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시대 선도 SK그룹, 이천포럼서 글로벌 전략 모색
SK그룹이 본격적으로 인공지능(AI) 드라이브를 건다. SK그룹은 최태원 SK 회장을 비롯해 최재원 수석부회장, 최창원 SK수펙스추구협의회 의장 등 주요 인사들이 참석한 가운데, AI로 급변하는 산업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관련 업계의 주요 대표자들과 세계적인 석학들이 한자리에 모여 미래 전략을 논의했다. SK그룹이 19일 서울 광진구 워커힐 호텔에서 '이천포럼 2024'을 열고 AI 생태계 확장 및 SKMS 정신 내재화 방안 등을 모색했다. 이천포럼은 2017년 최태원 회장이 급변하는 경영 환경에 대비하기 위해 제안한 지식 플랫폼으로 시작됐다. 세계적인 석학과 전문가들이 모여 글로벌 경제 트렌드와 혁신 기술에 대해 논의하는 자리로 자리매김했다. 포럼은 21일까지 진행되며 첫날인 19일에는 SK의 AI 전략에 관한 내용을 중점으로, 20일에는 SKMS 정신 내재화 및 고도화를, 21일에는 최태원 회장이 구성원들과 함께 포럼 성과를 돌아보고 AI와 SKMS 실천 일상화를 위한 지혜를 모으는 시간으로 꾸려진다. 올해 포럼에서는 AI 분야에 대한 집중 논의가 이루어졌다. SK그룹은 지난 6월 경영전략회의에서 AI 및 반도체를 미래 핵심 사업으로 선정하고, 향후 5년간 103조 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포럼 주요 의제는 ▲AI생태계 확장 과정에서 성공적 가치 창출 방안 모색 ▲AI기반 DT(디지털 전환) 촉진을 위한 변화관리 체계 ▲AI 시대, 구성원들의 일하는 방식 혁신 등으로 선정됐다. SK그룹은 포럼 기간 중 산업계의 AI 전환에 따른 산업계 지형 변화에 따른 비즈니스 기회 및 위협 요인들을 점검하고, 자사가 추진하고 있는 AI 밸류체인을 더욱 정교화하기 위해 인공지능 각 분야 전문가들과 인사이트를 나눌 예정이다. 더불어 SK 경영 철학 SKMS의 실천력 제고를 위한 구성원 토의 세션도 이어진다. 급변하는 AI 시장 등 한치 앞을 전망하기 어려운 경영 파고를 넘기 위한 경영 철학 내재화를 위함이다. 첫날 세션은 '다가오는 AGI(Artificial General Intelligence,범용 인공지능) 시대, 어떻게 준비할 것인가?'라는 주제로 열렸다. 이날 SK 측은 SK그룹의 3대 무기·자산으로는 SK하이닉스의 '고대역폭메모리(HBM)', SK텔레콤의 '글로벌 텔코 AI 얼라이언스', SK이노베이션의 '에너지 솔루션'을 꼽았다. AI 글로벌 시장 진출 전략에 대해 유영상 SK텔레콤 사장은 "AI는 거스를 수 없는 대세"라며 "(AI 수요 발생으로 금을 캐는) AI 골드러시 상황에서 SK그룹은 멤버사가 보유한 역량을 총결집하고, AI 서비스부터 AI 인프라까지 'AI 밸류체인' 리더십을 강화해 변화의 기회를 빠른 속도로 잡아낼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SK그룹이 반도체 칩, 인프라, 서비스 등 벨류체인에서 리더십을 가지고 간다면 AI 시대에 굉장히 성공하는 제3의 도약이 가능할 것"이라며 "SK텔레콤의 경우 NPU(신경망처리장치) 사업을 하는 자회사 사피온이 리벨리온과 통합해 대표 AI 반도체 기업이 됐으며, SK이노베이션과 SK E&S도 에너지 솔루션에서 굉장한 (AI 관련) 기회가 오고 있다"고 전했다. 류성수 SK하이닉스 부사장(HBM 비즈니스 담당)은 향후 고성능 메모리 전략에 관해 발표하면서 SK하이닉스의 목표를 제시했다. SK하이닉스는 주력 상품인 고대역폭메모리(HBM)의 압도적 경쟁력 확보를 위한 20~30배 성능을 높인 메모리 제품 개발을 목표로 한다. 또 AI 반도체에 있어 엔비디아(NVIDIA) 등 글로벌 AI 기업을 따라가는 대신 메모리 스펙을 주도하겠다는 의지를 내비쳤다. 류 부사장은 "AI 시장은 세분화될 것"이라며 "지금의 HBM보다 성능과 저전력에서 20~30배 개선되고 차별화한 (메모리) 제품을 목표의 한 가지 축으로 전개해야 할 것"이라며 "또 다른 한 축은 한발 앞선 실행력으로 매스마켓(대량 판매·소비 시장)에 대응할 AI향 메모리 솔루션"이라고 설명했다.