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김대환
기사사진
[metro 관심종목] CJ프레시웨이, 실적 개선 성장 전망...기대감↑

CJ프레시웨이가 푸드서비스 실적의 기저효과와 신규 수주 회복에 힘입어 실적 개선 기대감이 커지면서 주가도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30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CJ프레시웨이의 주가는 지난 28일 전 거래일 대비 1.09% 오른 2만3150원에 마감했다. 이는 전달 대비 약 7.67% 상승한 수치다. CJ프레시웨이의 1분기 연결 기준 영업이익은 소비 심리 반등과 비용 효율화에 힘입어 2개 분기 연속 증가할 전망이다. 증권가에서는 1분기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7% 증가한 113억원에 이를 것으로 보고 있다. 올해 1분기 소비자심리지수는 90~95 수준으로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정치적 불확실성이 완화되면서 2분기에도 수요 반등 흐름이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수요 회복 구간에서 실적 개선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2분기에는 외식 소비를 포함한 오프라인 유통 채널의 수요 반등이 기대된다. CJ프레시웨이는 지난해 하반기부터 판관비 증가를 통제해왔으며, 주요 원재료 및 유통 상품의 가격 인상 가능성도 높아 식자재 유통 부문의 실적 개선이 가시화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식자재 유통 부문의 성장이 두드러진다. 1분기 식자재 유통 부문 매출은 전년 대비 8.0%, 영업이익은 15%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외식 경기 침체에도 프랜차이즈 및 온라인·오프라인 서비스 매출이 꾸준히 성장하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해 4분기 온라인 매출은 260억 원으로, 1분기에도 성장세가 이어지고 있다. 푸드서비스 부문은 회복세를 보일 전망이다. 런치플레이션(점심 물가 상승) 영향으로 신규 수주가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지난해 병원 파업으로 인한 식수 감소와 고정비 부담으로 어려움을 겪었지만, 올해는 중소형 병원 시장에서의 영업 강화와 신규 수주 확대가 실적 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인천공항 내 4개 사이트 수주도 긍정적인 요인이다. 이 중 1개 사이트는 1분기에 오픈했고, 나머지는 3분기와 내년에 순차적으로 오픈될 예정이다. 프랜차이즈 매출도 견조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 어려운 업황 속에서도 대형 거래처의 신규 수주가 확대되고 있으며, 수익성 중심의 운영 전략이 강화되면서 이익 기여도가 점차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하희지 현대차증권 연구원은 "CJ프레시웨이는 올해 어려운 영업 환경 속에서 프랜차이즈 경로 확대, 병원 및 레저 부문 신규 수주 지속 등으로 실적 개선 모멘텀이 강화될 것"이라며 "수익성 중심의 영업 전략과 물류비 절감을 통해 점진적인 이익 회복이 기대된다"고 분석했다.

2025-03-30 08:39:28 김대환 기자
기사사진
[마감시황] 코스피, 개인·외국인 매수세에도 하락 전환...2607.15 마감

코스피가 개인과 외국인의 순매수에도 하락 전환하며 마감했다. 2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1.39%(36.79포인트) 떨어진 2607.15에 거래를 마쳤다. 이날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0.90%(23.66포인트) 내린 2620.28로 출발했고, 장중 하락폭이 확대되며 마감했다. 코스피 시장에서 개인과 외국인은 각각 1197억원, 877억원을 순매수했다. 기관은 3152억원어치를 순매도했다. 업종별로는 오락·문화(0.54%), 섬유·의류(0.39%), 건설(0.35%) 등이 올랐고, 운송장비·부품(-2.99%), 기계·장비(-2.72%), 운송·창고(-2.08%) 등은 내렸다. 코스피 시가총액 상위 10개 종목 중에서는 삼성전자(0.65%)만 올랐다. 현대차(-4.28%), 기아(-3.45%), SK하이닉스(-3.27%), NAVER(-3.604%) 등은 내렸다. 코스닥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25%(8.99포인트) 내린 707.49로 마감했다.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216억원, 222억원을 순매도했다. 개인은 홀로 440억원을 순매수했다. 코스닥 시총 상위종목에서 HLB(6.16%)만 올랐다. 코오롱티슈진(-5.42%), 에코프로비엠(-2.87%), 알테오젠(-2.76%), 에코프로(-2.68%) 등은 내렸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국내 증시는 자동체와 반도체 산업에서 겹 악재가 발생했다"며 "코스피 시가총액 상위권의 주요 산업들이 하락하며 하락을 지수 면치 못했다"고 분석했다. 한편,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오후 3시 30분 기준 전 거래일 대비 1.0원 내린 1465.3원에 거래를 마쳤다. /김대환기자 kdh@metroseoul.co.kr

2025-03-27 16:08:54 김대환 기자
기사사진
[코스닥 기업 탐방] 누보, 기술력으로 세계 농업 시장 선도

기술 기반 농업 전문기업인 '누보'가 세계 농업 시장에서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비료 제조 및 도소매, 농약 제조 및 판매, 조경 및 화훼 도소매 등을 주요 사업으로 하며, 독보적인 기술력과 글로벌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농업의 세계화에 앞장서고 있다. 누보는 2007년 5월 23일 설립돼 짧은 기간 동안 괄목할 만한 성장을 이뤘다. 현재 임직원 수는 245명(2024년 12월 기준)이고, 본사는 경기도 수원에 위치하고 있다. 울산에 생산공장을 보유하고 있으며, 미국과 중국에 지사를 두고 글로벌 농업 시장에 적극 진출하고 있다. 특히, 비료 제조 및 도소매, 농약 제조 및 판매 등 농업 기반 사업에서 차별화된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다. 2012년 일본, 태국, 베트남, 파키스탄 등으로 비료 수출을 시작하면서 본격적으로 해외 시장에 진출했다. 이후 미국과 중국에 현지 법인을 설립하며 글로벌 네트워크를 구축했다. 2022년에는 코스닥 상장에 성공하며 성장 기반을 더욱 강화했다. 누보의 성장은 독보적인 기술력이 뒷받침하고 있다. 누보는 완효성 비료(CRF) 제조 기술에서 세계 최고 수준의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 비료 원료를 폴리머로 코팅해 성분의 용출 기간을 조절하는 기술로, 비료 효과의 지속성을 높이고 사용량을 줄일 수 있다. 누보의 코팅비료는 일반 비료 대비 사용량이 88% 감소하고, 시비 횟수가 75% 절감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를 통해 농업 노동력 절감 및 생산성 증대 효과를 거두고 있다. 또한, 누보는 세계 최초로 발포확산성 비료 제조 기술을 개발했다. 물에 넣으면 비료 성분이 발포되면서 확산돼 골고루 작용하는 기술로, 일반 비료 대비 사용량이 300분의 1 수준으로 줄어든다. 시비 시간도 88% 단축되며, 노동력 역시 대폭 절감된다. 발포확산성 비료는 농업뿐 아니라 골프장, 조경, 가정 원예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비료 이용 효율을 극대화하는 NPS(Nousbo Plant Synergist) 기술도 누보의 핵심 기술 중 하나다. 식물의 생리·대사·흡수 능력을 활성화시켜 비료 효과 지속시간을 2배로 늘리고, 시비 횟수를 3분의 1 수준으로 줄일 수 있다. 뿌리 발달을 촉진하고 불량 환경에서도 작물의 저항성을 강화하는 효과를 보인다. 누보는 친환경 및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경영에도 힘쓰고 있다. 유기농업 자재 개발에 주력해 '엔비올 트리플', '일석4조', '유기NK 1211' 등 다수의 유기농 인증 제품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탄소 저감 농업의 일환으로 '누보 바이오차'를 개발해 주목받고 있다. 바이오차는 탄소를 토양에 고정해 토양 개선과 작물 생육에 도움을 준다. 누보의 바이오차는 정부 지원 사업에도 채택되며 그 효과를 인정받았다. 누보는 독보적인 기술력과 친환경 경영을 바탕으로 국내외 농업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해 나가고 있다. 글로벌 네트워크 강화와 신사업 확장을 통해 농업의 세계화에 앞장서겠다는 전략이다. 누보 관계자는 "기술력과 친환경 경영을 통해 농업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열어갈 것"이라며 "글로벌 농업 시장에서 선두주자로 자리매김하겠다"고 전했다.

2025-03-27 09:02:43 김대환 기자
기사사진
[코스닥 CEO 인터뷰] 김만용 피라인모터스 대표 "국내 상용차 시장 기술발전 주도할 것"

"국내 전기 상용차 시장의 다변화와 기술 발전을 주도해 글로벌 e-Mobility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겠다." 전기버스 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 피라인모터스가 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김만용 피라인모터스 대표는 "원자력 및 방위 산업에서 쌓아온 기술력을 바탕으로 전기버스와 충전 인프라 사업에서 성과를 거두고 있다"고 자신감을 드러냈다. 피라인모터스는 지난 2003년 설립 이후 원자력과 방산 분야에서 계측제어 제품과 전원공급기를 개발하며 기술력을 인정받아왔다. 특히, 원전 산업에서 최고 안전 등급인 Q-Class를 확보하며 신뢰를 쌓아왔다. 김 대표는 "축적된 기술력을 더 넓은 산업에 기여하고자 2016년 전기차 충전기 개발에 착수했다"며 "이후 전기버스 제조와 충전 인프라 구축에 본격적으로 나섰다"고 설명했다. 현재 피라인모터스의 주요 사업은 전기버스와 전기차 충전 인프라 구축이다. 전체 매출에서 전기버스가 차지하는 비중이 90%에 달하며, 충전기와 원전·방산 분야가 각각 5%씩 기여하고 있다. 김 대표는 "전기버스 시장에서 차량과 충전 플랫폼, 관제 및 정비 플랫폼을 통합한 시스템을 제공하고 있다"며 "고객의 요구를 신속히 반영하고 사후 관리와 운영 편의성을 높이는 데 주력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피라인모터스의 경쟁력은 독자적인 기술력과 고객 중심의 설계에서 나온다. 김 대표는 "AI 기반의 문 끼임 방지 기술과 국내 최초로 버스 내 USB 충전구를 설치한 점이 큰 차별화 포인트"라고 설명했다. 회사의 '포도(PODO) 시스템'은 차량 모니터링, 장비 관리, 예방 정비 등을 통합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이를 통해 고객사는 전비(전력 효율)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확보하고, 고장 발생 시 신속히 대응할 수 있다. 김 대표는 "고객의 요구를 빠르게 파악하고 제품 사양과 기능을 개선하는 것이 우리 회사의 가장 큰 강점"이라며 "고객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CS 프로그램을 통해 직접 고객을 찾아가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러한 기술 혁신과 고객 중심 접근 방식은 피라인모터스가 국내 전기버스 시장 점유율 2위를 달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김 대표는 전기차 보급 둔화(전기차 캐즘)를 가장 큰 시장 위험 요인으로 꼽았다. 그는 "전기차 시장이 성장 정체에 직면할 수 있다는 우려가 있지만, 고객과의 끊임없는 소통과 선제적인 관리를 통해 충분히 대응할 수 있다"며 "수소버스의 성장이 대체재로 작용할 수 있다는 지적도 있지만, 이미 수소버스 개발을 준비 중이라 변화에 빠르게 대처할 자신이 있다"고 강조했다. 경영 철학에 대해서는 '품질 제일, 현장 중심, 동반 성장'을 강조했다. 김 대표는 "처음 전기버스 사업을 위해 협력사를 찾아가 어렵게 계약을 성사시킨 일이 가장 기억에 남는다"며 "아무도 전기버스 시장에 대한 확신이 없었던 시기였지만, 우리가 가진 기술력과 진정성을 믿고 도전한 덕분에 지금의 성과를 거둘 수 있었다"고 말했다. 피라인모터스는 주주 및 투자자와의 소통도 강화할 계획이다. 김 대표는 "주주간담회와 투자자설명회를 통해 회사의 성장 비전과 성과를 투명하게 공유할 것"이라면서 "회사의 성장 가능성과 성과를 정확히 전달해 신뢰를 더욱 쌓아가겠다"고 밝혔다.

2025-03-27 07:16:38 김대환 기자
기사사진
[마감시황] 코스피, 외국인·기관 매수세에 상승 전환...2643.94 마감

코스피가 외국인과 기관의 순매수에 상승 전환하며 마감했다. 26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1.08%(28.13포인트) 상승한 2643.94에 거래를 마쳤다. 이날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0.46%(12.28포인트) 오른 2628.09로 출발했고, 장중 상승폭이 확대되며 마감했다. 코스피 시장에서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3503억원, 2603억원을 순매수했다. 개인은 6797억원어치를 순매도했다. 업종별로는 전기전자(3.00%), 의료·정밀기기(1.69%), 제조(1.69%) 등이 올랐고, 기계·장비(-1.90%), 보험(-1.63%), 음식료·담배(-1.06%) 등은 내렸다. 코스피 시가총액 상위 10개 종목 중에서는 LG에너지솔루션(7.30%), SK하이닉스(2.88%), 삼성전자(2.68%) 등은 올랐다. NAVER(-1.69%), 셀트리온(-0.32%), 삼성바이오로직스(-0.19%) 등은 내렸다. 코스닥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0.73%(5.22포인트) 오른 716.48로 마감했다.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639억원, 668억원을 순매수했다. 개인은 홀로 1310억원을 순매도했다. 코스닥 시총 상위종목에서 에코프로비엠(3.63%), 코오롱티슈진(2.58%), 에코프로(1.87%) 등은 올랐다. 리가켐바이오(-1.60%), 삼천당제약(-1.35%), HLB(-0.18%) 등은 내렸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국내 증시는 새로운 이슈가 시장을 주도하기보다는 최근 반도체, 화학, 2차전지 등 업황의 개선 기대감이 있었다"며 "현대차의 미국투자로 인한 관세 회피 기대감 등 최근의 긍정적 모멘텀이 지속되면서 전날의 하락을 만회했다"고 분석했다. 한편,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오후 3시 30분 기준 전 거래일 대비 2.9원 내린 1466.3원에 거래를 마쳤다. /김대환기자 kdh@metroseoul.co.kr

2025-03-26 16:32:43 김대환 기자
기사사진
[마감시황] 코스피, 개인·외국인 매도세에 2거래일 연속 하락...2615.81 마감

코스피가 개인와 외국인의 순매도에 2거래일 연속 하락하며 마감했다. 25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0.62%(16.26포인트) 하락한 2615.81에 거래를 마쳤다. 이날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0.79%(20.97포인트) 오른 2653.04로 출발했고, 장중 하락이 지속되며 마감했다. 코스피 시장에서 개인과 외국인은 각각 638억원, 782억원을 순매도했다. 기관은 682억원어치를 순매수했다. 업종별로는 오락·문화(1.76%), 일반서비스(1.09%), 의료·정밀기기(0.70%) 등이 올랐고, 보험(-1.86%), 유통(-1.42%), 금속(-1.21%) 등은 내렸다. 코스피 시가총액 상위 10개 종목 중에서는 현대차(3.29%), 기아(2.13%), LG에너지솔루션(1.21%) 등은 올랐다. SK하이닉스(-1.65%), 삼성전자(-1.16%), 삼성바이오로직스(-0.37%) 등은 내렸다. 코스닥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24%(8.96포인트) 내린 711.26으로 마감했다. 개인과 외국인은 각각 886억원, 81억원을 순매수했다. 기관은 홀로 923억원을 순매도했다. 코스닥 시총 상위종목에서 HLB(2.98%), 휴젤(2.27%), 클래시스(1.75%) 등은 올랐다. 레인보우로보틱스(-4.42%), 삼천당제약(-3.64%), 코오롱티슈진(-3.26%) 등은 내렸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미국 증시는 트럼프의 관세정책에 대한 완화 기대감이 반영되며 상승했음에도 아시아 증시는 혼조세를 보였다"며 "미국의 관세정책으로 인한 피해 우려가 해소되면서 현대차와 자동차 밸류체인이 상승했다"고 분석했다. 한편,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오후 3시 30분 기준 전 거래일 대비 1.5원 오른 1469.2원에 거래를 마쳤다. /김대환기자 kdh@metroseoul.co.kr

2025-03-25 16:06:29 김대환 기자
기사사진
서학개미, 테슬라·팔란티어 매수세 지속…레버리지 ETF 인기

최근 서학개미(미국 주식에 투자하는 개인 투자자)들이 미국 주식시장에서 테슬라와 팔란티어를 중심으로 매수세를 이어가고 있다. 레버리지 상장지수펀드(ETF)에 대한 관심도 이어지면서 위험자산 선호 심리는 뚜렷해지는 모습이다. 25일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지난 17일부터 24일까지 일주일간 국내 투자자들의 해외 주식 순매수 결제액 1위는 '테슬라'로, 약 1억9110만 달러(한화 약 2808억5967만원)에 달했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독일 선거 기간 동안 극우 정당인 '독일을 위한 대안당'(AfD)을 공개 지지한 데 이어, 정부효율부(DOGE) 수장으로 대규모 공무원 해고를 단행하면서 '테슬라 테이크다운' 시위가 전국적으로 확산되는 등 소비자들의 반감이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도 테슬라에 대한 저가 매수세는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같은 기간 테슬라 주가의 2배를 추종하는 '디렉시온 데일리 테슬라 불 2X ETF'가 순매수 2위를 기록했다. 순매수 결제액은 1억2253만 달러(1800억8234만원)로, 테슬라의 주가 반등에 대한 기대감이 레버리지 상품에 대한 투자로 이어진 결과로 해석된다. 3위는 미국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AI) 기술 기업인 '팔란티어 테크놀로지스'로, 순매수 결제액은 약 8457만 달러(1242억9252만원)에 달했다. 팔란티어는 지난해부터 AI 모델 성능 개선과 신규 고객 확보에 집중하면서 시장 점유율을 확대해 왔다. 이에 따른 성장 기대감이 커지면서 최근 주가가 강세를 보였고, 이를 저가 매수 기회로 판단한 투자자들의 자금이 대거 유입된 것으로 보인다. 이외에도 투자등급 회사채에 투자하는 '아이셰어스 iBoxx USD 인베스트먼트 그레이드 코퍼레이트 본드 ETF'가 8028만 달러(1179억7948만원) 규모로 뒤를 이었다. 또한, 나스닥 지수를 3배로 추종하는 '프로셰어즈 울트라프로 QQQ ETF'는 약 6838만 달러(1004억9124만원)가 순매수되며 상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황산해 LS증권 연구원은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부과가 예상보다 완화될 가능성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면서 미국 증시가 반등했고, 특히 기술주와 러셀 지수가 강세를 보였다"며 "트럼프 정책에 대한 불안과 실망으로 부진했던 테슬라와 팔란티어 같은 '트럼프 트레이드' 종목들이 이번에 강하게 반등했다"고 분석했다.

2025-03-25 14:54:47 김대환 기자
기사사진
[마감시황] 코스피, 개인·기관 매도세에 하락 전환...2632.07 마감

코스피가 개인와 기관의 순매도에 하락 전환하며 마감했다. 24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0.42%(11.06포인트) 하락한 2632.07에 거래를 마쳤다. 이날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0.25%(6.7포인트) 떨어진 2636.43로 출발했고, 장중 하락폭을 확대하며 마감했다. 코스피 시장에서 개인과 기관은 각각 776억원, 38억원을 순매도했다. 외국인은 75억원어치를 순매수했다. 업종별로는 운송장비·부품(2.89%), 운송·창고(2.38%), 의료·정밀기기(1.41%) 등이 올랐고, 금속(-2.85%), 기계·장비(-1.84%), 건설(-1.34%) 등은 내렸다. 코스피 시가총액 상위 10개 종목 중에서는 현대차(3.90%), 기아(3.13%), LG에너지솔루션(0.76%) 등은 올랐다. 삼성전자(-1.94%), SK하이닉스(-1.86%), 삼성바이오로직스(-1.55%) 등은 내렸다. 코스닥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0.11%(0.81포인트) 오른 720.22로 마감했다.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324억원, 276억원을 순매도했다. 개인은 홀로 589억원을 순매수했다. 코스닥 시총 상위종목에서 HLB(15.48%), 삼천당제약(1.75%), 코오롱티슈진(1.56%) 등은 올랐다. 에코프로비엠(-3.30%), 레인보우로보틱스(-2.8%), 에코프로(-1.96%) 등은 내렸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한덕수 국무총리의 탄핵소추안 기각 소식이 전해지면서 외국인이 순매수로 전환했다"며 "기관이 매도폭 줄이면서 코스피가 한 때 상승전환을 시도하기도 했다"고 분석했다. 한편,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오후 3시 30분 기준 전 거래일 대비 5.0원 오른 1467.7원에 거래를 마쳤다. /김대환기자 kdh@metroseoul.co.kr

2025-03-24 15:50:03 김대환 기자
기사사진
[metro 관심종목] 엠앤씨솔루션, 올해 수주잔고 1조원 이상 전망...기대감↑

엠앤씨솔루션이 해외 수출 비중 확대에 힘입어 실적 성장세를 이어가며 주가도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방산 수출 확대와 수주잔고 증가가 주가 상승의 주요 요인으로 분석되며, 투자자들로부터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 23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엠앤씨솔루션의 주가는 지난 21일 기준 전 거래일 대비 5.59% 오른 8만5000원에 마감했다. 이는 전달 대비 약 21.6% 상승한 수치다. 방산 수출 확대와 수주잔고 증가가 주가 상승의 배경으로 꼽힌다. 엠앤씨솔루션의 지난해 총 수주잔고는 9570억원으로 전년 대비 68.1% 증가했다. 2022년 수주잔고가 3451억원이었던 것과 비교하면 2년 만에 두 배 이상 늘어난 셈이다. 업계에서는 폴란드향 K9 자주포와 K2 전차, 중동향 천궁2가 2028년부터 2029년까지 지속적으로 공급될 것으로 전망한다. 여기에 루마니아 K9 자주포, 호주 레드백 장갑차 등 추가 수출 계약까지 성사될 경우 매출 성장과 마진 개선이 한층 가속화될 것으로 보인다. 엠앤씨솔루션은 지상·유도·해상·항공·레이저·우주 등 방산 분야에서 유압식 및 전기식 부품을 생산하고 있다. 주요 제품으로는 ▲지상화력 분야(K9, K2, 레드백 등) 유압 및 현수장치 ▲유도 분야(천무, 천궁) 발사대용 유압시스템 ▲항공기(KF-21, KUH) 연료 조절 장치 및 유압펌프 등이 있다. 엠앤씨솔루션은 지난해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매출액은 2828억원으로 전년 대비 56.3% 증가했으며, 영업이익은 345억원으로 60.5%, 순이익은 270억원으로 71.4% 늘었다. 올해도 견조한 성장세가 기대된다. 엠앤씨솔루션은 올해 매출액 3888억원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는 전년 대비 37.5% 증가한 수치다. 영업이익은 494억원으로 43.0% 늘고, 영업이익률은 12.7%에 이를 전망이다. 순이익 역시 389억원으로 전년보다 44.4%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신규 수주는 약 45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며, 특히 수출 비중이 60%까지 확대되면서 수주잔고는 1조원을 돌파할 것으로 보인다. 전문가들은 수출 비중 증가에 따른 성장이 지속될 것으로 보면서도, 단기적으로는 오버행 이슈가 제한적일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최정환 LS증권 연구원은 "엠앤씨솔루션의 오버행 이슈는 크지 않을 것"이라면서 "대주주 지분 74%는 상장 이후 3년간 분할 매각 금지 확약이 걸려 있어 단기적인 매물 출회 가능성도 낮다"고 분석했다.

2025-03-23 08:25:57 김대환 기자
기사사진
[마감시황] 코스피, 외국인·기관 매수세에 3거래일 연속 상승...2628.62 마감

코스피가 외국인와 기관의 순매수에 힘입어 3거래일 연속 상승하며 마감했다. 19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0.62%(16.28포인트) 상승한 2628.62에 거래를 마쳤다. 이날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0.04%(1.14포인트) 오른 2613.487로 출발했고, 장중 상승폭을 확대하며 마감했다. 코스피 시장에서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3035억원, 2843억원을 순매수했다. 개인은 6734억원어치를 순매도했다. 업종별로는 보험(1.79%), 통신(1.67%), 의료·정밀기기(1.57%) 등이 올랐고, 운송·창고(-1.87%), 일반서비스(-0.93%), 건설(-0.83%) 등은 내렸다. 코스피 시가총액 상위 10개 종목 중에서는 현대차(1.75%), LG에너지솔루션(1.69%), 삼성(1.56%) 등이 올랐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1.05%), NAVER(-0.48%), 삼성바이오로직스(-0.46%) 등은 내렸다. 코스닥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0.96%(7.19포인트) 오른 738.35로 마감했다.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1738억원, 229억원을 순매도했다. 개인은 홀로 2175억원을 순매수했다. 코스닥 시총 상위종목에서 에코프로비엠(0.54%)만 올랐다. HLB(-6.26%), 알테오젠(-5.52%), 클래시스(-4.97%), 레인보우로보틱스(-4.78%), 삼천당제약(-4.29%) 등은 내렸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삼성전자를 중심으로 반도체 업종에 훈풍이 지속됐다"며 "기술주가 하락했으나 유럽, 중국, 일본 등 비미국 증시는 전반적으로 상승했다"고 분석했다. 한편,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오후 3시 30분 기준 전 거래일 대비 0.5원 오른 1453.4원에 거래를 마쳤다. /김대환기자 kdh@metroseoul.co.kr

2025-03-19 16:10:27 김대환 기자
기사사진
[마감시황] 코스피, 외국인·기관 매수세에 2거래일 연속 상승...2612.34 마감

코스피가 외국인와 기관의 순매수에 힘입어 2거래일 연속 상승하며 마감했다. 18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0.06%(1.65포인트) 상승한 2612.34에 거래를 마쳤다. 이날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0.63%(16.58포인트) 오른 2627.27로 출발했고, 장중 상승폭이 축소되며 마감했다. 코스피 시장에서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4417억원, 924억원을 순매수했다. 개인은 6112억원어치를 순매도했다. 업종별로는 보험(1.40%), 일반서비스(1.28%), 기계·장비(1.14%) 등이 올랐고, 오락·문화(-2.48%), 전기·가스(-1.44%), 의료·정밀기기(-1.00%) 등은 내렸다. 코스피 시가총액 상위 10개 종목 중에서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1.46%), 삼성바이오로직스(1.40%), 현대차(0.75%) 등이 올랐다. 기아(-2.43%), SK하이닉스(-1.46%), NAVER(-0.95%) 등은 내렸다. 코스닥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0.27%(2.03포인트) 오른 745.54로 마감했다.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377억원, 19억원을 순매도했다. 개인은 홀로 515억원을 순매수했다. 코스닥 시총 상위종목에서 코오롱티슈진(14.46%), 레인보우로보틱스(1.57%), HLB(1.46%) 등은 올랐다. 삼천당제약(-1.15%), 리가켐바이오(-1.11%) 등이 하락했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전일 미국 증시의 상승 훈풍에 코스피가 상승으로 출발 했으나, 개인 위주로 차익실현 매도세가 출회되며 장중 상승폭을 반납했다"며 "대내외적 요소들로 증시 경계심이 유입된 것 또한 상승에 부담이 된 것으로 판단된다"고 분석했다. 한편,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오후 3시 30분 기준 전 거래일 대비 4.5원 오른 1452.4원에 거래를 마쳤다. /김대환기자 kdh@metroseoul.co.kr

2025-03-18 16:10:23 김대환 기자
기사사진
와이즈넛, ‘2025 WISE Edge’ 성료

AI 에이전트 전문기업 와이즈넛이 18일 글래드 여의도에서 '2025 WISE Edge'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Empowering human with AI agents'를 주제로, AI 에이전트와 인간의 협력을 통해 인간의 역량을 극대화할 방향을 모색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강용성 와이즈넛 대표는 "AI 에이전트가 각 산업과 업무에 도입되면 생산성과 효율성이 획기적으로 향상될 것"이라며 "AI는 단순히 똑똑한 답변을 제공하는 것을 넘어 기업이 원하는 방식으로 함께 '일하는' 존재가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와이즈넛이 지난 25년간 축적한 도메인 지식, 검색 증강 생성(RAG) 기술력, 자연어 처리 기술 등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차별화된 강점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장정훈 와이즈넛 CTO는 '와이즈넛의 AI 에이전트 플랫폼: 생성형 AI와 RAG를 활용한 업무 혁신'을 주제로 발표했다. 그는 기업의 레거시 시스템, 조직 문화, 내부 규정 등에서 데이터 간의 관계를 자동으로 지식화하고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모델링하는 '와이즈 하이퍼그래프(WISE Hypergraph)' 기술을 통해 B2B 맞춤형 AI 에이전트 구현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이날 행사에서 와이즈넛이 공개한 AI 에이전트 플랫폼은 ▲추론(Reasoning) ▲핵심 지능(Core Intelligence) ▲그래프 서치(Graph Search) 등 다양한 고객 업무 시스템을 자동화하는 핵심 기술을 탑재했다. 강 대표는 "상반기 중 출시를 앞둔 AI 에이전트 플랫폼은 AI 혁신을 선도할 와이즈넛의 새로운 시작"이라면서 "25년간의 기술력과 노하우로 차별화된 AI 에이전트를 선보이겠다"고 전했다. /김대환기자 kdh@metroseoul.co.kr

2025-03-18 13:53:45 김대환 기자
기사사진
[마감시황] 코스피, 외국인·기관 매수세에 상승 전환...2610.69 마감

코스피가 외국인와 기관의 순매수에 힘입어 상승 전환하며 마감했다. 1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1.73%(44.33포인트) 상승한 2610.69에 거래를 마쳤다. 이날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0.85%(21.96포인트) 오른 2588.32으로 출발했고, 장중 상승폭을 확대했다. 코스피 시장에서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6169억원, 4954억원을 순매수했다. 개인은 1억1811억원어치를 순매도했다. 업종별로는 전기전자(3.04%), 운송장비·부품(2.69%), 제조(2.08%) 등이 올랐고, 기계·장비(-1.12%), 화학(-0.52%), 전기·가스(-0.28%) 등은 내렸다. 코스피 시가총액 상위 10개 종목 중에서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6.81%), 삼성전자(5.30%), 삼성바이오로직스(1.71%) 등이 올랐다. LG에너지솔루션(-0.46%), 기아(-0.70%) 등은 내렸다. 코스닥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26%(9.25포인트) 오른 743.51으로 마감했다.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1161억원, 42억원을 순매도했다. 개인은 홀로 1239억원을 순매수했다. 코스닥 시총 상위종목에서 알테오젠(12.12%), HLB(5.00%), 리가켐바이오(4.36%) 등은 올랐다. 코오롱티슈진(-4.35%), 클래시스(-2.21%), 에코프로비엠(-1.51%) 등이 하락했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반도체 업종을 중심으로 코스피 상승 추세가 이어졌다"며 "최근 반도체 D램 가격 반등 추세로 레거시 반도체 업황의 턴어라운드 기대감이 고조되면서 전기전자 업종을 중심으로 외국인 투자자의 저점매수세가 유입됐다"고 분석했다. 한편,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오후 3시 30분 기준 전 거래일 대비 5.9원 내린 1447.9원에 거래를 마쳤다. /김대환기자 kdh@metroseoul.co.kr

2025-03-17 16:39:41 김대환 기자
기사사진
[새벽을 여는 사람들] 강병민 바라봄치과교정과의원 원장, 정밀한 진단과 세심한 치료로 교정의 본질 말하다

"환자의 만족뿐 아니라, 스스로 자부심을 느끼는 진료를 하고 싶다." 강병민 바라봄치과교정과의원 원장의 이 말은 단순한 다짐이 아니다. 오랜 시간 치의학에 몸담으며 다져온 신념의 결정체다. 치의학박사이자 치과교정과·통합치의학과 전문의인 그는 치아 교정이 단순한 미적 문제가 아니라, 건강한 치아 수명을 위한 필수 과정임을 강조한다. 강 원장은 "환자의 만족은 결국 치료 결과에 대한 신뢰에서 비롯된다"며 "환자가 자신의 구강 상태를 정확히 이해하고, 치료 과정을 함께 만들어가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말했다. ◆잘 보는 것에서 치료가 시작된다 강 원장은 지난 9년간 대학병원에서 수련하며 치의학에 대한 깊이 있는 전문성을 쌓았다. 최근 그는 자신만의 진료 철학을 담은 바라봄치과교정과의원을 개원하며 한 단계 더 성장했다. 환자가 자신의 구강 상태를 정확히 이해하고, 의사와 함께 치료 과정을 만들어가는 것이야말로 최상의 치료라는 그의 신념이 반영된 결과다. 강 원장의 진료실에서는 단순한 '치료'가 아닌 환자와의 '소통'이 흐른다. 진료실마다 최신 광학 진단 장비(Q-ray)와 대형 모니터를 설치해 환자가 자신의 치아 상태를 명확히 볼 수 있도록 했다. 단순히 증상을 설명하는 데 그치지 않고, 환자가 직접 상태를 확인하고 치료 과정을 이해하도록 함으로써 신뢰를 쌓는 것이 그의 방식이다. 강 원장은 "환자가 자신의 치아 상태를 정확히 알면 치료 과정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지고, 만족도도 높아진다"며 "단순히 설명하는 것을 넘어 환자가 치료의 주체가 되도록 돕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감염 예방 역시 강 원장이 중요하게 여기는 부분이다. 그는 감염 위험을 줄이기 위해 흡입력이 큰 건식 석션 장비를 도입했다. 또한, 치과 체어에서 나오는 모든 물을 살균수로 바꾸는 장비를 갖춰 치료 전 환자의 구강 내 세균 수를 최소화하고 있다. 강 원장은 "치료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청결"이라며 "모든 기구는 1회 사용 후 철저히 소독하고, 일회용 기구를 적극 활용해 교차 감염 위험을 최소화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치아 교정, 미관을 넘어 기능 회복까지 강 원장은 치아 교정의 중요성도 강조한다. 그는 "교정은 치아의 배열을 바로잡아 미관을 개선하는 데서 끝나지 않는다"며 "제대로 된 교합 상태를 만들어 치아의 기능을 회복시키고, 치아 수명을 연장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말했다. 이어 "청소년뿐 아니라 중장년층에서도 교정치료가 필요하다"며 "나이가 들면서 치아가 쓰러지거나 비정상적인 교합이 발생하면 주변 치아에 과부하가 걸려 수명이 짧아진다. 교정을 통해 이를 바로잡으면 치아의 수명을 늘릴 수 있다"고 덧붙였다. 강 원장은 교정치료를 통해 얻은 성취감은 환자의 반응에서 가장 잘 드러난다고 말했다. 그는 대학병원 수련 시절 치료했던 한 환자를 떠올렸다. "심한 부정교합으로 양악수술이 필요하다는 진단을 받았던 환자였는데, 교정만으로 치료해 성공했다"며 "그 환자가 저에게 '태어나서 처음 앞니로 씹을 수 있게 해준 은인'이라고 했던 말이 아직도 기억에 남는다"고 말했다. ◆성실함으로 연 의사의 길 강 원장은 어릴 때부터 의사가 되고 싶었다고 말한다. 아픈 사람을 고쳐주고, 그로 인해 고마움을 받는 존재가 되고 싶다는 순수한 꿈이었다. 그는 "항상 누군가에게 의미 있는 존재가 되고 싶었다. 의사는 그런 의미에서 제가 가장 선망했던 직업이었다"고 회상했다. 처음에는 의대를 목표로 했지만, 수능 성적이 다소 아쉬워 고려대학교 건축학부에 진학했다. 그러나 마음 한편에는 여전히 의사가 되고 싶다는 열망이 남아 있었다. 결국 한 학기 만에 휴학계를 내고 다시 수능 공부를 시작했다. 이번에는 의대와 치대를 모두 선택할 수 있는 성적을 얻었다. 강 원장이 고민 끝에 치과대학을 택한 데는 몇 가지 이유가 있었다. 그는 "당시 전국에 치과대학이 4개밖에 없었고, 경쟁률이 높아 치대 진학이 더 어렵다고 생각했다"며 "어려서부터 충치가 많아 치과에 자주 다녔고, 손기술에 자신이 있었던 점도 치과의사가 적성에 맞을 것 같다는 판단에 영향을 줬다"고 말했다. 강 원장은 치과대학 입학 후 성실함과 꾸준함으로 차석 졸업이라는 성과를 냈다. 졸업 후에도 배움의 한계를 느낀 그는 일반 치과의사가 아닌 전문의를 선택했다. 치과교정과 전문의 과정을 거친 뒤 통합치의학과 전문의 자격까지 취득했다. 동시에 학문적 깊이를 더하기 위해 대학원에서 석·박사 과정을 밟으며 치의학박사 학위까지 취득했다. ◆최고의 치료를 위한 다짐 강 원장은 전문의 취득 후 봉직의(병원에 고용되어 월급을 받으며 일하는 의사)로 활동하며 풍부한 임상 경험을 쌓았다. 그러나 점차 자신만의 진료 스타일에 대한 갈증이 커졌다. 그는 "치과마다 진료 방식이 달라 봉직의로서는 제 방식대로 진료하기가 어려웠다"며 "제 철학을 온전히 실현하려면 결국 개원을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말했다. 그렇게 탄생한 바라봄치과교정과의원에는 강 원장의 진료 철학이 곳곳에 스며 있다. 그는 "진단의 시작은 정확히 보는 데서 출발한다. 환자도 자신의 상태를 정확히 알아야 치료 필요성을 인식하고 결과에 만족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최신 광학 진단 장비와 대형 모니터를 통해 환자가 자신의 상태를 직접 보고 이해할 수 있도록 한 것도 이 같은 철학의 연장선이다. 강 원장은 환자의 만족뿐 아니라 자신이 자부심을 느낄 수 있는 진료가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그는 "치과 치료는 의사의 손길이 직접 닿는 과정이 많다. 시간과 정성을 들인 만큼 결과가 달라지기 때문에 빠른 치료보다 최상의 치료 결과를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같은 철학은 환자들 사이에서 신뢰로 이어지고 있다. 특히 동료 치과의사나 치과 직원들이 치료를 맡길 때는 더욱 보람을 느낀다고 했다. 강 원장은 "제가 설명하지 않아도 동료 치과의사나 직원들이 저에게 치료를 맡길 때는 제 실력을 인정받은 기분이 든다"고 말했다. 강 원장은 환자의 아픔에 공감하고, 고통을 덜어주는 것이 자신이 걸어가야 할 길임을 거듭 강조했다. 그는 "환자들이 건강한 미소를 되찾는 순간이 제가 가장 보람을 느끼는 때"라며 "앞으로도 초심을 잃지 않고 환자와 함께 성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강 원장의 눈빛에는 환자를 향한 진심과 치의학에 대한 사명감이 선명하게 빛나고 있었다. 그는 "언제나 환자의 입장에서 생각하고, 최선의 치료로 보답하겠다"며 "환자가 만족하고 믿음을 주는 치과를 만드는 것이 저의 꿈"이라고 힘주어 말했다. 환자의 건강한 웃음이 자신의 가장 큰 보상이자 원동력임을 잊지 않겠다는 강 원장. 그의 담담한 목소리에서는 흔들림 없는 확신과 진심이 묻어났다.

2025-03-16 08:17:26 김대환 기자
기사사진
[코스닥 CEO 인터뷰] 김창균 누보 대표 “글로벌 농업 시장서 새로운 길 개척할 것”

"농업의 세계화, 농업으로 세상의 미래를 열겠다." 기술 기반 농업 전문 기업 누보가 국내외 비료 시장에서 혁신을 주도하고 있다. 김창균 누보 대표는 인터뷰에서 회사의 비전과 성장 전략, 차별화된 경쟁력에 대해 자신감을 드러냈다. 그는 "기술을 기반으로 새로운 유형의 비료를 개발해 국내외 시장에서 성장을 이어가고 있다"며 "글로벌 농업 시장에서 확실한 성과를 만들어가겠다"고 밝혔다. ◆기술로 혁신 일으켜 누보는 '글로벌을 향하는 기술 기반 농업 전문 기업'을 모토로 성장해왔다. 김 대표는 농업을 전공한 뒤 농업회사에서 일하면서 비료 산업의 비효율적인 구조에 주목했다. 그는 "비료 사용은 농업 생산성 향상에 필수적이지만, 기존 속효성 화학비료는 지속성이 낮고 노동집약적인 구조였다"며 "기술을 통해 생산성과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고 판단해 누보를 설립했다"고 설명했다. 누보는 용출 제어형 코팅 비료(Controlled Release Fertilizer, CRF) 제조 기술과 발포 확산형 비료 제조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김 대표는 "비료 원료에 코팅 기술을 적용해 용출 속도를 최대 360일까지 조절할 수 있다"며 "비료의 효과를 극대화하고 노동력과 자원 소모를 줄일 수 있다"고 말했다. 이러한 기술력은 누보가 국내 비료 시장에서 빠르게 자리 잡는 기반이 됐다. ◆사업 다각화로 안정적인 성장 구조 구축 누보는 ▲국내 농업 ▲해외 사업 ▲골프장 및 조경 사업 ▲가정원예 사업 등으로 사업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하고 있다. 국내 농업 부문에서는 기능성 코팅비료와 유기농업 자재를 제조·판매하고 있으며, 해외 사업 부문에서는 고기능성 코팅비료와 농식품 제품을 30개국 이상에 수출하고 있다. 골프장 및 조경 사업에서는 골프장 전용 자재 생산 및 유통, 골프장 코스 관리 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가정원예 부문에서는 브랜드 '닥터조'를 필두로 가정용 식물 영양제를 선보이며 시장 점유율을 확대하고 있다. 김 대표는 누보의 핵심 경쟁력은 연구개발(R&D)에서 나온다고 강조했다. 그는 "기술력이 곧 경쟁력"이라며 "단순히 원료를 혼합해 제공하는 기존 비료와 달리, 용출 속도를 조절하는 기술을 통해 노동력 절감과 비료 이용 효율을 극대화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친환경 비료 개발로 미래 농업 선도 현재 누보는 생분해 수지를 적용한 완효성 코팅 비료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기존의 플라스틱 코팅 비료는 사용 후 잔여물이 남는 문제가 있었지만, 누보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생분해 코팅 소재를 적용한 비료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김 대표는 "생분해 코팅 비료는 환경오염 문제까지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이라며 "효율적인 개발 및 빠른 사업화를 위해 SK리비오와 협업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김 대표는 올해를 '주주 및 투자자와의 소통 강화의 해'로 삼고 있다. 그는 "주주와의 소통 강화를 위해 홈페이지에 소통 채널을 마련했고, 증권사 및 투자 기관에서 주관하는 IR 행사에도 적극 참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어 "전 세계 인구는 80억 명을 넘어 계속 증가하고 있으며, 여전히 식량 위기를 겪고 있는 국가들이 많다"며 "누보는 현재 30개국 이상에 수출하고 있으며 앞으로 더 많은 글로벌 시장을 개척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2025-03-16 07:49:19 김대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