자하고 안정적인 수익을 추구할 수 있는 상품을 지속적으로 출시해 고객 수익률을 제고하는데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전지원기자 jjw13@metroseoul.co.kr

2024-06-30 02:26:46 전지원 기자
기사사진
3분기 유망 펀드는?... '주주환원·장기채·성장주'

KB자산운용이 투자자들의 선택을 돕기 위해 3분기 주목해야 할 유망 펀드 5종을 제안했다. KB자산운용은 기업·주주가치 제고를 고려해 국내 주식형 펀드를 포함시켰고 국내외 금리 인하 전망을 반영한 채권형 펀드 2종도 함께 제시했다고 27일 밝혔다. 첫번째로 제시된 상품은 'KB 주주가치 포커스'다. 주주환원 정책을 가진 기업에 선별 투자하는 액티브 펀드로 최근 6개월 수익률은 18.25%를 기록했다.두번째와 세번째는 'KB 미국 장기채권10년 플러스'와 'KB 장기국공채 플러스'다. 국채에 투자해 안정적인 이자 수익을 확보하고 금리 하락 시 초과 수익을 추구하는 펀드로 지속성 10년 내외의 미국 또는 국내 채권에 투자해 안정성과 수익성을 노리는 상품이다. 다음으로 상품 'KB 미국 대표성장주'는 엔비디아와 애플, 테슬라 등 미국을 대표하는 우량성장 기업에 집중 투자하는 펀드다. 대형주 비중이 높은 이 상품은 인공지능(AI)과 디지털소비, 혁신의약품 등 유망 테마에 선별 투자한다. 1년 수익률은 44.58%다. 마지막으로 제시된 상품은 'KB 한국리츠인프라' 펀드다. 금리 하락 시 수혜가 예상되는 인컴형 상품으로 최근 금리 인하 기대감과 국내 우량 부동산 자산을 보유하고 있는 한국 리츠의 배당 매력이 부각되면서 투자자의 관심을 받고 있다. 맥쿼리인프라와 국내 우량 상장 리츠에 투자하면서 안정성과 배당수익을 극대화한다는 설명이다. 6개월 수익률은 6.7%를 상회한다. 장순모 KB자산운용 상품마케팅전략본부장은 "3분기 투자 테마에 맞춘 유망 펀드들을 투자성향에 맞게 활용한다면 안정적인 수익을 거둘 수 있을 것"이라며 "향후 세분화한 전략을 기반으로 다양한 투자솔루션을 지속적으로 제공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전지원기자 jjw13@metroseoul.co.kr

2024-06-27 17:42:02 전지원 기자
기사사진
거래소 "상장 심사 분리로 속도낼 것"...인력 20% 충원

상장예비심사 지연문제가 꾸준히 지적되자 한국거래소는 기술특례 기업과 일반 기업 심사를 완전 분리하는 방안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2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최근 기술특례를 중심으로 한 상장예비심사 신청이 급증하면서 예비심사가 지연되고 있다. 이에 따라 한국거래소는 '상장예비심사 지연 해소' 방안을 발표했다. 특별심사 태스크포스(TF)를 설치해 심사 전문화 및 심사 절차와 관행을 개선하겠다는 입장이다. 우선적으로 심사 과정에서 일반 기업과 기술특례 기업을 분리한다. 기술특례를 담당하고 있는 코스닥시장본부 내 기술기업상장부를 3개 팀으로 꾸려 기술심사1팀은 바이오, 2팀은 ICT서비스, 3팀은 제조업(소재·부품·장비) 등으로 구분한다. 심사 인력이 보다 필요할 시 특별 TF를 통해 보강한다는 입장이다. 홍순욱 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본부장은 "거래소 내 타 부서 직원들 중 전문성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을 차출할 계획"이라며 "심사 소요 절차가 기존 비례 20% 정도 간소화될 수 있을 것"이라고 예측했다. 덧붙여 심사팀별로 한정된 분야를 맡긴 만큼 전문성이 강화될 수 있고, 추후에는 더 나은 단축 효과를 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특별 TF는 상장 심사 지연이 해소될 수 있을 때까지 기한 없이 운영할 예정이다.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신청순서에 상관없이 우선 처리가 가능한 기업을 먼저 처리하는 방식도 제시했다. 단기간에 처리하기 어려운 요인이 있을 경우 필요 기간을 미리 예상해 처리가 가능한 기업부터 진행한다는 방침이다. 만약 이슈 해소가 지연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에는 심사 장기화가 아닌 최소기한 내 처리를 원칙으로 한다고 설명했다. 홍 코스닥시장본부장은 "앞으로 규정상 지키도록 돼 있는 45영업일 이내에 심사를 완료하도록 노력하겠다"면서 "단기 처방에 그치지 않고 심사 지연 해소를 위한 프로세스 효율화, 제도개선 등을 지속적으로 검토·추진할 예정"이라고 강조했다. 다만 적체된 종목이 많은 만큼 45영업일 내에 심사를 마치겠다고 장담하기는 어렵다고 덧붙였다. 현행 상장예비심사 기간은 45영업일 내로 규정돼 있지만, 지난 5월 기준 거래소의 올해 코스닥시장 상장 예비심사 평균 소요 기간은 106.3영업일로 집계됐다.

2024-06-27 17:05:10 신하은 기자 2024-06-27 17:05:10 전지원 기자
기사사진
[마감시황] 코스피, 외인 순매수에 급락 모면... 2784.06 마감

코스피가 장 초반 2761선까지 하락했으나 외국인 순매수세로 반등했다. 27일 코스피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7.99포인트(0.29%) 내린 2784.06에 거래를 마쳤다. 기관이 7743억원을 순매도했고, 개인과 외국인이 각각 2641억원, 5095억원을 순매수했다. 업종별로는 운수장비(1.14%), 운수창고(0.52%), 보험(0.09%) 등이 올랐고, 기계(-2.05%), 전기가스업(-1.95%), 서비스업(-1.61%) 등이 내렸다. 시가총액 상위 10개 종목 중에서는 자동차주인 현대차(2.94%)와 기아(0.54%)를 비롯해 총 4개 종목이 상승세를 보였다. 반도체주는 삼성전자(0.37%)가 올랐고 SK하이닉스(-0.21%)는 하락했다. 이외에도 셀트리온(-1.70%), POSCO홀딩스(-1.24%), LG에너지솔루션(-0.91%)떨어졌다. 상승종목은 264개, 하락종목은 622개, 보합종목은 45개로 집계됐다. 코스닥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3.47포인트(0.41%) 하락한 838.65에 마침표를 찍었다. 기관과 외국인이 각각 668억원, 511억원을 팔아치운 반면 개인은 1193억원을 사들였다. 업종별로는 화학(2.06%), IT부품(0.64%), 컴퓨터서비스(0.50%) 등이 상승했고, 디지털콘텐츠(-2.66%), 음식료·담배(-1.81%) 기타제조(-1.61%) 등이 내렸다. 시가총액 상위 10개 종목은 2차전지주인 엔켐(8.35%)이 크게 상승했고 에코프로(0.11%)가 올랐다. 미용·의료기기주인 클래시스(0.39%)도 상승한 반면 반도체장비주인 에이치피에스피(-3.09%)는 하락했다. 이외에도 셀트리온제약(-1.89%), 에이치엘비(-1.69%), 삼천당제약(-1.05%) 등이 떨어졌다. 상승종목은 492개, 하락종목은 1067개, 보합종목은 100개였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전일 미국증시 마감 이후 발표된 마이크론 분기실적이 기존 예측 부합에 그쳐 장 초반 반도체 대형주 주가 영향이 있었다"며 "지수가 하락했으나 저점에 매수하려는 외국인 투자자들의 유입으로 반등했다"고 말했다. 한편,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보다 2.9원 내린 1385.8원에 마감했다. /전지원기자 jjw13@metroseoul.co.kr

2024-06-27 16:52:01 전지원 기자
기사사진
거래소, 기술특례 상장 신청 증가에 '심사 절차 개선안' 추진

한국거래소가 기술특례 상장예비심사 절차 개선안을 시행할 예정이다. 27일 거래소에 따르면 기술특례 상장 신청 기업수는 2022년 45곳에서 2023년 58곳으로 증가했고 2024년엔 4월 기준 17곳이 신청한 상태다. 이에 따라 상장예비심사 지연 해소를 위해 심사 전문화 및 심사 절차와 관행을 개선하겠다고 밝혔다. 단, 해당 조치가 투자자 보호 기능 부실화로 이어지지 않도록 심사 기준은 변함없이 유지한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심사 난이도가 높고 상대적으로 장기간이 소요되는 기술특례 기업과 일반 기업의 심사를 완전히 분리한다. 기술기업상장부는 팀별로 전담산업 전문 심사체계를 구축해 산업 특성을 반영한 심사기준 수립 및 심사기법 고도화 등 추진할 계획이다. 초기에는 심사 이슈 해소에 필요한 기간을 예상해 신청 순서와 관계없이 우선 처리가 가능한 기업부터 심사를 진행한다. 단기간에 해소가 어렵다고 판단되면 최소기한 내 처리를 원칙으로 하게 된다. 주관사와의 사전협의 활성화로 주요 이슈사항을 사전에 논의하고 심사 이슈 해소 후 신청하게끔 유도하고 특별심사 전담팀(TF)을 꾸려 심사인력을 추가 배치할 예정이다. 거래소는 "심사품질 향상과 심사기간 단축을 동시에 도모하고, 경중에 따른 처리기간 차등화를 통해 자율적으로 신청 전 이슈 정비를 유도하는 효과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전지원기자 jjw13@metroseoul.co.kr

2024-06-27 14:00:26 전지원 기자
기사사진
[마감시황] 코스피, 연이틀 상승세... 2792.05 마감

미국장 인공지능(AI) 기술주 반등에 힘입어 코스피 지수가 이틀 연속 상승 마감했다. 26일 코스피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7.66포인트(0.64%) 오른 2792.05에 거래를 마쳤다. 기관과 개인이 각각 3759억원, 1529억원을 순매도했고, 외국인이 5027억원을 순매수했다. 업종별로는 의료정밀(2.25%), 보험(1.69%), 전기전자(1.41%) 등이 올랐고, 전기가스업(-1.24%), 증권(-1.22%), 섬유의복(-0.90%) 등이 내렸다. 시가총액 상위 10개 종목 중에서는 자동차주인 기아(1.40%)와 현대차(0.35%)를 비롯해 총 4개 종목이 상승세를 보였다. 반도체주인 SK하이닉스(5.33%)와 삼성전자(0.62%)도 나란히 상승했다. 반면, 삼성바이오로직스(-1.22%)와 셀트리온(-0.90%)은 떨어졌다. 상승종목은 355개, 하락종목은 515개, 보합종목은 62개로 집계됐다. 코스닥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0.13포인트(0.02%) 상승한 842.12에 마침표를 찍었다. 기관과 외국인이 각각 11억원, 1158억원을 팔아치운 반면 개인은 1305억원을 사들였다. 업종별로는 디지털콘텐츠(2.52%), IT부품(1.81%), 비금속(1.72%) 등이 상승했고, 제약(-2.50%), 기타서비스(-1.32%) 섬유·의류(-1.17%) 등이 내렸다. 시가총액 상위 10개 종목은 모두 하락했다. 제약주인 에이치엘비(-10.71%)가 큰 폭으로 하락했고 2차전지주인 엔켐(-2.93%)과 에이치피에스피(-2.53%)도 내렸다. 이밖에도 셀트리온제약(-1.75%), 클래시스(-1.35%) 등이 떨어졌다. 상승종목은 743개, 하락종목은 817개, 보합종목은 96개였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전일 미국시장 AI 기술주 반등으로 SK하이닉스가 4%대 강세를 보인다"며 "오늘 밤 마이크론 실적발표에서 과열될 것으로 분석된다"고 말했다. 한편,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보다 1.2원 오른 1388.7원에 마감했다. /전지원기자 jjw13@metroseoul.co.kr

2024-06-26 17:20:00 전지원 기자
기사사진
[마감시황] 코스피 기관·외인 쌍끌이에 상승...2774.39 마감

국내 증시가 기관과 외국인의 동반 매수세에 다시 반등했다. 25일 코스피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9.66포인트(0.35%) 오른 2774.39에 거래를 마쳤다. 기관과 외국인이 각각 1608억원, 1433억원을 순매수했고, 개인이 2987억원을 순매도했다. 업종별로는 운수창고(2.45%), 증권(2.08%), 운수장비(1.61%) 등이 올랐고, 전기가스업(-1.92%), 의료정밀(-1.09%), 기계(-0.83%) 등이 내렸다. 시가총액 상위 10개 종목 중에서는 자동차주인 현대차(2.67%), 기아(0.55%)를 비롯해 총 6개 종목이 상승세를 보였다. 반도체주는 SK하이닉스(0.90%)와 삼성전자(0.25%)가 상승했고 삼성전자우(-0.46%)는 하락했다. 이외에도 KB금융(-1.25%)과 셀트리온(-0.34%)이 떨어졌다. 상승종목은 497개, 하락종목은 375개, 보합종목은 60개로 집계됐다. 코스닥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0.47포인트(0.06%) 상승한 841.99에 마침표를 찍었다. 기관이 892억원을 팔아치운 반면 개인과 외국인은 각각 518억, 818억원을 사들였다. 업종별로는 인터넷(2.05%), 운송장비·부품(1.83%), 제약(1.81%) 등이 상승했고, 화학(-2.12%), 섬유·의류(-1.45%) 유통(-1.02%) 등이 내렸다. 시가총액 상위 10개 종목 중에서는 에이치엘비(10.30%)가 크게 올랐다. 이밖에도 에이치피에스피(3.24%), 삼천당제약(2.35%) 등이 상승했고, 엔켐(-5.93%), 리노공업(-2.65%), 클래시스(-1.89%) 등이 떨어졌다. 상승종목은 823개, 하락종목은 731개, 보합종목은 101개였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달러지수 약세와 채권금리 하락 안정세에 외국인이 유입됐다"며 "외국인의 SK하이닉스 순매도세와 삼성전자 순매수세가 나타나며 키맞추기가 이어지는 중"이라고 말했다. 한편,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보다 1.5원 내린 1387.5원에 마감했다. /전지원기자 jjw13@metroseoul.co.kr

2024-06-25 17:34:40 전지원 기자
기사사진
신라젠, 유상증자 일반공모 청약률 494.46% 기록

신약 개발 기업 신라젠이 유상증자 일반공모에서 청약률 494.46%를 기록했다. 구 주주 청약에 이어 일반 공모에서도 흥행하며 1000억원 규모 조달에 성공, 연구개발에 투자할 계획이다. 신라젠은 24일 기업 공시를 통해 구 주주 및 일반 청약 합산 결과 총 150.95%라는 높은 청약률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신라젠은 지난 3월 22일 유상증자 최초 발표 이후 이달 12일 최종 발행가액 산정을 통해 1000억원 이상의 자본 조달을 확정했다. 주주배정 이후 발생하는 실권주를 대표주관사(KB증권)와 인수회사(SK증권, 한양증권, 이베스트투자증권)가 인수하기에 유상증자 진행과 무관하게 자금 조달이 가능하다. 17~18일 구 주주를 대상으로 한 청약 결과 87.08%의 높은 참여율을 보였다. 주관사 등은 이달 20~21일 구 주주 청약 잔여 물량 445만6372주에 대한 일반 청약을 진행했고 2203만5000주의 청약 참여로 494.46%의 청약률을 보였다. 이로써 구 주주 및 일반 청약 합산 결과 최종 150.95% 청약률로 절차를 마무리했다. 회사 측은 유상증자 참여사 리드코프의 자발적인 지분 보유 확약 등으로 주주와 시장에 신뢰를 얻었다고 분석했다. 신라젠 관계자는 "당사는 부채가 거의 없기에 연구개발에 대부분을 투자해 기업가치를 높여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유상증자로 조달되는 1031억5500만원은 25일 회사로 납입돼 자본금으로 충당될 예정이다. /전지원기자 jjw13@metroseoul.co.kr

2024-06-24 17:09:27 전지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