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김대환
기사사진
[특징주] 휴젤, 올해 상반기 톡신 미국 수출 예정...강세 이어져

휴젤은 올해 2분기부터 미국향 톡신 선적이 시작되면서 전사 수출 증가가 예상돼 장에서 강세를 이어가고 있다. 5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오전 10시 35분 기준 휴젤은 전 거래일 대비 2.24%(7000원) 오른 31만9000원에 거래되고 있다. 주가는 장 초반 전 거래일 대비 3.84%(1만3000원) 상승한 32만5000원으로 출발해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 휴젤의 지난해 연결 매출액은 3730억원, 영업이익은 1663억원으로, 전년 대비 각 16.7%, 41.2% 증가했다. 올해에는 매출이 22.2% 성장한 4560억원, 영업이익은 33.3% 증가한 2215억원으로 전망된다. 휴젤은 톡신의 미국 수출을 통해 2025년 수출 증가 폭이 더욱 확대될 전망이다. 상반기에는 미국 파트너사 베네브(Benev)를 통해 미국 시장에 정식 런칭할 예정이다. 또한, 미국 식품의약국(FDA) 승인으로 브랜드 이미지가 개선되면서 글로벌 톡신 수출이 한층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필러 매출도 수출을 중심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해 필러 매출은 8.3% 증가한 1276억원을 기록했으며, 이는 국내 매출이 정체된 가운데 수출이 13.3% 성장한 결과다. 하태기 상상인증권 연구원은 "올해부터는 톡신과의 영업 시너지 효과로 필러 수출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며 "톡신에 대한 FDA 품목 승인에 따라 선진국에서 톡신·필러에 대한 영업시너지 발생을 예상할 수 있다. 휴젤의 필러 수출 성장 잠재력도 크게 확대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2025-03-05 14:18:38 김대환 기자
기사사진
서학개미, 2월 美 채권 순매수 증가...미국 경기 불안 원인?

최근 미국 증시의 변동성이 커지면서 국내 투자자(서학개미)들의 미국 채권 매입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미국 장기채권과 우량채권에 투자하는 상장지수펀드(ETF)에 자금이 몰리면서 안전자산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5일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지난달 서학개미들은 미국 채권을 12억7641만 달러 규모로 순매수했으며, 총 매수 건수는 1748건으로 집계됐다. 이는 1월(7억513만 달러) 대비 순매수 금액이 1.8배 증가한 수치이며, 총 매수 건수도 168건 늘었다. 이러한 증가세는 금리 인하 기대감 속에서 미국 채권을 선제적으로 매입한 투자자들이 많아졌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미국 장기채권 ETF와 우량채 ETF를 통한 간접 투자 수요도 증가하는 추세다. ETF체크에 따르면, 지난달 TIGER 종합채권(AA-이상) 액티브 ETF에 2191억원의 자금이 유입됐다. 또한, TIGER 미국 30년 국채 커버드콜 액티브(H)에는 464억원, ACE 미국 30년 국채 액티브(H)에는 315억원의 자금이 들어왔다. 이는 미국 장기채에 대한 투자 매력이 커지면서 안정적인 수익을 기대하는 투자자들의 관심이 높아진 결과로 분석된다. 업계에서는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 강행과 경기 심리 위축 등으로 경기 둔화 우려가 부각되면서 채권 시장이 강세를 보인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실제로 미국채 금리는 지난달 들어 10년물 기준 4.2%까지 하락하며 경기 둔화 우려를 점차 반영하는 흐름을 보이고 있다. 1월 FOMC 의사록에서 제기된 일시적 양적긴축(QT) 중단 가능성과 지난달 초 발표된 분기 차입계획 등이 기간 프리미엄(term premium)의 상방 압력을 약화시키며 금리 하락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전문가들은 관세 부과로 인한 경기 하방 요인이 부각되는 가운데, 결국 물가가 중요한 변수라고 강조하고 있다. 지난달 주요 지역 연방준비은행에서 발표한 기대 인플레이션 수치들이 대부분 상승세를 보였는데, 기대 인플레가 추가로 상승할지 아니면 다시 하락할지 여부가 시장 금리에 중요한 변곡점을 제공할 것으로 예상된다. 안예하 키움증권 선임연구원은 "미국채 금리가 지난달 중 하락한 배경에는 관세 부과 조치로 인한 경기 하강 우려도 있지만, 기간 프리미엄 상승 압력이 완화된 점도 큰 역할을 했다"며 "트럼프 1기 정부 당시 기대 물가가 최근처럼 가파르게 상승했던 경험이 없다는 점을 고려할 때, 현재의 기대 인플레가 실제 물가 상방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전했다.

2025-03-05 14:04:55 김대환 기자
기사사진
[마감시황] 코스피, 관세 우려 선방에도 3거래일 연속 하락...2528.92 마감

코스피가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우려에 비교적 선방하는 모습을 보인 가운데 외국인·기관 순매도가 이어지며 하락 마감했다. 4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0.15%(3.86포인트) 하락한 2528.92에 거래를 마쳤다. 이날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0.41%(10.58포인트) 내린 2522.20으로 출발했고, 장중 낙폭을 줄이며 마감했다. 코스피 시장에서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1924억원, 1475억원을 순매도했다. 개인은 2066억원어치를 순매수했다. 업종별로는 운송장비·부품(5.17%), 운송·창고(2.01%), 일반서비스(0.96%) 등이 올랐고, 의료·정밀기기(-3.25%), 오락·문화(-1.96%), 화학(-1.89%) 등은 내렸다. 코스피 시가총액 상위 10개 종목 중에서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18.01%), 삼성바이오로직스(0.36%), 기아(0.11%) 등이 올랐다. LG에너지솔루션(-5.68%), SK하이닉스(-2.16%), 현대차(-1.40%) 등은 내렸다. 코스닥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0.81%(6.06포인트) 내린 737.90으로 마감했다. 개인과 기관은 각각 367억원, 12억원을 순매도했다. 외국인은 홀로 424억원을 순매수했다. 코스닥 시총 상위종목에서는 마파리서치(7.56%), 리가켐바이오(3.55%), 알테오젠(3.36%) 등은 올랐다. 클래시스(-9.35%), 에코프로(-6.59%), 에코프로비엠(-5.97%) 등이 하락했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국내증시는 관세 우려에 비교적 선방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는데, 이는 지난 금요일에 관세 현실화 우려가 선반영 됐기 때문이다"며 "미국 3대지수와 일본증시 등 대부분 금요일~월요일의 상승분을 도로 반납하는 선에서 하락폭이 형성됐다"고 분석했다. 한편,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오후 3시 30분 기준 전 거래일 대비 1.6원 오른 1461.8원에 거래를 마쳤다. /김대환기자 kdh@metroseoul.co.kr

2025-03-04 16:30:41 김대환 기자
기사사진
서학개미, 반도체 레버리지 '3배 베팅'...주가 급락한 테슬라 줍줍 행렬

최근 미국 증시의 변동성이 커지면서 국내 투자자(서학개미)들이 고배율 레버리지 상품에 적극적으로 투자하고 있다. 특히, 하락세를 보이는 테슬라에 대한 매수세가 지속되며, 향후 반등을 기대하는 움직임이 두드러지고 있다. 4일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지난달 24일부터 28일까지 서학개미들이 가장 많이 순매수한 상품은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의 하루 수익률을 반대로 3배 추종하는 '디렉시온 데일리 세미컨덕터 베어 3배 ETF(SOXS)'로, 그 규모는 2억9499만 달러(4306억8540만원)에 달했다. 이는 반도체 업종의 단기 하락을 예상한 투자자들이 적극적으로 베팅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외에도 테슬라의 하루 주가 변동을 2배로 추종하는 '디렉시온 데일리 테슬라 불 2배 ETF(TSLL)'에 2억285만 달러(3336억1000만원)가 유입되며 두 번째로 많이 순매수된 상품이 됐다. 개별 주식으로도 테슬라는 1억2905만 달러(1884억1300만원) 순매수를 기록하며, 외국 종목 중 국내 투자자들이 가장 많이 사들인 주식 3위에 올랐다. 테슬라 주가는 전날 기준 284.65달러(41만5589원)로, 2주 전인 지난달 19일(360.56달러) 대비 21.06%(75.94달러) 하락했다. 지난달 26일에는 지난해 11월 7일 이후 처음으로 300달러 선이 붕괴됐다. 테슬라의 주가 하락의 주요 원인으로는 4분기 실적 부진이 꼽힌다. 유럽 시장에서 전기차 등록 대수가 전년 동기 대비 45% 감소한 9945대로 집계되며 판매 부진이 두드러졌다. 또한, 중국 전기차 제조사인 비야디(BYD) 등 경쟁 업체들의 성장이 테슬라의 시장 점유율에 압박을 가한 것도 주가 하락의 원인으로 작용했다. BYD는 비용 효율성과 정부 지원을 바탕으로 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내며, 테슬라의 판매 감소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증권업계는 변동성이 큰 시장에서 서학개미들이 레버리지를 활용해 적극적으로 수익을 노리고 있다고 분석했다. 특히, 테슬라 주가가 하락했음에도 불구하고 국내 투자자들은 향후 반등을 기대하며 적극적으로 매수에 나서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미국 기업들의 실적 개선이 이어지고 있어 시장 상승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이승혁 키움증권 연구원은 "올해 2분기 말까지는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정책 불확실성이 증시에 하방 압력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고, 밸류에이션 부담이 가중된 기술주를 중심으로 낙폭이 두드러질 수 있다"면서도 "오는 5월 이후 본격적인 실무가 시작되면서 정책이 현실과 타협하게 되면, 이에 따른 증시 하락 압력은 점차 완화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했다.

2025-03-04 14:13:41 김대환 기자
기사사진
셀트리온, 주주환원 기대에 주가 상승 가능성↑

셀트리온은 고마진 신제품의 매출 증가와 재고 소진에 따른 원가율 개선 효과로 올해 이익 성장이 기대되며, 증권사들로부터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 3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달 28일 기준 셀트리온의 주가는 18만4000원으로 마감하며 2월 초(17만6000원) 대비 약 4.54%(8000원) 상승했다. 이는 상반기 실적 기저효과, 하반기 신제품 매출 확대, 셀트리온바이오솔루션스의 공장 부지 선정 및 착공 소식이 투자 심리를 개선하면서 주가 상승을 이끈 것으로 분석된다. 셀트리온의 지난해 연결 매출은 3조5573억 원으로 전년 대비 63.4% 증가했지만, 영업이익은 4920억원으로 24.5% 감소했다. 지난해 4분기 연결 매출은 1조637억원으로 전년 대비 178% 증가했으며, 영업이익은 1964억원으로 966% 급증했다. 사업별로는 바이오의약품 부문에서 램시마, 트룩시마, 허쥬마 등 기존 제품의 안정적인 성장과 램시마SC(짐펜트라), 유플라이마, 베그젤마 등 신규 제품의 매출 확대가 이어지며 전년 대비 57.7% 증가한 3조1085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특히, 램시마는 정맥주사(IV) 제형만으로도 처음으로 연 매출 1조원을 돌파했다. 시장조사기관 아이큐비아(IQVIA)에 따르면, 램시마의 유럽 시장 점유율은 지난해 3분기 기준 62%에 달하며, 램시마SC를 포함하면 영국 88.8%, 프랑스 80%, 스페인 75.8%, 독일 73.8% 등 주요 국가에서 압도적인 점유율을 기록했다. 증권사들은 올해 하반기부터 스테키마, 짐펜트라, 인플렉트라 등 번들링이 가능한 제품이 늘어나면서 보험사(PBM)와의 협상력이 강화될 것으로 예상한다. 본격적인 매출 성장 탄력은 출시 3년 차인 2026년부터 본격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허혜민 키움증권 연구원은 "미국 관세 영향은 올해 판매할 물량 대부분을 미리 공급했기 때문에 제한적일 것"이라면서 "원료(DS)는 국내에서 생산하고 완제(DP)는 미국 현지에서 생산하는 방식으로 관세 영향을 최소화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CDMO 자회사 셀트리온바이오솔루션스의 공장 부지 선정이 조만간 결정되면, 올해 중 착공이 시작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미국 공장 건설은 장기적으로 비용과 수익성을 고려해야 할 요소지만, 현재 시장에서는 단기적으로 관세 불확실성 해소를 더 중요한 요인으로 보고 있다"고 덧붙였다. 셀트리온은 지난해 합병 비용과 높은 원가율로 인해 수익성에 부담이 있었으나, 올해 들어 원가율이 점차 개선되고 있다. 지난해 허쥬마의 무형자산 상각이 종료됐으며, 올해 3분기에는 램시마의 상각도 종료될 예정이다. 또한, 자사주 소각이나 잉여금의 자본금 전환을 통한 비과세 배당 등 추가적인 주주 환원 정책도 검토 중이다.

2025-03-03 09:00:44 김대환 기자
기사사진
[마감시황] 코스피, 관세·엔비디아 여파로 3% 넘게 하락...2532.78 마감

코스피는 엔비디아 하락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추가 관세 발언 영향으로 외국인·기관 순매도가 이어지며 하락 마감했다. 28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3.39%(88.97포인트) 하락한 2532.78에 거래를 마쳤다. 이날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1.37%(36.14포인트) 내린 2585.61로 출발했고, 장중 하락폭을 키웠다. 코스피 시장에서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1조5533억원, 6159억원을 순매도했다. 개인은 2조326억원어치를 순매수했다. 업종별로 전기·가스(-6.78%)가 가장 크게 하락했으며, 기계·장비(-4.73%), 전기전자(-4.00%), 화학(-3.80%), 제조(-3.67%) 등 전 업종이 일제히 하락했다. 코스피 시가총액 상위 10개 종목 중에서는 셀트리온(0.71%)만 올랐다. NAVER(-5.48%), LG에너지솔루션(-4.99%), SK하이닉스(-4.52%), 현대차(-3.74%) 등은 내렸다. 코스닥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3.49%(26.89포인트) 내린 743.96으로 마감했다.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2837억원, 1236억원을 순매도했다. 개인은 홀로 4088억원을 순매수했다. 코스닥 시총 상위 종목이 모두 하락했다. 레인보우로보틱스(-12.74%)가 가장 큰 하락률을 기록했고, 에코프로비엠(-11.19%), 클래시스(-8.68%), 에코프로(-5.61%), 리노공업(-5.01%) 등이 뒤를 이었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미국의 예고된 관세 부과 시기가 한순간에 다음주 화요일로 앞당겨지면서 관세전쟁 현실화 우려가 급격히 확산했다"며 "국가간 협상이 타결될 가능성 또한 배제할 수 없으나, 시장은 당장의 불확실성 회피 심리가 우세하게 반영됐다"고 분석했다. 한편,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오후 3시 30분 기준 전 거래일 대비 20.4원 오른 1463.4원에 거래를 마쳤다. /김대환기자 kdh@metroseoul.co.kr

2025-02-28 16:12:53 김대환 기자
기사사진
다올투자증권, 1주당 150원 배당·임재택 대표이사 후보 추천

다올투자증권이 28일 이사회를 열고 보통주 150원 배당과 임재택 현 한양증권 대표이사의 사내이사 선임안을 주주총회 안건으로 상정했다고 밝혔다. 다올투자증권은 지난해 중소증권사에게 우호적이지 않은 시장환경이 지속되면서 수익확대에 어려움을 겪었으나, 주주환원 및 배당정책 유지를 통한 신뢰성 제고를 위해 배당을 결정했다. 보통주는 1주당 150원 현금배당하며, 배당기준일은 내달 17일이다. 이사회에 앞서 열린 임원후보추천위원회에서는 현 한양증권 임재택 대표이사를 신임 대표이사 후보로 추천했고, 이사회에서 사내이사 선임안을 주주총최 안건으로 상정했다. 임재택 대표는 서울대 경영학과, 서울대 경영대학원을 졸업하고, 1987년 쌍용투자증권(현 신한투자증권)을 시작으로 금융투자업에 입문했다. 신한투자증권 마케팅본부장, 아이엠투자증권 대표 등을 역임한 임 대표는 2018년부터 현재까지 한양증권 대표이사를 맡고 있다. 다올투자증권은 신규 사내이사 감사위원으로 금융채권자조정위원회 서규영 사무국장을 선임하기로 했다. 서 국장은 고려대 법학과, 동 대학원 법학 박사 출신으로 금융감독원 인적자원개발실 국장, 금융교육국 교수 등을 역임했다. 이사회를 통해 상정된 안건은 내달 21일 예정된 정기주주총회에서 결정된다. /김대환기자 kdh@metroseoul.co.kr

2025-02-28 15:47:39 김대환 기자
기사사진
[마감시황] 코스피, 외국인·기관 매도로 하락 전환...2621.75 마감

코스피가 배당락을 하루 앞둔 가운데, 외국인과 기관의 순매도로 하락 마감했다. 2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0.73%(19.34포인트) 하락한 2621.75에 거래를 마쳤다. 이날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0.13%(3.46포인트) 내린 2637.63으로 출발했고, 장중 하락폭을 키웠다. 코스피 시장에서 기관과 외국인은 각각 2779억원, 2378억원을 순매도했다. 개인은 4827억원어치를 순매수했다. 업종별로는 오락·문화(2.31%), 섬유·의류(0.75%), 유통(0.71%) 등이 올랐고, 의료·정밀기기(-2.39%), 기계·장비(-1.78%), 통신(-1.71%) 등은 내렸다. 코스피 시가총액 상위 10개 종목 중에서는 기아(0.53%)만 올랐다. NAVER(-5.40%), 현대차(-2.20%), SK하이닉스(-1.87%), 삼성전자(-0.53%) 등은 내렸다. 코스닥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0.07%(0.56포인트) 내린 770.85로 마감했다.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544억원, 264억원을 순매도했다. 개인은 홀로 843억원을 순매수했다. 코스닥 시총 상위종목에서는 클래시스(19.14%), HLB(9.34%), 알테오젠(2.03%) 등은 올랐다. 에코프로비엠(-3.32%), 에코프로(-1.93%), 리가켐바이오(-1.67%) 등이 하락했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오는 28일 발표되는 PCE 물가를 앞두고 경계감 유입될 수 있는 가운데, 관세로 인한 인플레이션 우려는 물가 확인 이후 당분간 점차 완화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분석했다. 한편,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오후 3시 30분 기준 전 거래일 대비 9.1원 오른 1442.2원에 거래를 마쳤다. /김대환기자 kdh@metroseoul.co.kr

2025-02-27 16:13:42 김대환 기자
기사사진
국내 증시 반등에도 ‘빚투’ 증가...반대매매 우려도 커져

'빚투(빚내서 투자)'가 증가추세다. 27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코스피·코스닥 시장의 신용거래 융자 잔고(지난 25일 기준)는 17조9459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12월 말에 기록된 15조8170억원 대비 13.45%(2조1289억원) 증가한 것으로, 올해 들어 가장 높은 수준이다. 특히, 투자자들이 증권사에서 돈을 빌려 주식을 매수하는 신용거래 융자 잔고는 올해 들어 코스피와 코스닥 시장 모두에서 크게 증가했다. 코스피 시장에서는 신용거래 융자 잔고가 올해 들어 1조614억원 증가했다. 같은 기간 코스닥 시장에서도 신용거래 융자 잔고가 1조2022억원 늘어났다. 증권업계에서는 신용거래 융자 잔고가 증가한 원인에 대해 국내 증시 상승에 대한 기대감이 커진 것이 주요 요인이라고 분석하고 있다. 투자자들은 주가가 오를 것으로 예상하면서 대출을 활용해 적극적으로 주식을 매수하고 있는 것. 실제로 특정 종목에 대한 투기적 수요가 증가하면서 신용거래 융자 잔고도 함께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들어 코스피와 코스닥에서 상승률 상위 10위 안에 든 종목 중에는 트럼프 수혜주로 꼽히는 로봇 및 바이오 관련 주식이 포함됐다. 시장에서는 국내 증시가 단기 급락할 가능성은 낮지만, 신용거래 증가로 인해 변동성이 커질 수 있다고 분석하고 있다. 변준호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내달 탄핵 인용 여부가 결정되면 정치적 불확실성이 완화될 가능성이 높고, 조기 대선이 결정될 경우 신정부 정책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될 수 있다"며 "단기적인 조정 가능성은 존재하지만, 이를 저가 매수의 기회로 보는 긍정적인 시장 전망을 유지하고 있다"고 전했다.

2025-02-27 14:27:23 김대환 기자
기사사진
하나증권, ‘2025 해외파생 실전투자대회’ 개최

하나증권은 '2025 해외파생 실전투자 대회'를 개최한다고 27일 밝혔다. '2025 해외파생 실전투자 대회'는 오는 11월 말까지 3개의 시즌으로 나눠 진행된다. 첫 대회는 '트레이더의 탄생과 성장'이라는 주제로 내달 3일부터 5월 30일까지 진행되며 참가자 각자 수익률로 경쟁한다. 두번째 시즌은 6월 2일부터 8월 29일까지 진행하며, '팀 결성과 기술의 융합, AI와의 공존'이라는 주제로 팀 대회로 진행한다. 마지막 시즌은 '인간과 AI의 대결, AI의 위협'라는 주제로 9월 1일부터 11월 28일까지 알고리즘(AI)과 수익률 경쟁을 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이번 대회는 하나증권에 해외파생상품 계좌를 보유한 손님은 누구나 참가할 수 있다. 참가를 희망하는 손님은 하나증권 홈페이지에서 마케팅 이용 동의 후 하나증권 홈 트레이딩 시스템(HTS)과 '1Q 해외파생'과 모바일트레이딩 시스템(MTS) '1Q 파생'에서 대회 마지막 날 전날까지만 신청하면 된다. 남택민 하나증권 PWM본부장 "이번 실전투자대회는 단순한 수익률 대회가 아닌 시즌 별 다양한 요소들을 복합적으로 넣어 승부에 재미를 가미했다"며 "하나증권은 다양한 프로그램을 마련해 새로운 투자 문화를 만드는데 앞장서겠다"고 전했다. /김대환기자 kdh@metroseoul.co.kr

2025-02-27 10:46:18 김대환 기자
기사사진
[마감시황] 코스피, 기관 매수 힘입어 반등...2641.09 마감

코스피가 미국증시가 부진한 흐름 지속되는 가운데, 기관의 순매도에 힘입어 상승 마감했다. 26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0.41%(10.80포인트) 상승한 2641.09에 거래를 마쳤다. 이날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0.02%(0.43포인트) 내린 2629.86으로 출발했으나, 장중 하락폭을 만회하고 반등에 성공하며 마감했다. 코스피 시장에서 개인과 외국인은 각각 187억원, 3223억원을 순매도했다. 기관은 2385억원어치를 순매수했다. 업종별로는 IT서비스(2.43%), 제약(2.07%), 전기·가스(1.63%) 등이 올랐고, 운송·창고(-0.98%), 유통(-0.94%), 의료·정밀기기(-0.82%) 등은 내렸다. 코스피 시가총액 상위 10개 종목 중에서는 셀트리온(8.73%), NAVER(1.31%), SK하이닉스(1.25%) 등은 올랐다. 삼성전자(-1.05%), 삼성바이오로직스(-0.85%) 등은 내렸다. 코스닥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0.26%(1.98포인트) 오른 771.41로 마감했다.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716억원, 362억원을 순매도했다. 개인은 홀로 1184억원을 순매수했다. 코스닥 시총 상위종목에서는 에코프로(4.74%), 에코프로비엠(4.13%), 삼천당제약(5.35%), 휴젤(2.21%) 등은 올랐다. 삼천당제약(-3.35%), HLB(-3.53%), 레인보우로보틱스(-0.13%) 등이 하락했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아시아 증시가 혼조세 나타나고 있으나, 미국발 불안에 대한 민감도는 점차 약화되고 있다"며 "코스피는 보합권에서 업종 순환매가 진행 중이다. 그동안 강했던 조선, 방산, 기계 업종은 쉬어가는 한편 이차전지 소재, 인터넷, 의약품 등 업종으로 수급이 이동하는 모습을 보였다"고 분석했다. 한편,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오후 3시 30분 기준 전 거래일 대비 2.7원 오른 1433.1원에 거래를 마쳤다. /김대환기자 kdh@metroseoul.co.kr

2025-02-26 16:34:23 김대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