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IPO 시장 훈풍…국내 개미가 투자하려면?
태양광 장비업체 넥스트래커(Nextracker)가 화려하게 미국 증시에 상장하며, 미국 기업공개(IPO) 시장이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는 진단이 나왔다. 국내 증권사들은 선제적으로 미국 IPO 공모주 청약 대행 서비스를 출시하는 등 서학개미(해외주식에 직접 투자하는 국내 투자자) 고객 선점에 나섰다. ◆넥스트래커, 흥행 성공…美 IPO 한파 걷히나 13일 뉴욕증권거래소(NYSE)에 따르면 지난 9일(현지시간) 나스닥 시장에 상장한 넥스트래커는 공모가 대비 약 27% 급등한 31.01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넥스트래커가 이번 상장을 통해 조달한 자금은 6억3800만달러에 달한다. 이는 예상 공모액(5억3500만달러)을 웃도는 수치로, 올해 뉴욕 증시에 상장한 기업들 중 최고 실적이다. 또 지난해 10월 진행된 인텔의 자율주행 관련 기업 모빌아이의 9억9000만달러 규모 IPO 이후 미국 최대 규모다. 전문가들은 넥스트래커가 흥행에 성공하면서 올해 IPO 시장의 한파가 걷히기 시작했다고 분석했다. 블룸버그 통신은 넥스트래커가 지난해 사상 최악의 불황이었던 IPO 시장에서 새로운 성공 사례를 만들었다고 설명했다. 최근 미국 IPO 시장은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인플레이션 둔화 흐름과 긴축 종료 기대감이 커지면서 증시가 상승세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올해 들어 미국 증시에서는 총 13개 기업이 13억달러의 자금을 조달했다. 앞서 2021년에는 총 397개 기업이 1424억달러를, 2022년에는 총 71개 기업이 77억달러를 모았다. 특히 지난해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급격하게 금리를 올리는 등 매파적인 움직임을 보이면서 신규 상장이 자연스레 줄어들며, IPO 시장은 20년 만에 최대 불황을 맞은 바 있다. ◆ "미국 공모시장은 국내의 13배 규모" 국내 증권사들은 선제적으로 미국 IPO 공모주 청약 대행 서비스를 출시했다. 유안타증권이 업계 최초로 지난해 8월 해당 서비스를 출시했으며, 이어 NH투자증권도 11월부터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국내 투자자가 직접 미국 기업의 공모주 청약에 참여하기가 사실상 불가능했으나, 현지 IPO 중개회사를 통해 국내 증권사가 청약 관련 업무를 대행해주는 서비스다. 유안타증권과 NH투자증권이 선보인 미국 IPO 공모주 중개 서비스는 같은 구조다. NH투자증권은 뉴욕증권거래소, 나스닥, 아멕스 등 미국 주요 거래소에 상장 예정인 공모주를 대상으로 한다. 서비스를 원하는 고객은 모바일트레이딩시스템(MTS)에서 이용등록을 신청한 후 공모주 청약 신청을 진행할 수 있다. 신청 기간은 청약 시작일부터 상장일 1영업일 전날(오전 8시~오후 5시)까지이며, 종목별로 조기 마감될 수 있다. 청약 수수료는 0.5%이나, 오는 5월 말까지 수수료 무료 이벤트를 진행 중이다. 청약단위는 최소 100달러에서 5만달러까지 가능하다. 공모주 배정은 경쟁률 배분이 아닌 미국 현지 중개회사의 자체 배분방식에 따라 결정된다. 배정주식은 상장 후 3영업일부터 매도할 수 있다. 이승아 NH투자증권 상품솔루션본부장은 "미국 공모시장은 국내의 13배 규모"라며 "이번 서비스 출시로 당사 고객들이 미국 현지와 동일수준의 공모주 청약플랫폼을 이용할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 유안타증권은 상장일 당일에도 자유롭게 매도가 가능하도록 서비스를 개선했다. 투자 편의성을 높이고, 투자자들이 시세 변동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했다는 설명이다. 단, 배정된 주식이 계좌에 입고되는 상장 후 3영업일까지는 매도 이외에 출고 등은 불가능하다. 유안타증권의 미국 IPO 공모주 청약 대행 수수료는 0.5%이며, 중개 신청 가능 시간은 10시부터 17시까지다. 청약단위는 5만달러까지다. 전진호 유안타증권 디지털솔루션본부장은 "청약 대행 서비스를 통해 배정받은 주식의 상장일 매도가 가능해지는 등 투자 편의성을 높이고 한층 더 안정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됐다"며 "서비스 개선을 통해 신속한 투자 대응이 가능해진 만큼 미국주식 공모시장으로도 관심을 확대해 새로운 투자처로 활용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한 증권사 관계자는 "서비스 출시 시점을 감안했을 때 아직까지 누적 거래금액이 많은 편은 아니다"라며 "다만, 미국 시장이 우리나라보다 큰 규모임을 감안할 때 고객 니즈가 충분한 서비스"라고 말했다. /박미경기자 mikyung96@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